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Achievement and College Major Choice According to Longitudinal Pattern of Awareness of ICT Literacy and Frequency of Computer Use

컴퓨터 활용능력과 빈도의 종단적 패턴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대학전공 선택 분석

  • Received : 2019.10.21
  • Accepted : 2019.12.02
  • Published : 2020.01.31

Abstract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ability of learners to use computers to conduct self-directed learning is important. Indeed, the higher the computer's ability to use computers, the more the academic achievement needs to b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student awareness of ICT literacy and frequency of computer use. We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the longitudinal pattern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major choice. A non-parametric approach, K-means for longitudinal data(KML) algorithm, was conducted using 9-year longitudinal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0-2018). Findings indicated that a pattern presenting a higher awareness of ICT literacy and frequency of computer use showed better academic achievements and was likely to prefer to choose engineering-related majors.

정보사회에서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수행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중요하다. 실제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높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가 어떠할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10년-2018년에 시행한 서울교육종단연구의 1-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컴퓨터 활용에 대한 인식과 빈도의 종단적 변화 패턴을 비모수 통계방식인 종단적 K-평균 군집(KML)을 통해 도출하고, 종단적 패턴에 따른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컴퓨터 활용과 사용 빈도가 높은 종단적 패턴이 그렇지 않은 패턴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고등학교 3학년의 대학전공 선택에서 컴퓨터 활용과 빈도가 높은 종단적 패턴이 공학계열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OECD.
  2. 교육부 (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3. 이철현 (2014). 학습자의 21세기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교과 정보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1), 23-24.
  4. 교육과학기술부 (2001).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해설서.
  5. 교육인적자원부 (2005).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개정안 및 해설서.
  6. 허서정.손동철.김창석 (2017). 플립드 러닝 기반 컴퓨터 활용 수업의 학습 효과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 155-162. https://doi.org/10.15207/JKCS.2017.8.1.155
  7. 전혜진.고희청.이경현 (2014). 시청각자료를 통한 기억력, 이해력, 유추력에 관한 실험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47, 83-94.
  8. 김신자 (2001).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모형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5(2), 5-20.
  9. 이영민 (2005). 컴퓨터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문제 해결력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8(5), 43-50.
  10. 주영주・김정현 (2006). ICT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과 학습자의 초인지, 컴퓨터 활용 능력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19(2), 145-172.
  11. 전우천.홍석기 (2013).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스마트 소양 척도 개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4(6), 59-70. https://doi.org/10.7472/jksii.2013.14.6.59
  12. 백순근.김동일.김미량.김혜숙.유예림.박소화.김세원.김미림 (2009).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ICT리터러시 평가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0(2), 383-406.
  13. 김세리.남찬우.장선영 (2012). 학생의 EBS 및 컴퓨터 활용과 교사의 ICT 활용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8(4), 849-877.
  14. 권선아.이수영 (2017). 컴퓨터 및 스마트폰 활용이 중학생의 창의성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3), 35-46. https://doi.org/10.32431/KACE.2017.20.3.004
  15. Aypay, A. (2010). Information and Community Technology(ICT) usage and achievement of Turkish students in PISA 2006. The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9(2), 116-124.
  16. 김소영 (2007). 구성주의 학습 환경에 적합한 평가전략: 참평가와 즉각적 피드백. 교육공학연구. 23(4), 31-53.
  17. 광주광역시교육청 (2000). 컴퓨터 활용능력 급수제 운영. 광주교육대학교 멀티미디어 연구소.
  18. 허균 (2013). PISA2009에서 ICT 활용능력과 학습목적 컴퓨터 사용 영향 요인에 대한 다층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1), 51-61. https://doi.org/10.32431/KACE.2013.16.1.006
  19. 강민경.부정민 (2013). 컴퓨터를 활용한 동화 재구성 협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3(1), 155-177.
  20. 이재호.장준형 (2018). ICT 및 SW코딩에 대한 과학영재의 인식조사. 창의정보문화연구. 4(2), 171-181.
  21. 남창우.전훈 (2012). 교사와 학생의 ICT 활용과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저성취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연구. 29(1), 77-97.
  22. 허균 (2017). 고등학생들의 학습목적 컴퓨터 사용과 고3의 주관적 학업성취도 관계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9(1), 180-187.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1.180
  23. 서울교육정책연구소 (2018). 서울교육종단연구 8차년도 사용자 매뉴얼.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24. Hand D, Krzanowski W (2005). Optimising k-means clustering results with standard software packages.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49(4), 969-973 https://doi.org/10.1016/j.csda.2004.06.017
  25. Genolini, C., Alacoque, X., Sentenac, M., Arnaud, C. (2015). Kml and kml3d: R packages to cluster longitudinal data.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65(4), 1-34.
  26. Genolini, C., & Falissard, B. (2010). KmL : K-means for longitudinal data. Computational Statistics. 25(2), 317-328. https://doi.org/10.1007/s00180-009-01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