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정치적 활동이 성소수자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성결혼 합법화와 차별금지법 제정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Online Political Activity on Attitudes Toward Sexual Minority Issues: Focusing on Legalizing Same-sex Marriage and Enacting an Anti-discrimination Law.

  • 투고 : 2019.10.14
  • 심사 : 2019.12.19
  • 발행 : 2019.12.31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의 정치적 활동이 동성결혼 합법화와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한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러한 영향이 유권자의 종교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권자의 이념성향이 동성결혼 합법화와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정치활동 정도가 높은 유권자일수록 두 이슈에 대해 찬성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한 태도에서 온라인 정치활동의 영향이 종교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즉, 개신교를 믿는 유권자의 경우 다른 종교를 지닌 유권자에 비해 온라인 정치활동 정도가 높아질수록 차별금지법 제정에 반대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정치활동이 성소수자 권리를 증진하는 제도에 대한 유권자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꾸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에서는 이념 갈등이 주로 외교·안보 이슈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이념 변수의 영향력을 고려해볼 때 앞으로 성소수자 문제에서도 이념 문제가 중요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whether online political activities have an important impact on attitudes toward the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and the anti-discrimination law and whether these effects are different by the religion of voter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deology variab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legalizing same-sex marriage and enacting anti-discrimination law. Second, the higher the degree of online political activities, the more likely they will support two issues. Third, the effect on attitudes toward the enactment of anti-discrimination law has appeared different by religion. In other words, Protestants, compared to other religions, are more likely to oppose the enactment of anti-discrimination laws as the level of online political activities increased. Our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found online political activit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voters' attitudes positively toward the enhancement of the right of sexual minorities. Also, although ideological conflicts are usually intense in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in Korea, the sexual minority issue would be likely to be an crucial as a dimension of ideological conflicts.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BK21플러스 공존과 협력을 위한 문제해결의 정치학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