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oSonT'ongPaeJiIn

조선통폐지인(朝鮮通幣之印) 연구

  • 문상련 (중앙승가대학교 문화재학전공)
  • Received : 2019.03.26
  • Accepted : 2019.05.07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ency (國幣) article in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the ChoSonT'ongPaeJiIn (朝鮮通幣之印) was a seal that was imprinted on both ends of a piece of hemp fabric (布). It was used for the circulation of hemp fabric as a fabric currency (布幣). The issued fabric currency was used as a currency for trade or as pecuniary means to have one's crime exempted or replace one's labor duty. The ChoSonT'ongPaeJiIn would be imprinted on a piece of hemp fabric (布) to collect one-twentieth of tax. The ChoSonT'ongPaeJiIn (朝鮮通幣之印) was one of the historical currencies and seal materials used during the early Chosun dynasty. Its imprint was a means of collecting taxes; hence, it was one of the taxation research materials. Despite its value, however, there has been no active research undertaken on it. Thus, the investigator conducted comprehensive research on it based on related content found in JeonRokTongGo (典錄通考), Dae'JeonHu-Sok'Rok (大典後續錄), JeongHeonSwaeRok (貞軒?錄) and other geography books (地理志) as well as the materials mentioned by researchers in previous studies. The investigator demonstrated that the ChoSonT'ongPaeJiI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concept of circulating Choson fabric notes (朝鮮布貨) with a seal on ChongOseungp'o (正五升布) in entreaty documents submitted in 1401 and that the fabric currency (布幣) with the imprint of the ChoSonT'ongPaeJiIn was used as a currency for trade, pecuniary or taxation means of having one's crime exempted, or replacing one's labor, and as a tool of revenue from ships. The use of ChoSonT'ongPaeJiIn continued even after a ban on fabric currencies (布幣) in March 1516 due to a policy on the "use of Joehwa (paper notes)" in 1515. It was still used as an official seal on local official documents in 1598.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英祖), it was used to make a military service (軍布) hemp fabric. Some records of 1779 indicate that it was used as a means of taxation for international trade. It i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330 ChoSonT'ongPaeJiIn were in circulation based on records in JeongHeonSwaeRok (貞軒?錄). Although there was the imprint of ChoSonT'ongPaeJiIn in An Inquiry on Choson Currency (朝鮮貨幣考) published in 1940, there had been no fabric currencies (布幣) with its imprint on them or genuine cases of the seal. It was recently found among the artifacts of Wongaksa Temple. The seal imprint was also found on historical manuscripts produced at the Jikjisa Temple in 1775. The investigator compared the seal imprints found on the historical manuscripts of the Jikjisa Temple, attached to TapJwaJongJeonGji (塔左從政志), and published in An Inquiry on Choson Currency with the ChoSonT'ongPaeJiIn housed at the Wongaksa Temple. It was found that these seal imprints were the same shape as the one at Wongaksa Temple. In addition, their overall form was the same as the one depicted in Daerokji (大麓誌) and LiJaeNanGo (?齋亂藁).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ChoSonT'ongPaeJiIn at Wongaksa Temple was a seal made in the 15th century and is, therefore, an important artifact in the study of Choson's currency history, taxation, and seals. There is a need for future research examining its various aspects.

조선통폐지인은 "경국대전" "국폐조(國幣條)"의 예에 따라, 1필 내지 반 필의 포(布) 양단에 찍은 인신(印信)으로 포를 포폐(布幣)로 유통키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때 발행된 포폐는 매매를 위한 화폐 내지, 죄를 면제받기 위한 수속(收贖)과 노역을 대신한 신공(身貢)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포에 조선통폐지인을 찍어 그중 20분의 1의 세(稅)를 수납한 조세 용도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조선통폐지인은 조선 초 화폐사 및 인신(印信) 자료 중 하나이며, 조선통폐지인 압인(押印)이 조세 수단이었던 까닭에 조세제도 연구자료 중 하나임에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이전 연구자에 의해 언급된 자료뿐만이 아닌, "전록통고"와 "대전후속록", "정헌쇄록", 몇몇 지리지(地理志)에 등장하는 관련 내용을 바탕으로 포괄적인 연구를 행하였다.조선 태종 1년(1401) 정5승포에 인(印)을 찍어 "조선포화"를 유통하자는 유관의 상소를 착안해 조선통폐지인이 제작된 것임을 말하였으며, 매매를 위한 화폐 내지 수속(收贖)과 신공(身貢), 조세 수단뿐만이 아닌, 선척의 화매가 용도로 조선통폐지인을 찍은 포폐가 사용되었음을 기술하였다. 또한 중종 10년(1515) "저화행용절목" 방침에따라 1516년 3월 이후 포폐 사용이 금지된 후에도 만력 26년(1598) 지방 공문서의 관인으로 조선통폐지인이 사용된 예와, 영조 당시 포보가포(砲保價布)라는 명칭으로 군포(軍布) 제작의 예로 사용되었으며, 1779년 기록을 통해 무역에 따른 납세수단으로 조선통폐지인이 사용된 예가 있음을 서술하였다. "정헌쇄록"기록을 통해 대략 330여과의 조선통폐지인이 유통되었을 것이며, 1940년 간행된 "조선화폐고"에 조선통폐지인 인영(印影)이 실려 있음에도 조선통폐지인이 답인(踏印)된 포폐 내지 조선통폐지인 실물은 발견된 바가 없다. 그런데 최근 원각사 소장 유물 중 조선통폐지인이 발견되었으며, 1775년 작성된 직지사 소장 고문서에 압인(押印)된 조선통폐지인 인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에 직지사 고문서 및 "탑좌종정지"에 첨부된 인영, "조선화폐고"에 실린 인영과 원각사 소장 조선통폐지인을 비교해 보았던바, 위 문서에 압인된 인영은 원각사 소장 조선 통폐지인과 동일한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인 형태 역시 "대록지"내지 "이재난고"에 묘사된 모습과 비견되는 형태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이에 원각사 소장 조선통폐지인은 15세기에 주조된 인신(印信)의 실물로, 조선의 화폐사 및 조세제도와 인신(印信) 연구의 중요 유물로 추후 다양한 측면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經國大典
  2. 高麗史
  3. 國朝寶鑑
  4. 金山直指寺重記
  5. 大麓誌
  6. 大典後續錄
  7. 木川邑誌
  8. 扶餘誌
  9. 宣祖實錄
  10. 成宗實錄
  11. 世祖實錄
  12. 肅宗實錄
  13. 承政院日記
  14. 英祖實錄
  15. 頤齋亂藁
  16. 典錄通考
  17. 貞軒瑣錄
  18. 中宗實錄
  19. 增補典錄通考
  20. 太宗實錄
  21. 湖南邑誌 同福縣邑誌
  22. 국립고궁박물관, 2009, 조선왕조의 관인, p.28, 92
  23. 성인근, 2013, 한국인장사, 도서출판 다운샘, p.194
  24. 柳子厚, 昭和拾五年(1940), 朝鮮貨幣考, 學藝社, 전반부 도록 부분
  25. 李家煥 著(한문분과 역), 2006.5, 이가환의 정헌쇄록 민족문학사연구(30권), 민족문학사학회연구소, pp.391-392
  26. 崔虎鎭, 1974, 韓國貨幣小史(瑞文文庫131), 瑞文社, pp.18-36
  2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편, 2001, 古文書集成(권100, 김천 직지사, 예천 용문사 편),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p.190
  28. 朴平植, 2011.6, 朝鮮 前期의 貨幣論 역사교육(118집), 역사교육연구회, p.97
  29. 元裕漢, 1982, 貨幣流通政策 한국사론(11), 국사편찬위원회, p.115, 134
  30. 전영근, 2011a, 사찰 고문서의 종류와 直指寺, 龍門寺 고문서의 사료적 가치 古文書集成(卷100),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p.32
  31. 전영근, 2011b, 조선시대 사찰문서 연구(박사학위논문),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p.16
  32. 정수환, 2017.10, 頤齋 黃胤錫의 錢文에 대한 관심, 고증 그리고 실험분석 전북사학(51집), 전북사학회, p.87
  33. '개미실사랑방' 블로그 https://roaltlf.blog.me/3770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