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Co-Wis 개발 절차 및 단계
그림 2. Co-Wis 분석 단계
그림 3. 비약물성 치매 진단콘텐츠(Co-Wis) 작동화면
표 1. 비약물성 치매진단콘텐츠(Co-Wis) DB Table
표 2. 비약물성 치매 진단콘텐츠 인지영역별 세부검사
표 3. 연구 참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표 4. 서울신경심리검사 제2판(SNSB-II) 주의력 항목과 비약물성 치매진단콘텐츠 주의력항목 상관관계
표 5. 서울신경심리검사 제2판(SNSB-II) 기억력 항목과 비약물성 치매진단콘텐츠 기억력항목 상관관계
표 6. 서울신경심리검사 제2판(SNSB-II) 언어력 항목과 비약물성 치매진단콘텐츠 언어력항목 상관관계
표 7. 서울신경심리검사 제2판(SNSB-II) 시지각기능 항목과 비약물성 치매진단콘텐츠 시지각기능항목 상관관계
표 8. 서울신경심리검사 제2판(SNSB-II) 계산력 항목과 비약물성 치매진단콘텐츠 계산력 항목 상관관계
표 9. 서울신경심리검사 제2판(SNSB-II) 고위인지기능과 비약물성 치매진단콘텐츠 고위인지기능 상관관계
표 10. Co-Wis 1회차 주의력항목과 Co-Wis 2회차 주의력항목 상관관계
표 11. Co-Wis 1회차 기억력항목과 Co-Wis 2회차 기억력항목 상관관계
표 12. Co-Wis 1회차 언어력항목과 Co-Wis 2회차 언어력항목 상관관계
표 13. Co-Wis 1회차 시지각기능 항목과 Co-Wis 2회차 시지각기능항목 상관관계
표 14. Co-Wis 1회차 계산력 항목과 Co-Wis 2회차 계산력 항목 상관관계
표 15. Co-Wis 1회차 고위인지기능과 Co-Wis 2회차 고위인지기능 상관관계
References
- http://www.kostat.go.kr, 2018.12.10.
- http://www.hira.or.kr, 2018.12.15.
- C. R. Jack Jr., D. S. Knopman, W. J. Jagust, L. M. Shaw, P. S. Aisen, M. W. Weiner, R. C. Petersen, and J. Q. Trojanowski, "Hypothetical model of dynamic biomarkers of the Alzheimer's pathological cascade," Lancet Neurology, Vol.9, No.1, pp.119-128, 2010. https://doi.org/10.1016/S1474-4422(09)70299-6
- 대한치매학회, 치매임상적 접근, 아카데미아, 2011.
- http://www.nid.or.kr/, 2019.04.10.
- 최영희, 신경림, 김옥수, 고성희, 공은숙, 노인과 건강, 현문사, 2010.
- S. M. Go, K. S. Lee, S. W. Seo, J. Chin, S. J. Kang, S. Y. Moon, D. L. Na, and H. K. Cheong, "Survival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in Korea,"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Vol.35, pp.219-228, 2013. https://doi.org/10.1159/000347133
- 최광원, 김승일, 조상연, 송혜정, 김종대, 김유섭, 박찬영, 신규성, 경민선, 김영목, 박형기, 이은영, 이명선, 김종원, "난소암 조기진단을 위한 다중 바이오마커 선택 알고리즘 성능 비교," 한국정보과학회, 제6권, pp.176-179, 2011.
- 손종구, 조제열, 전승표, 이준우, "바이오마커의 최근 시장동향 분석," 한국생체재료학회, 제14권, 제2호, pp.78-85, 2010.
- 이동영, 손보경,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임상진단기준: NIA-AA 진단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노인정신의학, 제16권, pp.7-12, 2012.
- 유승호, 이준영, 이남진, 신권철, 이현주, 김설민, 지역사회 장기요양 치매 환자에 대한 안정적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델 개발, 건국대학교, 2013.
- 김영환, 손미, 정희태, 컴퓨터 기반 적응적 검사(CAT)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2002.
- L. Zhang, B. C. Abreau, B. Masel, B. S. Scheibel, C. H. Christansen, N. Huddleston, and K. J. Ottenbacher, "Virtual reality in the assessment of selected cognitive function after brain injury,"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Vol.80, pp.597-604, 2001. https://doi.org/10.1097/00002060-200108000-00010
- 이희령, 김지연, 한대성, "한국 작업치료의 인지재활실태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0권, 제2호, pp.73-84, 2012.
- 박종익, 이현정, 고효정,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를 이용한 해독된 알코올 환자의 신경심리기능," 신경정신의학, 제43권, 제5호, pp.570-576, 2004.
- 강연욱, 장승민, 나덕렬, 서울신경심리검사 2판, 휴브알엔씨, 2012.
- J. H. Park and Y. C. Kwon, "Standardization of Korea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Korean Neuropsychiatry, Vol.28, pp.508-513, 1989.
- 김재민, 신일선, 윤진상, 이형영, "치매 선별을 위한 MMSE-K와 K-MMSE의 진단 타당도 비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제42권, 제1호, pp.124-130, 2003.
- 정현강, 한창수, "일차의료 현장에서 치매의 진단 및 치료," 대한의사협회, 제56권, 제12호, pp.1104-1112, 2013. https://doi.org/10.5124/jkma.2013.56.12.1104
- 이강수, 정해관, 오병훈, 홍창형,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인지선별검사 4종의 타당도 비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제48권, pp.61-69, 2009.
- 이현주, 최희연, 연규월, 김영철, 임원정, 김지현, 김수인, "노인에서 비만과 MMSE-K 점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제52권, pp.447-453, 2013.
- 고진경, 조문기, "치매조기검진제도에 대하 한.일 비교연구," 일본문화탐구지, 제67권, pp.331-344, 2018.
- 김다정, 최지영, 이동우, 오경자, "한국판 노인 행동평가척도의 임상적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 제36권, 제2호, pp.283-290, 2017.
- 최진영, 박미선, 조비릉, 양동원, 김상윤, "전산화된 치매선별 검사의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21권, 제2호, pp.445-460, 2002.
- 김현, 박중규, 이강준, "경도인지장애의 신경인지기능: 알쯔하이머병 환자와 정상대조군과의 비교," 재활심리연구, 제14권, 제1호, pp.1-16, 2007.
- 장수연, 이영실, 이보람, 김유진, 최나혜, 박보현, 이태진, "치매 진단 검사법의 비용-효과성에 대한 체계적문헌 고찰,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4권, 제1호, pp.36-65, 2018.
- 이택영, 이성아, 도기철, 작업-기반 중심의 활동분석, 영문출판사, 2016.
- 권용철, 박용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제1편 MMSE-K의 개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25-135, 1989.
- K. F. Barney and M. A. Perkinson, OCCUPATIONAL THERAPY with Aging Adults, ELSEVIER, 2016.
- 배대석, 이종범, 반영기,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의 이해와 해석, 하나의학사, 2005.
- 안재억, 의학.보건학 통계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1.
- 배정민, 그림으로 이해하는 닥터 배의 술술 보건의학통계, 한나래아카데미, 2018.
- 강현철,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5호, pp.587-594, 2013. https://doi.org/10.4040/jkan.2013.43.5.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