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aoist Elements in South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한국 전통가구 양식디자인의 도교(道敎)적 요소에 대한 연구

  • 소양 (신라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 김기수 (신라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9.06.14
  • Accepted : 2019.07.18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Based on the life of the furniture is to reflect a region and the important basis of ide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culture form the traditional concept of directly determine the style and features of furniture. Due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have a long history of cultural exchanges. Through long-term exchanges, Chinese traditional culture has penetrated into the daily life of the ancestors of the Korean peninsula in various ways. As one of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s, Taoism began to sprea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on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Taoism on the Korean peninsula, Taoism culture with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eninsula was formed and became part of the traditional ideological and cultural life of the ancestors on the peninsula.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furniture on the Korean peninsula, Taoist theories such as yin-yang theory and five-element theory and geomantic geography theory have exerte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use, shape, material and pattern of traditional furnitur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as the heyday of the handicraft industry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is period, the categories of furniture increased, and a large number of furniture with distinctive Taoist characteristics, beautiful shape, excellent design and different uses appeared. Through the study on the modeling, materials, patterns, seals and designs of furnitur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confirms that Taoist thoughts are one of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forms and patterns. Using patterns of various natural objects or plants and animals for furniture design, it is to pray for family members to avoid disasters and disasters. Thus it can be seen that praying for blessings from heaven is the main Taoist thought.

지리적 위치로 인해 한국과 중국은 오랜 문화교류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기간의 교류를 통해 중국의 전통문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한반도 선조들의 일상생활에 스며들고 있다. 중국의 전통문화 중 하나인 도교는 한반도의 삼국시대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도교가 한반도에 녹아들고 발전하면서 한반도만의 특징을 지닌 도교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고, 한반도 선조들의 전통적인 이념 및 문화적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한반도의 가구발달 과정에서 도교의 음양오행설, 풍수지리설 등 도참설(圖讖說)은 한반도 전통가구의 용도, 조형, 재질, 문양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조선왕조 후기는 한반도 수공업 발전의 전성기였다. 이 시기에는 가구류가 증가하여 도교적 특성이 뚜렷하고, 모양이 아름답고, 디자인이 우수하고, 용도가 다른 가구들이 많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 가구의 조형, 재질, 문양, 도장, 디자인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도교사상이 한국의 전통가구의 형태와 문양의 발전에 영향을 준 주요 요소 중의 하나임을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자연물이나 동식물을 가구 디자인의 문양으로 활용한 것은 가족들이 화(禍)를 피하고 하늘로부터 복(福)을 받기를 기원하는 도교의 기복(祈福)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진, 조선 고대 종교와 사상 개론, 중앙민족대학출판사, 2006.
  2. 박정웅, "한국 도교의 기원-한국도교의 자작론과 외래전입론의 비교연구," 당대의 한국, 제2권, pp.95-103, 2011.
  3. 유교성, 한국문화사대계 제2권 한국상공업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65.
  4. 이지훤,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100개의 중요 유파, 무한출판사, 2009.
  5. 한저, 이현석, "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된 도교(道教)와 신도(神道)의 신인관계(神人关系)에 대한 비교 분석 : <일인지하, 2016>,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1>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18 춘계종합학술대회, pp.125-126, 2018.
  6. 양리즈, 리청, 도교와 장강 문화, 호북교육출판사, 2006.
  7. 웅량산, 도덕이 천박하게 해석되다, 화중과기대학출판사, 2003.
  8.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국제, 2001.
  9. 국문리, 조선시대 후기의 전통 가구에 대해 논하다, 칭화대 미술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0. 한옥공간연구회, 한옥의 공간문화, 교문사, 2004.
  11. 김동우, 박영규, 목칠공예, 도서출판솔, 2005.
  1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52290&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1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52337&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1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063&cid=42681&categoryId=42681, 2019.6.13.
  15. https://blog.naver.com/ys871220/221289154097, 2019.6.13.
  16. https://blog.naver.com/marich77/40051677029, 2019.6.13.
  17.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17020&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1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48544&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1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48537&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20. 배만실, 한국 木家具의 전통양식, 이화여대 출판부, 1988.
  21. 이재영, "삼국시대 금동신발 문양의 의미와 상징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618-63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0.618
  22. https://blog.naver.com/neozealot1/221146151310, 2019.6.13.
  2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6435&cid=46657&categoryId=46657, 2019.6.13.
  2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46091&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2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48381&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2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9121&cid=46671&categoryId=46671, 2019.6.13.
  27.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48539&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28. 정홍, 민족연구문집: 국제학술교류권, 중앙민족대학출판사, 2006.
  2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16&aid=0000540053, 2019.6.13.
  3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084&cid=42681&categoryId=42681&expCategoryId=42681, 2019.6.13.
  3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26397&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32. http://m.blog.daum.net/inksarang/16877214, 2019.6.13.
  3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52336&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3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46505&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3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38924&cid=51293&categoryId=51293, 2019.6.13.
  36. https://blog.naver.com/kupu99/130173437595, 2019.6.13.
  37. https://blog.naver.com/chatelain/221351091198, 2019.6.13.
  38. https://blog.naver.com/hanalum08/30092162488, 2019.6.13.
  39. https://smartstore.naver.com/itemlab/products/2853482744?NaPm=ct%3Djwucehew%7Cci%3D8860e5bffbae862e8fadb843ec1cf8c78c70cc0d%7Ctr%3Dimg%7Csn%3D606677%7Chk%3D8fe8e7b424a9e206893b70b774d0adfbca3f8118, 2019.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