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osition and Realization of Korean Culture Liberal Arts Subjec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 교양교과목 구성과 실제

  • 문정현 (배재대학교 미래역량교육부 교수)
  • Received : 2020.01.22
  • Accepted : 2020.02.10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In this paper it is considere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have difficulty in completing their studies while adjusting to Korean university lif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ost international students enter university but they are lack of liberal arts knowledge such as Korean language skills and foundation studies necessary for their major studies. However, most universities focus on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liberal arts cour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required i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improve their liberal arts knowledge as well as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Furthermore, this paper argues order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do not have enough liberal arts such a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r basic science to study successfully, a systematic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for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be presented and applied in the field. Accordingly, this paper shows an example of the class operated by applying the knowledge-based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to the cultural class, which is a dedicated subjec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proved its effectiveness.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 대학 생활에 적응하면서 학업을 이수해 나가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유학생들이 전공 학업에 필요한 한국어 실력이나 기초 학문 등 교양 지식이 미흡한 상태로 입학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확인하고, 외국인 유학생에게 가장 시급한 기초학문 즉, 교양 지식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보다 체계적인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과정과 교육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현장에서 적용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용 교과목인 문화 수업에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 방법을 적용시켜 운영한 수업의 사례를 보이고, 그 효과를 증명하였다. 이러한 시도가 외국인 유학생에게 보다 나은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Keywords

I. 서론

최근 국내 대학교에 입학하는 유학생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고등교육의 국제적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각 대학들의 입학자원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유학생 유치로 인한 결과이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어학연수생, 교환학생, 정부초청 장학생, 학부생, 대학원생이 있으며, 교육기본통계(2018)에 따르면 이 중 대학 과정에 있는 외국이 유학생의 수는 8만 명에 이른다[1]. 이에 따라 각 대학에서는 이들을 위해 다양한 교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각 대학 기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에 대한 부적응으로 중도 포기하는 학생이 늘고 있다. 전재은(2016)에서는 국내 대학 기관의 외국인 유학생 탈락률이 30%에 달한다고 언급하며 심각성을 강조하였다[2]. 이상미(2014)에서는 대학 재학 및 어학연수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생활과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 이문화 태도에서 문화적 유연성과 이문화 인식이 한국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히면서, 문화간의 갈등 지점을 분석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경쟁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인적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3].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 생활이나 대학생활에 부적응하고 중도 포기하는 문제의 원인은 대부분의 유학생이 고등교육 수학에 필요한 언어 실력을 갖추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학적 배경지식 및 문화 등이 결여된 채 대학에 입학했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대학에서 유학생의 양적 증가에 대하비하여 체계적인 교육 환경을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일부 대학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전용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목이며, 외국인 유학생이 학업에 적응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지식이나 문화 이해를 위한 교과목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수학을 위해 언어 교육과 동시에 내용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기초교양의 내용과 한국어 능력을 동시에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교과목의 개발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즉, 언어와 내용을 학습자의 요구에 맞추어 잘 통합할 수 있는 교수 방법과 전략을 활용한 교과목이 제공되어야 한다. 나아가 이러한 교과목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현재 대학에서 교양교육은 전공교육과 더불어 다른 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4], 대학 내 교양교육은 재학 중인 모든 학생이 대상이고 대학인이라면 누구나 갖추어야 하는 보편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양교육에서 다루는 기초 학문은 전공 분야 학문과 연계하여 자신이 속한 영역의 학문을 탐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교양교과목을 통해 기초내용 지식을 함양하는 동시에 한국어 능력 향상을 함께 실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으로써 지식 기반 한국어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지식 기반 한국어교육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교양교과목을 구성하고 실제 수업 운영 사례를 보여 주고자 한다. 이렇게 외국인 유학생의 특징을 반영한 교과목은 차후 유학생의 대학수학능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교육

최근 다변화하는 사회에서 창의적 융합 인재 양성이 교육 패러다임으로 대두되면서 모든 분야의 지식을 관통하고 가장 기본 토대가 되는 교양교육의 기초 교육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각 대학에서는 새로운 교양 교육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시간과 비용 등의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에게는 그 효과가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 유학생은 일반 한국 학부생과 처한 환경이나 특성이 달라 동일한 교육 목표와 방법이 적용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이 가진 특성에 따라 그에 맞춰진 교양교육이 필요해졌다. 문정현(2019:45-46)에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가 성공적인 대학 수학을 위해서는 보다 실제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하면서 이는 유학생 대상 교양교육 과정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교육 과정은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교수 방법 등 교수·학습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라고 하였다[5]. 박석준(2015:34)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과정을 “한국어를 사용하여 한국의 고등교육기관에서 수학하는 데 필요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선정, 조직하고 적절한 교수법을 사용하여 교육 현장에서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이나 프로그램의 총칭”으로 정의하며 체계적 교육 과정 수립을 강조하였는데, 특히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과정은 일반 한국어 교육 과정과는 다르게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하였다[6].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은 일반 한국 학부생과는 다르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교양교육과정에서 기능별, 수준별, 내용별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현재 외국인 유학생의 교양 지식 즉, 기초 학문과 언어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체계적인 교양 교육과정과 교양교과목 제공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런데 문정현 (2019:56-57)에서도 밝혔듯이 현재 국내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교과목을 확인해 보면 유학생 대상 대학교육 체계에 있어 두 가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 전용 교양 교과목에서 한국어 교과목 개설 너무 높았으며, 30개 대학의 개설 교과를 분석한 결과 절반이 넘는 교과목이 한국어 교과목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유학생 교양교육 체계에 한국어 숙달도를 위한 교과목 역시 마땅히 필요하나, 현재의 교육 체계는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에만 집중된 나머지 학문 목적 학습자에게 필요한 학술적 어휘 및 사고 도구어를 배울 수 있는 교과목이 부족하다는 것을 들었다. 둘째는 지식 함양 교과목 즉, 기초학문 교양교과목이 한국어 교과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개설되어 있으며, 학문 영역별로 불균형하게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문 목적학습자가 대학 학습을 어려워하고, 중도 탈락하는 이유는 심화된 학습 활동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기초 교양과 기초학문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문 영역별로 교과목을 고르게 이수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마련하고 교과목을 개발,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5]. 나아가 교수자 차원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이 보다 수월하게 한국어 능력과 교양 내용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수 방안을 적용해 교수해야 할 것이다.

2. 지식 기반 한국어교육

지식이라는 것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현대 사회는 지식 기반 사회로 다양한 정보의 공유와 습득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현상에 따라 대학생 또한 지식을 습득하고 그 지식들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사고력과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를 요구 받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국내 외국인 유학생에게 필요한 지식은 학문을 탐구하고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기본적인 교양 지식일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모국어를 사용하는 한국 학생들과는 달리 한국학적 지식과 문화가 결여되어 있고, 고등교육을 이수하기에 필요한 언어 실력이 미흡한 상태로 입학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교양교육을 수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지식과 언어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교육에는 기존 언어 교육의 교수법들 중에서 ‘내용중심 언어 교수’를 적용한 교수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이에 적절하다고 본다. 내용중심 언어 교수법은 언어적 요소보다는 내용 이해를 목표로 하며, 언어 수업에서 목표어로 구성된 자료의 내용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데 집중하는 과정에서 언어 습득도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본다. 국내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있어 지식은 학문의 내용과 같은 것이다. 즉 대학에서 개설되는 교과목의 내용인 것이다. 교과목은 전공과 교양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공은 세분화되고 보다 심화된 영역이기 때문에 다른 학문의 기초지식으로 구현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교양은 대학교육에서 전반적으로 요구되는 기본적 지식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든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보편적 교육이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기초 지식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교육이 전제가 될 때 보편적 기초 지식이 전공과 연계되어 자신의 학문을 탐구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기초지식 즉, 교양교육이 효과적으로 제공되지 않았을 때 학습자는 기초 지식뿐만 아니라 전공 학습에 대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논의의 결과로 문정현(2019:38-39)에서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에서의 ‘지식’은 교과 내용을 구성하는 도구어나 전문어가 아닌 교양 차원의 보편적 지식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을 ‘내용 중심 언어 교수를 활용하여 학문 목적 학습자가 기초교양과 기초학문 등에 대한 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의도된 교육’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학문 목적 학습자는 해당 수업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 언어 능력 제고라는 목표도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5].

표 1.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5]

CCTHCV_2020_v20n2_658_t0001.png 이미지

본고에서도 국내 대학 기관에서 수학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을 통해 전공과 교양의 학습에서 기본으로 요구되는 기초 지식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이러한 교수 방법으로 습득한 지식이 전공 영역과 연계되어 대학 수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기본 토대가 되리라 생각한다.

Ⅲ. 지식 기반 한국어 교과목의 구성 원리

1. 교육 목표와 내용

교육과정과 운영에 있어 내용도 중요하지만 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육의 목적과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민현식(2004:62)에서는 목적과 목표를 구별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교육 목표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화 하는 과정에서 성취 목표를 기술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7]. 그리고 문정현(2018:87)에서는 내용 중심 언어 교수는 학습자가 실제로 학습하게 되는 내용 지식을 중심으로 목표 과제 활동과 적합한 내용 텍스트를 통해 교수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 지식을 기반으로 자신의 학문적 목표를 성취하도록 하는 데 있다고 하면서 아래와 같은 목표와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5]. 먼저 대학의 교양기초교육에서 목표로 함양해야 할 능력과 자질은 ‘다양한 문해(文解: Literacy) 능력, 정보수용 능력, 총체적 조망 능력, 지식창출 능력, 소통과 공감 및 협동 능력, 합리적 사고와 감성적 정서를 통합하는 능력’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능력과 자질을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학습자가 교양 능력을 수용하는 데 추구해야 할 목적으로 문정현(2019:87)에서 다음과 같이 정립하고 있다[5].

⦁ 학업 수행에 필요한 기초학문의 이해력을 증진한다.

⦁ 학업 수행에 필요한 수행 기술 능력을 배양한다.

⦁ 비판적 사고 능력과 새로운 지식 창출 능력을 함양한다.

⦁ 소통 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이에 따라 문정현(2019:88)에서는 교양 능력의 목적을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 목표를 다음과 같이 수립하고 있다[5].

첫째, 학습자는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지식 내용을 수월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능력을 기른다. 이를 통해 한국어에 대한 지속적인 흥미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교양 주제와 관련된 주요 학습 개념과 내용 지식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는 기초 학문의 지식을 이해하고, 대학 교육 과정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학업 활동을 계획하고 잘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과 목표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이 교양교육에서 제시되는 내용 지식과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대학 수학에서 지식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교양 지식을 통해 국제화 시대에 보탬이 되는 인재로 거듭날 것이다.

다음으로는 교육 내용이다. 교육 내용은 교육 목표와 따로 분리하여 놓을 수 없을 것이다. 뚜렷한 목표가 있어야 그 목표를 향한 내용을 준비해 학습해 나아갈 것이다. 현재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대학 교양 기초교육의 표준 모델’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핵심 영역은 주제별 영역과 학문 분야별 영역으로 나누고, 학문 분야별 영역 아래 교양 기초학문 교과목이 개설된다. 이 기초학문 교과목이 바로 교육 내용이 되는 것이다.

기존의 교양교육 과정이 외국인 유학생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교육 구현에 있어 현실적인 어려움이 다소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유학생용 교양교육 체계와 개설 과목이 따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심혜령· 박석준(2019:93)에서는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외국인 유학생 전용 교양교육 체계를 제시하고 있다[8].

표 2. 외국인 유학생 전용 교양교육 체계의 예[8]

CCTHCV_2020_v20n2_658_t0002.png 이미지

위의 교양교육 체계를 살펴보면 지식 기반 한국어교육은 ‘전공을 위한 기초학문 지식 함양, 한국학적 지식 함양, 일반 교양 지식 이해’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해당하는 교양교과목은 다음과 같은 교과목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전공을 위한 기초학문 지식 함양을 위한 내용 교육은 인문과철학, 경제와사회, 과학과수리, 문화와 예술에 속하는 교과목으로 <유학생을위한역사이야기>, <시사한국어>, <유학생을위한생활속과학이야기>, <유학생을위한한국문학>과 같은 교과목이 이에 해당된다. 한국학적 지식 함양을 위한 내용 교과목은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의이해>가 있으며, 일반 교양 지식 함양을 위해서도 일부 유학생의 언어 능력을 감안하고 내용 기반 한국어 교육 방법론을 적절히 적용한 유학생 전용 분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 교수 방법과 평가 방법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은 수업의 목적이나 내용에 따라 접근해야 할 교수법이 마땅히 달라야 할 것이다. 그 중에서 내용 중심 언어 교수 방법이 적용되는 교양교과목에는 한국어 교수자 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의 전공 교수자가 함께 수업에 투입되어 수업을 계획하고 자료를 만들고 협업하여 진행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때 교수자의 교육 방법과 평가 방법, 수업에 대한 내용과 언어의 비중은 교수자가 학습자의 수준과 교육 환경에 따라 가중치를 두고 다르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문정현(2019:101)에서는 내용과 언어의 가중치에 따라 지식 기반 한국어 교수 방법과 교수자의 역할, 평가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5].

표 3. 가중치에 따른 지식 기반 한국어 교수의 연속체[5]

CCTHCV_2020_v20n2_658_t0003.png 이미지

먼저 교수 방법은 모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내용 보호는 내용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이는 비교적 언어 수준이 높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전공 영역의 기초지식을 쌓을 수 있는 교양교과목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또한 내용 지식의 정확성을 위해 해당 전공 분야의 내용 교수자가 담당하며 내용 선정 및 평가 역시 내용 교수자가 직접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따라 내용 교수자가 단독으로 하는 완전한 내용 보호와, 교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는 않지만 내용 학습에 필요한 언어 학습을 보충해 주는 언어 교수자를 조력자로 두는 부분 내용 보호로 나뉠 수 있다. 병존은 언어와 내용 모두가 목표인 수업이며, 언어 교수자와 내용 교수자가 함께 팀티칭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전공 지식을 학습하기 전에 공통으로 보편적인 지식을 학습하기 위한 교양교과목에서 교수할 수 있다. 언어 교수자는 어휘 및 표현의 의미를 가르치고 다양한 텍스트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내용 교수자는 전문 영역의 내용을 교수해야 한다. 교과목 구성과 운영은 내용 교수자와 언어 교수자가 함께 원활한 소통을 하면서 준비해야 하며, 수업 진행 과정에서도 수업 자료 공유와 더불어 피드백, 팁 등을 공유하며 협업해야 한다. 이때 한 명의 교수자는 주가 될 수 있고 다른 한명은 부가 될 수 있으며, 학습자 상황에 맞게 수업 내용의 비중을 확인하여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제 중심은 언어 수준이 낮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며 언어 습득이 교수의 목표이며, 언어 교사가 교수제의 기본적인 개념 용어, 정의, 용어 풀이 등을 다루어 언어 기능과 기술을 향상 시키는 교과목에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대상자의 언어 실력을 고려하여 수업 내용에 대한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개작하는 방식으로 수업 자료를 준비할 수 있으며, 선정된 주제의 목표 표현과 내용을 자연스럽게 익히면서 언어 실력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은 평가 방법이며, 평가 방법도 교수 모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수업 환경은 학습자의 언어 수준, 학습 내용, 학습 방법, 학습 목표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변성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에서 내용과 언어에 대한 평가를 정확한 수치의 비율로 나누어 정해 놓기는 어렵다. 다만 중점으로 두는 영역에 대해서 보다 더 가중치를 두어 주가 되는 평가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는 교수하는 해당 영역에 초점을 어디에 두는 가에 따라 충분히 조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교수 방법과 교육 평가는 학습 환경인 학습내용, 대상자에 따른 다변성이 있기 때문에 현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교수 방법을 정하여 진행해야 할 것이다.

Ⅳ. 한국문화 교양교과목의 실제

1. 수업 내용 및 구성

<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의이해> 교과목은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 방법에서 주제 중심 모형에 해당한다. 주제 중심 모형 중 언어 위주 주제 중심 모형에 적용하였으며, 수업 소개와 수업 모형, 수업의 실제 예를 통해 2학기 동안 운영한 수업의 실제를 보이고자 한다. 수업 운영의 실제를 보이기에 앞서 이 수업은 일반교양 과목인 교양선택 수업이며, 외국인 유학생 전용 교양교과목이다. 학년 제한 등 수강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따로 두지 않았으며, 외국인 학부생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교양교과목이고, 교환학생도 수강할 수 있다. 2018-1학기에는 총 46명이 수강하였으며, 학부생 29명, 교환학생 17명이 수강하였다. 그리고 2018-2학기에는 총 22명이 수강하였으며, 학부생 17명, 교환학생 5명이 수강을 하였다.

1.1 <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의이해> 수업 소개

아래는 수업의 전반적인 진행 과정과 수업 내용, 수업 방법, 수업 평가에 대한 부분을 정리하였다.

표 4. <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의이해> 수업 소개

1.2 수업 내용 및 구성

위의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한 수업 모형과 그 실제를 보이면 아래 두 표와 같다. 수업은 총 15주차 과정 중에 6주차-7주차에서 해당하는 ‘한국의 주거 문화’에 대한 주제로 운영한 수업이다. 학습자는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접하면서 직·간접적으로 제시된 어휘 및 표현의 의미와 문화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활동을 통해 내용을 이해하고 배운 언어를 활용하여 자신의 견해를 정리하여 말할 수 있다.

표 5. <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의이해> 수업 모형

다음은 <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의이해> 수업의 실제 예이다.

표 6. <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의이해> 수업의 실제 예

<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의이해> 수업은 주제 중심 모형에서 언어 위주 주제 중심 수업이지만 내용과 언어적 목표를 나누어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수업 운영 시 1차시-2차시에는 학습자가 주제와 관련해서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접근해야 하며, 3차시-4차시에서는 언어를 활동하여 제시된 문화 내용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주제 중심 모형에서 언어 교수자는 다양한 자질이 필요하여, 교수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주제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자료 내용의 정확성을 확인해야 하며 해당 주제에 대해서 다양한 방면으로 접근하고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학습한 언어를 활용하여 문화 내용을 잘 설명할 수 있도록 언어 수준과 내용 학습 정도를 파악 후 학습자 중심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수업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2. 수업 운영 평가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기초지식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내용 학습을 통하여 언어 능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그 운영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수업의 실제를 보였다. 2018-1학기, 2018-2학기 1년 동안 내용 중심 언어 교수에서 ‘주제 중심-언어 위주 주제 중심’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 운영 후 교수·학습 만족도 조사를 한 결과이다. 1학기<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의이해> 15주 과정이 끝난 후 교과목 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 응해 준 학생은 총 16명이었다. 16명 중 13명이 여자였으며, 남자가 3명이었다. 국적은 중국이 12명, 일본이 3명, 베트남이 1명이었으며, 학년별 분포는 4학년이 8명으로 가장 많았고, 3학년이 6명, 1학년이 2명이었다. 이들의 한국어 실력은 한국어능력시험의 기준으로 4급이 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3급과 5급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각각 4명으로 확인되었으며, 6급을 가지고 있는 학생도 3명이나 되었다. 전공은 ‘무역학, 일본어학, 중국학, 한국어문학, 심리상담학, 경영학, 정보통신학’ 등이 있었으며, 그중 무역학과와 한국어문학과가 각각 4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경영학이 3명, 중국학이 2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 수업을 듣고 난 뒤 향상된 점은 ‘문화와 관련된 지식 및 교양 쌓기’가 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문화관련 읽기와 뉴스 듣기, 다양한 어휘 및 문법 능력 향상, 문화와 관련된 주제로 토론 및 글쓰기’가 각각 3명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문화와 관련된 전반적인 지식’을 쌓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가장 흥미 있었던 주제는 한국의 ‘의복’ 문화가 가장 관심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음식과 한국의 예술’ 문화가 흥미로웠다는 의견이 있었다. 앞으로 배우고 싶은 주제는 ‘한류’가 4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여행 관광지, 한국의 관광지, 의류, 영화’가 3명으로 동일한 순위를 보였다. 그리고 수업에서 언어 능력과 문화 내용 중 향상된 것은 ‘문화 내용’이 향상되었다는 응답이 6명, ‘한국어와 문화 모두’ 향상되었다는 의견이 6명으로 동일하였으며, ‘한국어’가 향상되었다는 의견이 4명이 있었다. 이 조사를 통해 수업의 전반적인 내용이 학습자들에게 한국 문화와 한국어를 습득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학기와 마찬가지로 2학기에도 <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의이해>를 운영하였으며, 만족도 조사에 응해 준 학생은 총 18명이었다. 18명 중 14명이 여자였으며, 남자가 4명이었다. 국적은 중국이 12명, 일본이 5명, 러시아가 1명이었다. 학년의 비율은 3학년이 1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4학년이 6명, 1학년과 2학년은 각각 1명씩 있었다. 이들의 한국어 실력은 한국어능력시험의 기준으로 3급이 7명으로 가장 많았고, 4급이 4명, 5급과 6급이 각각 2명씩이었으며, 2급이 1명, 미응시가 2명 있었다. 전공은 ‘복지신학과, 경영학과, 글로벌관광 호텔학과, 미디어콘텐츠학과, 전자상거래학과, 영어영문학과’ 등이 있었으며 ‘경영학과’가 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글로벌관광호텔학과 미디어콘텐츠학과가 각각 3명이었다. 그리고 ‘복지신학과, 전자상거래학과, 영어영문학과’가 각각1명이었다.

<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이해>를 듣고 난 뒤 향상된 점은 ‘문화와 관련된 지식 및 교양 쌓기’가 14명으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문화관련 읽기와 뉴스 듣기’, ‘다양한 어휘 및 문법 능력 향상’이 각각 4위를 차지하였다. ‘문화와 관련된 주제로 토론 및 글쓰기’가 1명으로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 수업에서 접한 문화 내용에 대한 도움 정도는 ‘매우 그렇다가’ 10명, ‘그렇다’가 9명이었으며, ‘보통이다’가 3명이었다. 3명을 제외한 19명은 수업 내용에 대해 만족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업에서 언어 능력과 문화 내용 중 더 향상된 것은 ‘문화 내용’이 많이 향상 되었다가 ‘15명’이었으며, ‘한국어와 문화 모두’ 향상되었다가 5명, ‘한국어’가 향상되었다가 4명이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수업에서 ‘문화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많이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두 개 학기 운영 결과를 종합하면, <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의이해>라는 교양교과목을 수강한 대부분의 이유가 한국문화라는 것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크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 수업을 통해 대부분의 학생들이 ‘한국문화와 관련된 지식을 쌓고 싶어서’ 수업을 신청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의 대부분이 ‘음식, 예술’ 문화에 관심이 많았으며, 실제 수업 시간에 ‘한국 음식 문화’에 큰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수업을 듣고 난 뒤 대부분의 학생이 수업 내용에 만족해 했으며, 그 이유는 ‘한국문화와 관련된 지식 내용’을 쌓을 수 있어서라고 답했다. 학생들이 수업 전에 기대한 바와 수업을 듣고 난 뒤 도움이 된 내용이 동일하였고, 이 수업을 통해 한국문화에 대한 배경 지식을 쌓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도구로서 사용된 한국문화를 습득함과 동시에 한국어 실력을 쌓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평가에 만족해 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기대하는 바와 반응은 다변성이 높기 때문에 요구에 맞출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와 콘텐츠로 문화 내용을 접근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나아가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올바른 내용 지식을 전달할 수 있도록 주제의 내용에 있어 정확성을 항상 고려해서 수업 자료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기초학문 지식 즉, 교양 지식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내용을 이해하는데 목표를 두면서 언어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을 제안하였으며, 그 후 ‘주제 중심의 언어 위주 주제 중심’ 모형을 <유학생을위한한국문화의이해>라는 교양 교과목에 적용시켜 수업의 실제를 보였다. 총 두 학기동안 운영하였으며, 운영 사례를 통해 학습 효과를 증명하였다. 김용섭(2013)에서도 언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교실에서 배운 작은 문화교육이 이문화에 대한 갈등을 해소해 주는 계기가 된다고 하였다[9].

현재 국내 대부분의 대학에서 교양 운영 실정은 외국인 유학생 전용 교양교과목으로 개설된 교과목이 극소수이며, 개설되었다손 치더라도 한국어 숙달도 향상 교과목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대부분은 내용 전공 교수자가 학문 목적 학습자인 외국인 유학생의 특징과 환경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교양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수업에서 모든 내용과 교수 방식을 학습자에게 맞추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들 전용으로 개설되는 교과목이 있다면 초기부터 유학생의 특징과 학습 목표에 맞게 체계적으로 설계한 교육 방안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본 논문은 교수자가 학습자의 특징, 다양한 학습 환경을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고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이 의의가 있다고 보며, 이러한 시도가 국내 대학에서 학업을 이수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보다 나은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본 논문은 2018학년도 배재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임

References

  1. https://kess.kedi.re.kr/index
  2. 전재은, "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률에 대한 대학기관 수준의 결정 요인 분석," 글로벌교육연구, 제8집, 제3호, pp.29-51, 2016.
  3. 이상미 "외국인 유학생의 이문화에 대한 태도와 개인적 특성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368-37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368
  4. 김용기, 함정현 "대학의 교양교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616-62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616
  5. 문정현,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교양 교과목을 중심으로 - ,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6. 박석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 및 내실화 방안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43권, pp.31-58, 2015.
  7. 민현식,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술 방안," 한국어교육, 제15권, 제1호, pp.51-92, 2004.
  8. 심혜령, 박석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구현과 실제, 제15회 한국어교육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2019.
  9. 김용섭, "외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통합을 위한 제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1069-107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1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