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Out of School Children Health Check-up

한국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의 현황과 과제

  • Received : 2019.04.09
  • Accepted : 2019.06.11
  • Published : 2019.07.28

Abstract

Health inequality means health gaps that can be affected adverse effects to the vulnerable groups in a society. Many scholars argue that it is needed social interventions to reduce health gaps between the vulnerable and the privileged in a society, because social inequalities can be caused and resulted health inequality among them.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introduces Korean out of school children health check-up as part of the policies to reduce health inequality in the society. For a long time, many out of school children have been alienated from the national health checkup systems. That means they are not only marginalized groups in Korean society, but also excluded from the benefits of health promotion and health management. Many runaway youths are struggling to live by themselves, who are escaped from their families and they don't have enough resources to keep their health. They are also young and low waged workers who are expelled to the streets, while they don't have any support and protection from the communities. Out of school children health checkup has been conducted to the adolescents who stay in the shelters or study in alternative schools. To get meaningful results as the health inequality reduction policy, it is needed to expand out of children health checkup to the runaway teenagers.

건강불평등은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상의 차이를 일컫는다. 여러 학자들은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건강 불평등을 축소하려는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여성가족부가 지난 201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을 한국 사회의 건강불평등 감소 정책의 일환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국가건강검진제도에서 소외됐던 학교 밖 청소년을 검진제도 내로 편입한 것은 국가차원의 건강불평등 완화 정책으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지금까지 학교 밖 청소년은 한국 사회에서 소외집단이었을 뿐 아니라, 건강검진제도 내에서도 사각지대에 있었다. 이중의 상당수는 가족주의가 굳건한 한국사회에서 가족의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한 채 거리로 쫓겨난 어린 노동자임에도 불구하고 '일탈적인 10대', '가출 청소년', '비행 청소년' 등으로 불리며 차별받았다. 현행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은 대안학교에 다니거나 쉼터에 거주하는 등 비교적 주거파악이 쉬운 청소년 위주로 실시되고 있다. 이 제도의 실질적인 성과를 위해서는 주거가 불안정한 가출 청소년까지 검진제도 내로 포섭하는 접근성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진 사후관리, 예방접종과 정신건강, 검진주기 단축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한 방법과 실행이 더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표 1. 학교밖 청소년 건강검진 검사항목

CCTHCV_2019_v19n7_546_t0001.png 이미지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공단, 2018 건강검진 실시안내, 2018.
  2. P. Braveman, Health Difference, Disparity, Inequality, or Inequity-What Difference Does It Make What We Call It?, Buchbinder, Mara, Michele Rivkin-Fish and Rebecca L. Walker eds. Understanding Health Inequalities and Justice, The University of North Calrolina Press: Chapel Hill, 2016.
  3. J. Kahn, Chapter 2: The Politics of Framing Health Disparities: Markets and Justice, Gomez, Laura E & Nancy Lopez eds. Mapping "Race": Critical Approaches to Health Disparities Research, New Brunswick, New Jersey, and London: Rutgers University Press, 2013.
  4. P. Farmer, Infections and Inequalities: The Modern Plagues, Berkely, Los Angeles and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5. 폴 파머 지음, 권력의 병리학, 김주연.리병도 옮김, 서울: 후마니타스, 2009.
  6. Collins, Patricia Hill, Black Feminist Thought: Knowledge, Consciousness, and the Politics, Routledge, 2008.
  7. Kittay, Eva Feder, The Liberal Autonomous Subject and the Question of Health Inequalities, Buchbinder, Mara, Michele Rivkin-Fish and Rebecca L. Walker eds. Understanding Health Inequalities and Justice,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Chapel Hill, 2016.
  8. 김기태, 대한민국 건강불평등 보고서, 나눔의 집, 2012.
  9. D. Sherman, "The Neglected Health Care Needs of Street Youth," Public Health Reports, Vol.107, No.4, 1992.
  10. 민가영, "'피해 협력성'을 이끌어내는 '비강압적 착취의 맥락'에 대한 연구: 십대 가출여성의 가출팸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32권, 제1호, pp.101-141, 2016.
  11. 이소희, 안명옥, 정은희, 이문수, 이연정, 학교 밖 청소년 건강증진 서비스 시범사업 운영 및 개선방안, 국립중앙의료원, 2015.
  12. 김연주, "성매매 피해 십대 여성들의 자활을 위한 쉼터의 역할과 위치 모색:A쉼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30권, 제3호, pp.123-158, 2014.
  13. 정익중, 박재연, 김은영, "학교청소년과 학교밖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4권, pp.222-251, 2010.
  14. 김은녕, 서보람, "가출 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진로태도성숙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 일시 청소년쉼터 이용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197-20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197
  15. 윤철경, 성윤숙, 유성렬, 김강호, 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맟춤형 대책 연구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16. 백혜정, 송미경,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17. 황순길 외, 학교 밖 청소년 건강실태 및 건강증진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4.
  18. 성윤숙, 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맞춤형 대책 연구I-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별 특성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19. 황세영, 조성화,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20. 이현우 양명숙,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기개념명확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2호, pp.91-116, 2017.
  21. 백혜정, 임희진, "학교 밖 청소년 건강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NYPI 청소년정책 리포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22. P. Farmer, Aids and Accusation: Haiti and the Geography of Blame, Berkely, Los Angeles and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23. 여성가족부, "학교 밖 청소년 5명중 1명은 건강관리필요: 2016년 첫 시행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 결과분석," 2017.3.22.일자 보도자료.
  24. 여성가족부.국민건강보험공단, 2017년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 사업설명회, 2017.
  25. 여성가족부,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 하반기부터 국가가 확진까지 전액 부담," 2018.7.11일자 보도자료, 2018.
  26.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년도 건강보험 수검률 현황, 미간행, 2018.
  27. 구승신, 정옥희, 장성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225-23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