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the Original Nine-Story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황룡사 창건 구층목탑 단상

  • Lee, Ju-heun (Archaeological Research Office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주헌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Received : 2019.03.25
  • Accepted : 2019.05.15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According to the Samguk Yusa, the nine-story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was built by a Baekje artisan named Abiji in 645. Until the temple was burnt down completely during the Mongol invasion of Korea in 1238, it was the greatest symbol of the spiritual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at that time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thought in the country for about 700 years. At present, the only remaining features of Hwangnyongsa Temple, which is now in ruins, are the pagoda's stylobate and several foundation stones. In the past, many researchers made diverse inferences concerning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tructure and the overall architecture of the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based on written records and excavation data. However, this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emaining external structure of the pagoda site and the assumption that it was a simple wooden structure, actually suggest that it was a rectangular-shaped nine-story pagoda. It is assumed that such ideas were suggested at a time when there was a lack of relevant data and limited knowledge on the subject, as well as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technical lineage of the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therefore, these ideas should be revised in respect of the discovery of new data and an improved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structural features of large ancient Buddhist pagodas. This study focused on the necessity of raising awareness of the lineage and structure of the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and gaining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system of ancient Buddhist pagodas in East Asia. The study is based on a reanalysis of data about the site of the wooden pagoda obtained through research on the restoration of Hwangnyongsa Temple, which has been ongoing since 2005. It is estimated that the wooden pagoda underwent at least two large-scale repairs between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during which the size of the stylobate and the floor plan were changed and, accordingly, the upper structure was modified to a significant degree. Judging by the features discovered during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traces relating to the nine-story wooden pagoda built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clude the earth on which the stylobate was built and the central pillar's supporting stone, which had been reinstalled using the rammed earth technique, as well as other foundation stones and stylobate stone materials that most probably date back to the ninth century or earlier. It seems that the foundation stones and stylobate stone materials were new when the reliquaries were enshrined again in the pagoda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so the first story and upper structure would have been of a markedly different size to those of the original wooden pagoda. In addition, during the Goryeo period, these foundation stones were rearranged, and the cover stone was newly installed; therefore, the pagoda would seem to have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 size and structure compared to previous periods. Consequently, the actual structure of the original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changes in large Buddhist pagodas built in East Asia at that time, and the technical lineage should start with the large Buddhist pagodas of the Baekje dynasty,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Northern dynasty of China. Furthermore, based on the archeological data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images of the nine-story rock-carved pagoda depicted on the Rock-carved Buddhas in Tapgok Valley at Namsan Mountain in Gyeongju, and the gilt-bronze rail fragments excavated from the lecture hall at the site of Hwangnyongsa Temple, the wooden pagoda would appear to have originally been an octagonal nine-story pagoda with a dual structure, rather than a simple rectangular wooden structure.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황룡사 구층목탑은 백제의 장인 아비지(阿非知)에 의해 선덕여왕 13년(645)에 건립된 것으로 전한다. 이후 고려 고종 25년(1238) 몽고군의 침략으로 사찰이 완전히 불타버리기 전까지 약 700년 동안 당시대인의 정신문화 속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는 상징이자 호국불교의 구심체로서 존재하였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문헌기록과 발굴조사 자료를 근거로 황룡사 창건 목탑에 대한 구조와 전체적인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복원안을 제시해왔다. 하지만 그들이 제시한 황룡사 목탑의 모습은 기본적으로 현재 남아 있는 목탑지의 외형적인 형태와 단순한 목구조를 가정한 사각구층의 형태였다. 이는 관련 자료의 부족과 제한된 지식으로 인해 황룡사 창건 목탑의 기술적 계보에 대한 충분한 인식이 부족한 시기에 이루어진 것이어서 새로운 자료의 발견과 고대 대형 불탑의 구조 체계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충분히 수정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2005년부터 진행된 <황룡사 복원 연구>를 통해 정리된 목탑지에 대한 재분석 자료를 근거로 동아시아 고대 불탑의 구조 체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 속에서 황룡사 창건 목탑의 계보와 구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함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황룡사 창건 목탑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걸쳐 적어도 두 번의 큰 중창을 겪는 동안 기단의 규모와 평면 형식 등이 변화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상부 구조에도 큰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발굴조사 결과 드러난 유구에서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전하는 구층목탑과 관련된 흔적은 현재 판축으로 조성된 기단토와 심초석 정도이며, 그외 초석과 기단 석재 등 대부분은 9세기 이후의 것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황룡사 창건 목탑의 실질적인 구조는 당시 동아시아 대형 불탑의 변화과정 속에서 이해하여야 하며, 기술적 계보는 북조의 영향을 받은 백제의 대형 불탑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나아가 남산 탑곡 마애조상군에 표현된 9층 마애탑의 모습과 황룡사지 강당지에서 출토된 금동제 불탑 난간편 분석을 통하여 파악된 고고자료를 근거로 황룡사 창건 목탑의 이미지를 추정해본다면 외형상으로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지금까지 우리가 인식하고 있던 순수한 목구조를 한 사각구층탑과는 다른 형태로 파악되는데, 아마도 실심체를 갖춘 이원 구조의 팔각구층탑일 것으로 파악된다.

Keywords

References

  1. 高麗史
  2. 東京雜記
  3. 梅月堂集
  4. 四佳詩集補遺三
  5. 三國史記
  6. 三國遺事
  7. 守宗齊集
  8. 淵齊先生文集
  9. 退憂堂集
  10. 皇龍寺刹柱本紀
  11.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경주 남산의 불교유적 III
  1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미륵사지 석탑 구조 안전성 평가 연구
  1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a,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 국제포럼
  1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b, 황룡사 복원 고증 연구(황룡사연구총서 8)
  1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황룡사 9층목탑 복원연구 황룡사 복원 연구포럼
  16.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황룡사 복원 제1차 심화연구
  17.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2, 경주 남산
  1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3, 황룡사 출토 유물자료집 -유물로 본 신라 황룡사-
  1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1996, 미륵사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II
  2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1, 제석사지 I
  21.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3, 제석사지 II
  22. 문화재관리국, 1984, 황룡사 발굴조사보고서
  23.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9, 미륵사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I
  24. 문화재관리국, 1992, 분황사 실측조사보고서
  25. 권종남, 1998, 한국 고대 목탑의 구조 및 의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권종남, 2006, 皇龍寺九層塔, 미술문화
  27. 김정수.박일남, 1981, 황룡사 9층목탑의 형태 추정에 관한 연구 건축 제25권 제102호
  28. 김동열.천득염, 2014, 황룡사지 출토 금동난간편 명문 검토 건축역사연구 23권 6호
  29. 김동현, 1991, 경주 황룡사지에 대한 유구 내용과 문헌자료와의 비교 검토 불교미술 10
  30. 김동현, 1982, 황룡사 9층목탑의 5개 복원안에 대한 비교 계간미술 22
  31. 김동현, 1992, 黃龍寺の建築計劃に關する硏究, 東京大學 博士學位論文
  32. 김준영, 2006, 분황사의 창건과 모전석탑의 조성 배경,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김준영, 2013, 분황사석탑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김환희, 2014, 백제 사비기 인장와의 변천과 제작공정 체계화,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박윤선, 2006, 5세기 중반-7세기 백제의 대외교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박홍국, 2000, 한국의 전탑 연구
  37. 박홍국, 2004, 수인이 법의에 가려진 신라 불상 소고 신라문화 26
  38. 성윤길, 2006, 부여 관북리 출토 금동광배 미술자료 74
  39. 양은경, 2002, 수대 장안.낙양지역 불교조각 연구 강좌미술사 18권 1호
  40. 이병호, 2006, 부여 정림사지 소조상의 제작시기와 계통 미술자료 74
  41. 장기인, 1976, 황룡사 9층목탑 복원공사, 삼성건축설계사무소
  42. 정치영, 2011, 백제.고구려와 위진남북조 제와술 비교 연구 중앙고고연구 8호
  43. 조원창, 2009, 황룡사 중건 가람 금당지 기단 축조술의 계통 문화사학 32
  44. 조유전, 1987, 신라 황룡사 가람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조은경, 2009, 미륵사지 서탑 축조의 구조 원리에 관한 기초연구 문화재 42권 2호
  46. 조은경, 2011, 미륵사지 석탑의 구조체계와 축조 해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조은경, 2017, 6-7세기 백제왕도 사찰 건축의 성격 6-7세기 백제사에 있어서 익산의 위상
  48. 최민희, 2004, 경주 남산 탑곡 마애조상군 I 북쪽면의 마애9층탑 상륜부 변천에 관한 고찰 경주문화논총 제7집
  49. 한욱, 2009, 6-8세기 백제.신라 건축의 축기부 비교 연구 문화재 42-2
  50. 황수영.김길웅, 1990, 경주 남산 탑곡의 사방불암, 통도사성보박물관
  51. 디트리히 젝켈 지음, 백승길 옮김, 1985, 불교미술
  52. 朝鮮總督府, 1940, 慶州南山の佛蹟(朝鮮寶物古蹟圖錄 第2)
  53. 藤島亥治郞, 1933, 建築雜誌 1933-12
  54. 藤島亥治郞, 1976, 韓の建築文化, 藝艸堂
  55. 箱崎和久, 2007, 경주 남산 탑곡 마애탑에 관한 건축적 연구 한일문화재논집 I
  56. 張馭寰 지음, 한동수 옮김, 1997, 북위시기 낙양 영녕사탑에 관한 복원연구 건축역사연구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