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Extensive Reading and Development of an ER Class Model

고등학생의 영어 다독 인식 및 다독 수업 모형 개발

  • Received : 2020.01.28
  • Accepted : 2020.03.20
  • Published : 2020.03.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English extensive reading (ER) after introducing ER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a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as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expanded in high schools as well as middle schools, we developed a class model for English extensive reading. 91.4 percen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aid that they wanted to try using the English extensive reading method. Also 35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English extensive reading chose the 'Five Finger rule' and 'Graded Readers' Series' as the most helpful factors in their extensive reading experiences. In interviews with English teachers, teachers expressed their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model of English extensive reading suitable for free semesters in general high schools. This study proposes an English extensive reading class model utilizing library resources that can be used in the free semester system as well as a performance assessment-oriented English extensive reading class model.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교육에서의 영어 다독 지도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D 광역시에 소재한 두 개의 인문계 고등학교를 방문하여, 본 연구자가 영어 다독에 대한 소개와 수준별 읽기 도서를 고등학생들에게 직접 체험하게 한 후, 영어 다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중학교뿐 아니라, 고등학교에서도 자유학기제가 확대됨에 따라 영어교사들의 영어 다독 수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 35명은 영어 다독에 대한 안내 및 체험 후, 다독 중심의 영어 독해 공부를 시도해 보고 싶은 생각이 있다고 밝혔다(91.4%). 도움이 된 다독 체험 요소로는 '다섯 손가락 원칙'과 '수준별 도서 목록'을 들었다. 영어교사들과 이루어진 인터뷰에서 교사들은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에 대한 개발 요구를 피력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실제 이뤄지고 있는 수행평가 중심의 영어 다독 수업과 더불어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도서관 활용 다독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I. 서론

다독(Extensive Reading)은 많이 읽는 것, 의미 중심으로 읽는 것[1], 즐거운 읽기[2] 혹은 자유롭고 자발적인 읽기(free voluntary reading)[3]로 정의되고 있다. 기존에는 한국 영어교육에 있어서 영어 다독 도입의 필요성과 다독의 중요성이 주로 하향식(Top-down)으로 이루어 졌다면[1-5], 최근에는 영어교사 스스로 입시 위주의 교육을 탈피하고, 영문학 및 영미 문화를 활용한 ‘내용 중심의 영어 읽기’인 다독을 수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상향식(Bottom-up)으로 진행되고 있고[6], 이에 대한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7].

여기에 영어 다독이 우리의 공교육에서 실현될 장을 더욱 확고히 마련해 준 것이 바로 자유학기제이다. 그 간 중학교에서 시범 운영되던 것이 전면 시행, 이제 고등학교에까지 자유학기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8]. ‘평가를 지양’하고 ‘실습·토론 중심의 수업 모형 확산’을 중시하는 자유학기제의 영어수업 진행 방안으로 영어교사들이 영어 다독 수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영어교육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적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을 다 각도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앞서서 본 연구자가 속한 D 광역시에 소재한 두 개의 인문계 고등학교를 방문하여, 영어 다독에 대한 소개와 수준별 읽기 도서를 고등학생들에게 직접 체험하게 한 후, 영어 다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는 다음의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고등학생들은 영어 다독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며, 영어 다독의 어떤 요소가 학생들에게 호응도가 높은가?

2)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 영어교사들은 영어 다독과 관련하여 어떤 활동과 요구사항을 보이는가?

II. 이론적 배경

1. 고등학교에서의 영어 다독 수업

다독이란 무엇인가? 사전적 의미로는 많이 읽는 것, 광범위하게 읽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세계다독학회[9]와 한국영어다독학회[10]에서 정의한 독서의 수준(단계)은 [그림 1]과 같다.

CCTHCV_2020_v20n3_462_f0001.png 이미지

그림 1 . 영어 읽기의 단계[10]

고등학교에서의 ‘영어 다독 수업’에 대한 연구는 주로 ‘영어 다독을 활용한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11][12], 대학 교양 및 전공 강의에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가 최근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진 바 있다[13][14]. 그 간 고등학교 현장에서의 영어 다독 연구가 학습자 문학 및 다독의 중요성과 효과를 주로 다루고 있으나[15][16], 고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다독 활용 영어수업 사례나 모형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함과 더불어, 영어 다독 수업을 공교육 현장에서 진행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다양한 사례와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인문계 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의 다독에 대한 고민과 요구사항도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다음은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을 스스로 고안하여 주 1회씩 진행하고 있는 I 광역시 Y 교사의 인터뷰이다[6].

우리 영어교사들의 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입시 준비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교사 스스로가 자괴감이 느껴질 것 같습니다. 자신만의 수업 철학과 방향이 없다면 매우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수업에 대한 자신만의 답을 찾기 위해서 젊은 교사들이 치열하게 고민하고 그 방향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중략) 학생들을 설득하여 평생 즐겁게 영어를 공부할 수 있는 기반인 ‘문학을 활용한 영어 다독 수업’을 주당 한 번씩 실시할 수 있었습니다. 학교의 영어과 예산을 쪼개어 영어도서관을 만들고 ‘같은 책 읽기’를 실시하였습니다. 이번 학기에는 The Hundred Dresses라는 책을 모든 학생이 틈틈이 읽고, 수업 시간에도 해당 문학작품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중략) 문학을 통한 영어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지적인 체험을 하고, 감성적인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수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교사 Y1)

이와 같은 영어교사들의 다독에 관한 목소리와 현장의 진행 상황을 본 연구에 함께 포함하고자 한다.

2. 자유학기제와 영어 다독

자유학기제 혹은 자유학년제는 한 학기간(혹은 1년간) 학생들이 학교의 정규 고사를 치르지 않고 자유롭게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미국이나 유럽의 ‘갭 이어(Gap year)’가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제도라면, 우리나라의 자유학기제는 모든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2016년부터 전면 시행되어 온 제도이다. 2013년에 중학교에서 시범 실시 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고, 2016년부터는 전국 모든 중학교에서 시행됐으며, 2018년에는 자유‘학년’제를 1,500여 곳의 중학교(전체 중학교중 46%)에서 실시하였다[17].

자유학기제의 학교 교육과정은 크게 교과 수업과 자유학기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오전에는 주로 국, 영, 수, 사, 과 등의 교과 수업이 이루어진다. 자유학기제의 수업은 기존의 강의식 수업이 아닌, 토론, 실험·실습, 프로젝트 학습 등 전 과정에 학생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도록 권장된다. 평가 또한 과정 중심 평가, 관찰평가, 자기성찰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수행평가 등을 통한 직접식 평가로 이루어진다[17].

이러한 이유로 중․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은 자유학기제 동안의 영어수업 진행 및 평가에 적합한 새로운 수업 모형을 찾고 있다. 그 중, 많은 관심을 받는 교수법 중 하나가 바로 ‘영어 다독’이다. 다독은 책이 있는 공간인 영어 전용 교실의 영어 도서코너와[18] 학교도서관에 비치된 영어도서를 활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그 외 동일 도서를 학급 전원이 함께 읽는 ‘같은 책 읽기’ 활동을 위해, 한 학년 혹은 한 학급에서 같은 영어도서를 준비하여 영어 다독 활동을 할 수도 있다[6].

이러한 배경으로 도서관을 활용한 영어 다독 활동도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앞으로 더욱 증가 추세에 있는 자유학기제에서 시행 가능한 도서관 프로그램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한 연구에서 이를 뒷받침한다[19]. 학교 사서 교사들의 80.15%가 ‘도서관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활동’이 가장 유력한 도서관 활용 프로그램일 것이라고 답했다.

영어교육에 있어서 도서관의 역할은 국내외 공공도서관 및 영어도서관 등에서 학생의 영어 문식성 발달을 지원해주고 있는 사례를 다룬 연구에서도 드러났다[20][21]. 자유학기제의 확대 실시를 계기로 ‘학교 도서관을 활용한 영어1 다독 교육’이 좀 더 본격적으로 연구 및 시행될 필요가 있다.

III. 연구 방법

1. 참여자

(1) 설문조사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주제인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영어 다독에 대한 인식 및 다독 체험 요소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2017년 2학기에 D 광역시의 B고등학교와 C고등학교 두 학교의 학생 총 35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 고등학생의 배경은 [표 1]과 같다.

표 1. 참여 고등학생 배경

CCTHCV_2020_v20n3_462_t0001.png 이미지

(2) 다독 수업 모형 관련 사례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 주제인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 연구 및 영어교사들의 의견 및 사례’는 2018년에 본 연구자가 해당 고등학교의 ‘영어 다독 연구를 위한 교사 커뮤니티’에 멘토로 참여한 바 있는 D 광역시 G고등학교 교사 5인[그림 3]과 또 다른 D 광역시의 시․도 교육청 단위의 ‘영어 다독 교사 연구회’의 대표인 S 교사이다. 그 외 2019년 D 광역시의 D고등학교에서 실시한 수행평가 자료를 사례로 제시하였으며, 도서관 활용 수업 모형은 연구자가 진행한 고등학교 대상 강의를 바탕으로 정리․제시하였다.

2. 자료 수집 및 분석

(1) 설문조사

본 연구의 첫 번째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 문항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표 2. 설문 문항 구성

CCTHCV_2020_v20n3_462_t0002.png 이미지

응답자들은 자신의 의견을 주어진 문항에 대해 4점 척도에 표시하였다. 그 외 영어 다독 체험 전 ․후의 학생들의 인식 변화와 자신에게 가장 도움이 되었던 영어 다독 요소와 자신의 다독 수준 등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35명의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설문 응답은 SPSS 22.0버전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다중 응답 분석 문항을 포함해 모두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2) 다독 연구 현황 및 수업 모형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 주제인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 및 사례’는 학교 현장 방문을 통한 연구 활동 관찰 및 이메일 교환, 인터뷰, 수행평가 자료 수집, 지도안 작성을 통해 이루어졌다.

IV. 연구 결과

1. 학생 설문 결과

본 영어 다독 체험 이전에 학생들에게 ‘영어 독해의 중요성’을 물은 결과는 [표 3]과 같다. 다양한 진로를 생각하는 인문계 고등학생들이었지만, 영어 독해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같은 생각이었다.

표 3. 영어 독해 중요성에 대한 인식

CCTHCV_2020_v20n3_462_t0003.png 이미지

기존의 영어 독해 방법인 ‘정독 중심의 영어 독해’의 효과에 대해서는 [표 4]와 같이 75.2%의 학생이 긍정적으로 대답하였다.

표 4. 정독 중심의 영어 독해 수업에 대한 인식

CCTHCV_2020_v20n3_462_t0004.png 이미지

응답자수(%)/전체34(100%)

본 영어 다독 수업 체험 이전에 ‘다독’이란 용어를 들어 본 적이 없다는 학생들이 62.9%에 달했다. 수업을 체험한 후, 이 전에 다독을 경험해 본 적이 있다는 학생이 54.3%로, 다독의 일부 요소를 경험한 비율이 절반 이상 되었다. 다독 중심의 영어 독해 공부 시도 희망에 대해서는 91.4%의 학생이 적극적 의사를 표명했다.

표 5. 영어 다독 수업 체험 이전 다독 인식

CCTHCV_2020_v20n3_462_t0005.png 이미지

응답자수(%)/전체35(100%)

본 영어 다독 수업 체험 후, 94.1%의 학생이 영어 다독이 효과적이라고 느꼈다고 보고했다.

표 6. 영어 다독 소개가 도움이 된 정도

CCTHCV_2020_v20n3_462_t0006.png 이미지

응답자수(%)/전체34(100%)

영어 다독의 요소 중, 자신에게 도움이 되었던 요소를 고르라는 질문에 학생들은 ‘수준별 도서(Graded Readers’ series)’와 자신에게 맞는 책의 수준을 선택하는 방법인 ‘다섯 손가락 원칙’이 유용하다고 판단했다.

표 7. 가장 유용한 영어 다독 요소

CCTHCV_2020_v20n3_462_t0007.png 이미지

응답자수(%)/전체34(100%)

관심 있는 영어 다독 주제로는 많은 출판사에서 주로 다루어 왔던 세계명작의 수준별 도서보다는 오히려, 추리소설이나 현대소설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았다.

표 8. 관심 영어 다독 주제(장르)

CCTHCV_2020_v20n3_462_t0008.png 이미지

응답자수(%)/전체24(100%)

[그림 1] 을 활용하여 영어 읽기의 단계[10]를 설명한 후, 각자의 영어 독서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표 9]와 같이 답했다. ‘고통스러운 읽기 단계’에 표시한 학생이 8.6%인 것으로 볼 때,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이 어느 정도 영어에 흥미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9. 자신의 영어 독서 수준(단계)

CCTHCV_2020_v20n3_462_t0009.png 이미지

응답자수(%)/전체23(100%)

2. 영어교사 인터뷰 결과

고등학생들이 가지는 영어 다독에 대한 정량적 설문조사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영어 다독 교사커뮤니티’ 등 교사들과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은 의견을 얻을 수 있었다.

영어 다독을 공교육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선생님들이 많은데, 구체적인 방법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매뉴얼 제작 및 보급이 필요합니다. (교사 S)

자유학기제가 고등학교에도 확대실시된다고 하는데, 이를 대비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이 제공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교사 Y2)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교급에 따른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이 제공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교사 K)

영어 다독 수업 진행 시, 학생 각자에게 맞는 도서 선택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 도서 선정 방법이 궁금합니다. 또한, 해당 레벨의 도서를 읽을 만한지, 스스로 어휘력을 테스트해 볼 수 있는 무료 사이트가 있는지요? (교사 I)

3. 영어 다독 수행평가 학생 사례

영어 다독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와 활성화를 돕기 위해 ‘평가’를 활용하는 것[11]과 어느 정도의 보상이 도움이 됨[21]이 연구에서 적시되었듯이, 본 연구에서는 수행평가를 활용하여 영어 다독을 수업에 활용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2019년 2학기에 실시한 D 광역시 D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제출한 영어 다독 수행평가 결과지이다. [그림 2]의 사례에서는 각자 자신이 원하는 영어로 된 작품(소설, 수필)을 수업 시간 외에 읽고, 마인드맵 형식으로 된 활동지를 수행평가 시간에 적어서 내는 북 리포트 형식의 수행평가 사례로 볼 수 있다.

CCTHCV_2020_v20n3_462_f0002.png 이미지

그림 2 . 영어 다독 수행평가 활동지

해당 학생은 Mitch Albom의 The Five People You Meet in Heaven을 읽고 첫 번째 수행평가인 마인드맵 작성을 하였다. 이를 확장하여 다음과 같은 독서록을 작성하여 영어 교사에게 제출하는 방식의 영어 다독 활동을 하였다.

1) Why did I try to read this book?

This book was easy to read because it doesn’t have too many words and those words were not different to me. It is about a hero, Eddies’s life. The book connotates the meaning that we are interwined in pain and conflict in this world. However we are deeply interconnected.

2) What did I learn and aware after reading this book?

I thought I should live more meaningfully so that I can do my role as a person of the world. (중략) Someone interpreted this book as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4. 영어 다독 교사 커뮤니티 사례

영어 다독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관심을 바탕으로 한 자발적 연구 모임은 교육청 및 학교 단위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 3]은 D 광역시 G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이 만든 ‘영어 다독 연구를 위한 교사 커뮤니티’이다. 본 연구자가 방문하여 영어 다독의 이론과 타 지역의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있다. 특히 세계다독학회(ER foundation: Extensive Reading foundation)와 한국영어다독학회(KEERA: Korean English Extensive Reading Association)에서 발간한 영어 다독 매뉴얼을 무료로 배부하며, 영어 다독에 대한 실천을 돕고 있다.

CCTHCV_2020_v20n3_462_f0003.png 이미지

그림 3 . 영어 다독 연구를 위한 교사커뮤니티

이러한 영어 다독 연구를 위한 교사커뮤니티는 각 학교급뿐 아니라, 지역 혹은 광역시 교육청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5. 도서관 활용 영어 다독 수업 모형 제시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도서관 활용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을 [표 10]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표 10. 도서관 활용 영어 다독 수업 지도안

CCTHCV_2020_v20n3_462_t0010.png 이미지

위 [표 10]은 현장의 영어 교사들에게 ‘영어다독 활용 고등학교 수업적용’ 안내를 돕기 위해, 지도안(약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수업 모형은 일반 교실이 아닌 학교도서관 혹은 영어도서가 구비된 영어도서관을 수업 장소로 하여, 연구자가 학생들과 함께 본 수업모형으로 영어 수업을 파일럿으로 진행하였다.

본 모형은 두 가지 활동으로 요약할 수 있다. 교사가 제공해 준 도서 목록을 참고하여, 도서관에서 직접 해당 책들을 찾아가며, ‘행복에 대한 정의’를 찾는 수업 활동이 본 다독 수업 모형의 첫 번째 활동이다. 자신이 읽은 책의 주인공이 되어 ‘행복의 정의’에 대해 독자와 인터뷰를 하는 것이 두 번째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행복이란?’에 답을 찾기 위해 각자 책을 선정해서 읽은 후, 교사가 준비한 다독 활동지를 채우고, 인터뷰 활동을 하는 것으로 영어 다독과 수업 활동을 연결한다.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연구자가 고등학생들을 직접 만나, 한국의 일반계 고등학생들은 영어 다독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며, 영어 다독의 어떤 요소가 효과적이라고 느끼는지에 대해 영어 다독에 대한 안내와 체험을 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그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영어교사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D 광역시에 소재한 두 개의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한국 영어다독학회에서 제공하는 ‘영어 읽기 수준 안내[그림 1]’ 및 영어 다독 매뉴얼 책자를 본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생에게 무료로 배포하고, 수준별 도서를 고등학생들이 직접 골라서 영어 다독을 체험하도록 하였다. 영어 다독에 대한 소개와 수준별 읽기 체험 후, 고등학생들의 영어 독해 및 다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 35명은 영어 다독에 대한 안내 및 체험 후, 다독 중심의 영어 독해 공부를 시도해보고 싶은 생각이 있다는 의견을 90% 이상 표명했다. 영어 다독의 요소로 ‘다섯 손가락 원칙’을 유용하다고 생각하였는데, 다섯 손가락 원칙은 자신에게 맞는 도서를 선정할 때 사용하는 방식으로, 읽고자 하는 도서의 한 페이지를 무작위로 편 후, 한 페이지에 모르는 단어가 나올 때마다 손가락을 하나씩 꼽는데, 다섯 개 정도의 생소한 단어가 나오는 것이 적당하다는 원칙이다. 다섯 개보다 많을 시는 너무 어려운 책이고, 모르는 단어가 5개 미만일 때는 너무 쉬운 책일 수 있다는 이론이다. 물론 다음 페이지에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새로운 단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책을 읽다가 단어의 수준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책을 바꾸어 읽을 수도 있다.

이외에 영어 모국어 화자가 아닌, 외국인을 위한 ‘수준별 도서 목록’을 소개받았는데, 이 또한 매우 유용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 외에 자신의 현재 수준보다 조금 낮은 수준의 책을 고르라는 의미의 ‘ i-1’, [그림 1]에 제공된 ‘읽기의 수준’ 등, 영어 다독의 요소에 흥미를 가졌다.

영어교사들과 이루어진 인터뷰에서 교사들은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에 대한 개발 요구를 피력했을 뿐 아니라, 매뉴얼 요청 및 적정한 수준의 영어 다독 도서 선정을 위한 어휘력 진단 도구를 요청했다. 교사 중심의 자발적인 영어 다독에 대한 연구 분위기(Bottom-up)는 학교 내 영어 다독 교사 커뮤니티[그림 3]와 교육청 단위의 연구회 활동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또한 고등학교에서 실제 이뤄지고 있는 영어 다독 활용 수행평가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정량, 정성적인 영어 다독에 대한 인식과 목소리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을 약식 지도안(약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도서관을 활용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은 D 광역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수행한 바 있으나, 좀 더 정교화하여 다양한 지역의 많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모형을 적용한 후의 효과성 분석이 후속 연구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생들이 영어 다독에 관심을 보인 점과 앞으로 자신들의 영어 공부에 영어 다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고등학생들의 영어 다독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활발히 이루어져서, 공교육 현장에서 영어 다독을 통한 의미 있는 영어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References

  1. J. Devine, "ESL readers' internalized models of the reading process," In J. Handscombe, R. A. Orem, & B. P. Taylor (Eds.), On TESOL '83, The question of control, pp.95-108, Washington, DC: TESOL, 1984.
  2. W. B. Elley, "How in the world do students read? IEA study of reading literacy," New York: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1992.
  3. S. D. Krashen, "The power of reading: Insights from the research," Englewood, CO: Libraries Unlimited, 1993.
  4. R. R. Day and J. Bamford, Extensive reading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5. 김경한, 홍주희, 최성희, 이용배, 최진희, "한국형 다독 교재 모형 개발," Foreign Languages Education, 제20권, 제2호, pp.37-269, 2013.
  6. 전영주, "문학 중심 PCK에 의한 Hearts-on 기반 고등학교 영어수업 연구," Secondary English Education, 제10권, 제4호, pp.165-184, 2017.
  7. 장선영, "영어교육에서 왜 영문학이 절실한가?-단편소설 강의의 사례와 함께," 현대영어영문학, 제56권, 제1호, pp.219-236, 2012.
  8. 머니투데이, "이준식 부총리 국민행복 분야 업무보고: 자유학기제, 고등학교까지 시범.확대", vhttps://news.mt.co.kr/mtview.php?no=2016011922144234449&outlink=1&ref=https%3A%2F%2Fsearch.daum.net
  9. 세계다독학회, https://www.keera.kr/
  10. 한국영어다독학회, https://www.keera.kr/
  11. 이선주, 김경한, "고등학교 영어 다독 수행평가 모형 개발 및 적용," 외국어교육연구, 제31권, 제2호, pp.221-249, 2017.
  12. 유미란, "고등학교 수행평가로서의 영어독서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영어교과교육, Vol.13, No.4, pp.171-196, 2014.
  13. 전영주, "예비 영어교사를 위한 영어다독 체험수업 인식연구," 영어교과교육, 제18권, 제4호, pp.211-232, 2019.
  14. 강성관, "대학영어 다독 수업 모형 개발과 효과 분석,"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제24권, 제1호, pp.131-150, 2016. https://doi.org/10.24303/lakdoi.2016.24.1.131
  15. 목양주, 언어학습자문학 다독을 통한 고등학생 영어 독해력 향상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004.
  16. 조경희, 이정원, "확장형 읽기를 통한 고등학교에서의 영어 읽기 교육," 영어교육, 제65권, 제4호, pp.343-371, 2010.
  17. 교육부 자유학기제 홍보 사이트, http://www.ggoomggi.go.kr/page/new/notice/introduce/page_new_introduce
  18. 전영주, "영어전용교실의 구축 및 운영에 관한 개선 방안," Modern English Education, 제10권, 제2호, pp.133-154, 2009.
  19. 노영희, 김혜인, "자유학기제를 활용한 도서관의 역할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7권, 제4호, pp.93-122, 2016. https://doi.org/10.16981/kliss.47.201612.122
  20. 권혜경, 장경숙, 전영주, "지역사회 도서관과 연계한 영어 문식성 발달 지원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541-54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541
  21. H. Kwon, K. Chang, Y. Kim, B. C. Lee, and Y. J. Jeon,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xtensive Reading Program Using Online/Offline Blended English Library System in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3, No.4,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