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student' life stres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1초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aily Life Stress, Self-efficacy and University Student Life Adjustment

  • Lee Young Whee;Lee Young Ja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64-671
    • /
    • 2005
  • Purpose. This correlation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aily life stress, self-efficacy and university student life adjustment and to analyze the self-efficacy affecting that university student life adjustment. Methods. 265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several participating required undergraduate classes. They were survey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Results. The university life adjustment level showed a maximum score of 9 with the mean score 5.22.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Also, there was positively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lf-efficacy and daily life stress accounted for $23\%$ of the variance in university student life adjustment.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efficacy is a useful concept in helping overall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erefore, university student consultation office or nurse should consider the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in order to help university students to better adapt to university life.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Sleeping Disorder of University Student)

  • 정선희;박종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45-353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광주 전남에 소재한 대학생 342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에 의해 시행되었다. 수면장애는 가족과 떨어져 자취하는 대학생이 많았고(p=0.042), 주거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음 역시 수면장애와 연관성이 높았다(p=0.002). 또한, 대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만족을 갖지 못하는 경우(p=0.007), 건강이 보통 이하 정도로 불량할 경우 수면장애가 많았다(p=0.010). 생활 스트레스 역시 수면장애와 관련이 있었고(p=0.004), 장래문제와 관련된 스트레스(p=0.002), 가치관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자취생활, 주거 소음, 학교생활의 불만족, 불량한 건강, 생활 스트레스, 특히 장래 문제 및 가치관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수면장애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수면장애를 유발하는 스트레스에 대해 다양한 요인과의 분석을 통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치위생과 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그릿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ntal hygiene student's life stress and gri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황주희;유경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3-79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life stress, gri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rom October 19 to November 7, 2020, targeting 196 students enrolled in dental hygiene departments in Daejeon and Daegu. Life stress, gri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measured. For data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4.0. Results: Life stress was 2.12 points, grit was 3.07 point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3.43 poi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influenced by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department, as well as life stress and gri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found to be grit. These variables could expla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23.8%. Conclusions: For students to advance successfully into society as dental hygienists, a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that can help students achieve self-confidence and establish career goals should be developed. additionally, a program that can enhance grit should be included in this development.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Life Stress, Social-Anxiety on Smart phone Over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 김지연;최승미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361-38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조절하는 정서표현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활스트레스 척도, 사회불안척도, 스마트폰 과의존척도, 정서표현성 척도를 이용하여 서던포스트에서 설문조사를 하였고, 400명(남 200명, 여200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PSS 21.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스트레스, 사회불안, 스마트폰 과의존 및 정서표현성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불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SPSS Macro를 통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결과,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불안이 이를 매개하며, 사회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정서표현성이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부정정서 극복력이 대학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lience of the negative emotion in health-related university student on the stress of university life)

  • 최정옥;최유진;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88-394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부정정서 극복력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경상남도 소재의 보건계열 대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보건계열 학생의 부정정서 극복력은 평균 4.49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 스트레스는 2.74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반응에 대해서는 공격성 반응이 1.76으로 가장 낮았고, 피로반응이 2.71로 가장 높았다. 부정정서 극복력과 스트레스 반응,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관계를 상관분석 한 결과, 부정정서 극복력은 대학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과 부적상관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정서 극복력은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대학생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반응 하위요인에서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극복력은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보건계열 대학생 중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학생에게는 부정정서 극복력이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스트레스 반응의 하위요인에 받는 적절한 스트레스 완화방법이 요구되어 진다.

16주간의 걷기운동이 대학생의 감정상태, 기분상태 및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6 week Walking exercise of college students Changes in Feeling, Mood state, and College student life stress)

  • 이현;최재원;강성구;유하나;이경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85-193
    • /
    • 2020
  • 본 연구는 걷기운동이 대학생들의 감정상태, 기분상태 및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16주간의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걷기운동의 효과를 탐색하고자 걷기운동집단 24명과 통제집단 26명의 두 집단을 총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측정(0week), 중간측정(8week), 사후측정(16week)으로 구성되는 2×3 반복측정에 의한 요인설계(2×3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로 대학생의 감정상태, 기분상태 및 생활 스트레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감정상태는 운동집단이 긍정적인 증가 추이를 보였으며 기분상태는 긴장, 분노, 우울, 피로, 혼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고 활력은 증가하였다. 또한 대학생 생활스트레스는 동성친구, 학업, 경제, 장래, 가치관 요인의 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걷기운동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방법으로서 지속적인 학업 동기 및 삶의 질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Stress,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이성옥;이선미;김종림;이정숙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2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stress,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HPB)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337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an scores of male in HPB and self-esteem, we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however the mean score of female in school life stres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The gender(p<.001), grade(p<.05), and health status(p<.001) affected the HPB significantly. The school life stres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HPB, but the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HPB.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two factors, that were school life stress and self-esteem, affected the HPB significantly(p<.001) and made a 48% predi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 life stress and self-esteem a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HPB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ive HPB program and systematic health education are needed to increase the HPB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

의과대학 학생들의 생활실태 및 학생지원 방안 (Assessing Life Surveys of Medical Students and Need-Based Student Services)

  • 김선경;배재훈;이재호
    • 의학교육논단
    • /
    • 제24권3호
    • /
    • pp.205-21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state, lifestyle, self-management ability, and academic adaptation of medical students, and to present examples of improvement of a student support center based on the results. A medical school in Daegu has been surveying the living conditions of students every year for 6 years since 2016. More than 60% of medical students experienced depression and more than 70% experienced stress, but these rate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over the past 5 years. There were many cases of drinking or smoking to relieve stress, but the frequency of drinking recently decreased substantially. Some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11.5%) and time management (16.6%), and challenges in planning and self-managemen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The satisfaction and adaptability of medical students are high, but the number of students who are not satisfied with but negative response rate is 2%-3% in every year. However, satisfac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andem with curriculum changes and COVID-19. Based on these data, the counseling system was reorganized to support psychological stability, the medical humanities curriculum was improved, and changes in actual quality of life were induced by developing and operating non-curricular programs. Furthermore, standardized questionnaires will be developed and data from many medical schools will be shared, which is expected to support medical students more effectively.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it and Stress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이승주;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69-276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과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대학에 재학 중이면서 최소 1학기의 임상실습을 이수하고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145명의 학생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6월 14일부터 6월 16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그릿(Grit)은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7, p=.047)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31, p<.001)가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에 그릿(Grit)과 스트레스는 11.2%의 설명력(F=9.98, p<.001)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그릿(Grit)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제안한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영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ess and Spirituality on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 이정림;강석정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1호
    • /
    • pp.87-93
    • /
    • 2021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pirituality and quality of life and verify the effect of mediating spirit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73 fourth-year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 stress, spirituality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from November 9 to December 9 in 2020.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str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49, p<.001) and spirituality (r=-.40, p<.001). In addition, spiritua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56, p<.001) and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 order to reduce str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pply a spirituality promotion program recognizing and developing nursing student's spirit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