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Life Stress, Social-Anxiety on Smart phone Over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Received : 2019.10.15
  • Accepted : 2019.12.24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through social-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 life stress and smart phone overdependence.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at the Southern Post using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RLSS-CS), social anxietyy scale(SIAS), smart phone overdependence scale(S-scal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BEQ). Data collected from 400 (200 men, 200 women)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ocial-anxiety, smart phone overdependenc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ly,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social-anxiety on the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ffecting smart phone overdependence. Thirdly, emotional expressiveness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university student' life stress on smart phone overdependence through social-anxiety. In this study, the pathway leading to the smart phone overdependence was examined jointly, including life stress, social-anxiet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조절하는 정서표현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활스트레스 척도, 사회불안척도, 스마트폰 과의존척도, 정서표현성 척도를 이용하여 서던포스트에서 설문조사를 하였고, 400명(남 200명, 여200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PSS 21.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스트레스, 사회불안, 스마트폰 과의존 및 정서표현성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불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SPSS Macro를 통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결과,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불안이 이를 매개하며, 사회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정서표현성이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