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Ad Avoidance Level, Ad Avoidance Type and Its Predictors in Various Mobile Ad Formats

모바일 광고포맷에 따른 광고회피 수준, 회피 유형, 요인에 관한 연구

  • 변성혁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 ;
  • 조창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Received : 2019.06.25
  • Accepted : 2019.07.22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In this study, we wanted to identify the level of ad avoidance, type of ad avoidance and predictors that affect ad avoidance according to mobile ad formats. A survey was conducted on users who had experienced mobile ads and a total of 276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Studies showed that push ad had the highest level of avoidance.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type of ad avoidance, the highest ad avoidance type was immediate ad avoidance in all established ad formats and the lowest ad avoidance type was prior ad avoidance. The results of predicting ad avoidance showed that among 11 independent variables, perceived intrusive variable had a positive (+) effect in all ad formats except push ad and attitude toward mobile ad variable had a negative (-) effect in the push a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by subdividing the advertising formats implemented in mobile.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studying how ad avoidance levels and avoidance types differed accordingly and what were the variables that affect ad avoidance. It also had the practical significance that could help establish an efficient ad execution strategy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devices.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광고포맷에 따른 광고회피 수준과 광고회피 유형,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모바일 광고를 접해 본 총 276명의 설문응답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의 결과, 전달형 광고의 회피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 유형으로는 공통적으로 즉각적 회피가 가장 높았으며 사전적 회피가 가장 낮았다. 광고회피를 예측한 결과는 11개의 독립변인 중 지각된 침입성 변인이 전달형 광고를 제외한 모든 광고포맷에서 광고회피에 양(+)적으로,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 변인은 전달형 광고에서 광고회피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바일에서 집행되는 광고포맷을 세분화 하고 그에 따른 광고회피수준과 회피 유형이 어떻게 다른지,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연구함으로써 종합적인 비교 분석이라는 것의 의의가 있다. 또한 모바일의 특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광고 집행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민, "페이스북광고의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231-23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9.231
  2.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보고서, 한국방송진흥공사, 2018.
  3. 김종민, 김승준, "모바일광고 유형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Archives of Design Research, 제27권, 제4호, pp.165-174, 2014.
  4. 김사라, 임수현, 김상훈, "광고 차단 기술 수용 연구," 광고PR실학연구, 제11권, 제1호, pp.9-35, 2018.
  5. 이정아, 류지연, "인터넷 광고회피에 대한 연구: 회피수준과 회피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6권, 제1호, pp.203-223, 2005.
  6. 홍종필, "매체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광고회피 양상과 광고회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0권, 제5호, pp.181-212, 2009.
  7. 양윤직, 조창환, "광고 매체별 광고회피 수준과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 92호, pp.355-381, 2012.
  8. P. S. Speck and M. T. Elliott,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 media," Journal of Advertising, Vol.26, No.3, pp.61-76, 1997.
  9. C. H. Cho and H. J. Cheon, "Why do people avoid advertising on the Internet?," Journal of Advertising, Vol.33, No.4, pp.89-97, 2004. https://doi.org/10.1080/00913367.2004.10639175
  10. 최승우, 박보람, "인터넷 동영상 인스트림 광고 유형에 따른 광고회피에 대한 연구-유튜브 이용자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제21권, 제3호, pp.665-673, 2015.
  11. 임양미, "모바일 광고앱의 광고효율성 향상을 위한 광고유형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3호, pp.219-226, 2015.
  12. 윤연주, 이영주,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유형별 프리롤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677-68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677
  13. http://www.iab.com/guidelines/native-advertising, 미국 온라인 광고협회, 2014.04.09.
  14. 최윤호, 이재원, "검색 광고 마케팅 서비스 유형 분석과 서비스 품질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456-46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456
  15. 박상진, "인터넷 배너광고의 유머 표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170-17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2.170
  16. 김진아, 김재우, 송지희, "배너광고의 브랜드와 배너광고를 호스트하는 웹사이트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1권, 제5호, pp.3-18, 2010.
  17. 이경렬, "텔레비전 방송광고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들에 관한 연구: 인지적 회피, 기계적 회피, 그리고 물리적 회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2권, 제2호, pp.165-189, 2001.
  18. 김요한, "신문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통권 제64호, pp.9-33, 2004.
  19. D. M. Krugman and K. F. Johnson,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broadcast and VCR movie rental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5, No.2, pp.213-232, 1991. https://doi.org/10.1080/08838159109364119
  20.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보편화되는 광고 차단, 웹 비즈니스와 사용자의 관계 재정립, 2013.
  21. L. F. Alwitt and P. R. Prabhaker, "Identifying who dislikes television advertising: Not by demographics alon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4, No.6, pp.17-30, 1994.
  22. 최은영, 도선재, "인터넷 광고의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의 매체 이용 동기와 능력, 광고 지각 및 광고 태도,"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2호, pp.171-197, 2011.
  23. 김요한, 광고매체별 광고회피 수준 및 광고회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4. 최인규, 한상필, "모바일 광고회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9권, 제3호, pp.523-547, 2008.
  25. 이경렬, 김상훈, "모바일광고의 접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6권, 제3호, pp191-218, 2005.
  26. 소현진, 박범순, "수용자의 광고태도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봄호, pp.115-142, 2008.
  27. 이희준, "인공지능 스피커 (AI 스피커) 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이용 동기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138-154,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3.138
  28. 양정애, 장현미, "소비자의 인터넷 접근성 및 활용능력이 상품구매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2호, pp.160-190, 2014.
  29. S. M. Edwards, Hairong Li, and Joo-Hyun Lee, "Forced exposure and psychological reactanc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perceived intrusiveness of pop-up ads," Journal of Advertising, Vol.31, No.3, pp.83-95, 2002. https://doi.org/10.1080/00913367.2002.10673678
  30. 엄남현, "모바일 광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젊은 소비자들은 온라인 모바일 광고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15-23,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5.015
  31. 김성은, 전중옥, "PPL 광고의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297-31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297
  32. 손상영, 빅데이터, 온라인 마케팅과 프라이버시 보호, KISDI Premium Report, pp.1-26, 2013.
  33. 한은경, 송석재, 임한나, "소셜 커머스의 이용 동기와 만족,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3호, pp.298-325, 2011.
  34. W. O. Bearden and Jesse E. Teel, "Selected determinant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complaint repor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0, No.1, pp.21-28, 1983. https://doi.org/10.1177/002224378302000103
  35. R. H. Ducoffe,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Blog@ managemen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6, No.5, pp.21-32, 1996.
  36. Z. Zhou and Y. Bao, "Users' attitude toward web advertising: effects of internet motivation and internet abilit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9, pp.71-78, 2002.
  37. 이희준, 조창환, "소비자의 광고매체 수용에 대한 탐색 연구: 호의적 반응유발 요인을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제10권, 제3호, pp.244-270, 2017.
  38. 김영욱, "디지털 노동 착취와 감시의 상품화: 온라인맞춤형 광고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해석," 언론과 사회, 제26권, 제1호, pp.34-78, 2018.
  39. 김영욱, 김혜인, 윤소영, "온라인 맞춤형 광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9호, pp.7-41, 2018.
  40. 박명진, 이경렬, 이경아, "제품관여도 및 광고 크리에이티브 소구 방법에 따른 온라인 및 모바일 동영상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제20권, 제4호, pp.108-118, 2017.
  41. 조윤진, 박범순, "제품유형과 제시유형에 따른 웹툰 PPL 효과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37-46,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037
  42. 김성재, 유명길, "메시지 프레이밍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8호, pp.177-18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8.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