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College Freshmen's Intention to Drop Out

전문대학 신입생의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eceived : 2019.03.25
  • Accepted : 2019.04.29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dropout intention of college freshmen. For this purpose, the freshmen were collected from A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from October 16 to 30, 2017. We analyzed 1,369 data in terms of the individual, family, educational institution, and social factors using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factors which influence dropout intention of freshmen are overall university satisfaction, the degree to which they think their majors fit them,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willing to recommend their department to others, a plan to dropout, and a plan to take a leave of absence. Second, the family factors are the encouragement of parents and family to do well in college. Third, educational institution factors ar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of majors, a sense of belonging to department, the degree to which the professors instill career vision and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facilities. Fourth, social factors are the degree they think going to college was a good choice in their life and the degree they think knowledge learned in college is helpful to them.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what to be considered at professors, school personnel, and university level and discussed how to reduce dropout rate of freshmen in university.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A전문대학 1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2017년 10월 16월부터 10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설문지 1369부를 t-test, ANOVA 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개인 요인, 가정 관련 요인, 교육기관 관련 요인, 사회 관련 요인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개인 요인 중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반적인 대학 만족도, 전공이 본인과 맞다고 생각하는 정도 등이었다. 둘째, 가정 관련 요인 중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와 가족이 대학생활을 잘하도록 독려하는 정도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기관 관련 요인 중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학과의 교육과정 만족도, 자신이 속한 학과 소속감 정도, 교수가 진로 비전과 자부심을 심어주는 정도, 대학 교육시설 만족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 관련 요인 중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진학이 인생에서 잘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정도, 대학에서 배우는 지식이 자신의 삶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는 정도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학업지속을 위해 교수, 교직원, 대학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고 신입생들의 학업중단율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표 1. 대학의 학업중단자수, 재적학생수, 학업중단율 변화

CCTHCV_2019_v19n6_257_t0001.png 이미지

표 2. 연구대상자 구성 특성

CCTHCV_2019_v19n6_257_t0002.png 이미지

표 3. 학업중단의도에 관한 설문지 내용

CCTHCV_2019_v19n6_257_t0003.png 이미지

표 4. 학업중단의도 요인 신뢰도 계수

CCTHCV_2019_v19n6_257_t0004.png 이미지

표 5. 성별, 연령, 학과계열에 따른 학업중단의도

CCTHCV_2019_v19n6_257_t0005.png 이미지

표 6. 개인 요인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6_257_t0006.png 이미지

표 7. 가정 관련 요인이 학교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6_257_t0007.png 이미지

표 8. 교육기관 관련 요인이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6_257_t0008.png 이미지

표 9. 사회 관련 요인이 학교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6_257_t0009.png 이미지

표 10. 개인 요인, 가정 관련 요인, 교육기관 관련 요인, 사회 관련 요인 별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6_257_t0010.png 이미지

References

  1. http://kess.kedi.re.kr- 교육통계연보, 2018년 12월 28일 인출.
  2. A. Light, "The effect of interrupted schooling on wages," J. of Human Resources, Vol.30, No.3, pp.472-502, 1995. https://doi.org/10.2307/146032
  3. S. L. DesJardins, A. A. Ahlburg, and B. P. McCall, "An event history model of student departure,"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Vol.18, No.3, pp.375-390, 1999. https://doi.org/10.1016/S0272-7757(98)00049-1
  4. E. T. Pascarella and P. T. Terenzini,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A third decade of research, Vol.2, Indianapolis, Indiana: Jossey-Bass, 2005.
  5. 김재현, "전문대학생의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과 중도탈락의도의 위계적 관계," 직업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pp.249-266, 2011.
  6. 김수연, "대학생 학업 지속과 중도탈락 요인 분석," 한국교육, 제33권, 제4호, pp.33-62, 2006.
  7. 형정은, 김정섭, "전문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중도탈락의도간의 구조관계 분석 - 우울, 진로미결정,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7호, pp.189-220, 2016.
  8. 박은주, 이혜경,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K 전문대학교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46권, pp.91-111, 2016.
  9. 박한샘, "지방대학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C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5호, pp.423-442, 2017.
  10. V. Tinto,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of Student Attrition (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11. J. E. Hoyt and B. A. Winn, "Understanding retention and college student Bodies: Differences between drop-outs, Stop-outs, Opt-outs, and Transfer-outs," NASPA J., Vol.41, No.3, pp.395-417, 2004. https://doi.org/10.2202/1949-6605.1351
  12. 금명자, "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4권, 제1호, pp.299-317, 2008.
  13. 이정기, "대학생 학업 중단의도 결정요인 분석을 통한 학교 부적응, 학업 중단 예방 전략의 제안," 사회과학연구, 제34권, 제3호, pp.1-24, 2018. https://doi.org/10.15820/KHJSS.2008.34.3.001
  14. 양경화, 잠재적 중도탈락학생의 적응강화를 위한 단기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5. M. D. Hoffshire, N. Ralston, and K. J. Lacho, "College freshmen retention: The first-year experience program,"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Educational Leadership, Vol.18, No.1, pp.31-35, 2013.
  16. T. Kantanis, "The role of social transition in students' adjustment to the first-year of university," J. of Institutional Research, Vol.9, No.1, pp.100-110, 2000.
  17. P. Wilcox, S. Winn, and M. Fyvie-Gauld, "It was nothing to do with the university, it was just the peopl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first-year experience of higher education," Studies in Higher Education, Vol.30, No.6, pp.707-722, 2005. https://doi.org/10.1080/03075070500340036
  18. K. Zvoch, "Freshman Year Dropouts: Interactions Between Student and School Characteristics and Student Dropout Status," J. of Education for Students Placed at risk, Vol.11, No.1, pp.97-117, 2006. https://doi.org/10.1207/s15327671espr1101_6
  19. 김수연, "대학 학업중단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1학년 적응 과정 분석," 진로교육연구, 제5권, 제3호, pp.139-160, 2012.
  20. V. Tinto, "Dropout from higher education: 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45, No.1, pp.89-125, 1975. https://doi.org/10.3102/00346543045001089
  21. V. Tinto, "Research and practice of student retention: What next?," Vol.8, No.11, pp.1-19, 2006-2007. https://doi.org/10.2190/4YNU-4TMB-22DJ-AN4W
  22. 이병식, "대학생의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 특성의 탐색적 분석," 교육학연구, 제41권, 제2권, p.135, 2003.
  23. 김용남, 대학생의 학업중단 요인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4. 박은선, 김광현, "학업중단요인 및 대학생활적응요인이 대학 신입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0호, pp.361-384, 2016.
  25. 소병한, 김재웅,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전문대학 중도탈락 원인 분석: 대학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33권, 제3호, pp.405-426, 2015.
  26. 최길순,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비즈니스리뷰, 제3권, 제1호, pp.95-118, 2010.
  27. 한동욱, 강민채, "교육만족도 관점에서 학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63-7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1.063
  28. 최길성, 이용창,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 전문대학 중도탈락 개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979-98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979
  29. 김나미, 김효원, "대학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동료멘토링 활용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12호, pp.875-990, 2015.
  30. V. Tinto, Leaving Colle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31. 백은주, 남민우, 이해듬,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 타당화," 순천향인문과학논총, 제34권, 제2호, pp.233-260, 2015.
  32. V. Tinto, Student Attrition and Retention, In B. Clark. and G. R. Neave (eds.),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3, New York: Pergamon Press, 1992.
  33. G. G. Darkenwald, "Retaining adult student,"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vocational education, Ohio State University, 1981.
  34. D. R. Garrison, "Dropout in adult education,"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Vol.13, Pergamon, 1992.
  35. W. H. Sewell and R. M. Hauser, Education, occupation, and earnings, Achievement in the Early Career, New York: Academic Press, 1975.
  36. A. W. Astin, "Assessing the Environment," In Assessment for Excellence-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New York: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 and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pp.81-93, 1991.
  37. 구자경, 홍진영, 장유진, "청소년의 자퇴 욕구 실태와 관련 특성 연구," 학교를 떠나려는 아이들에 대한 이해와 상담전략, pp.1-54, 서울: 서울특별시청소년종합상담실, 2001.
  38. 박희민, 전문대학 학생중도탈락 요인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9. 변형민, 전문대학 1학년생의 자퇴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40. 오지혜, 4년제 지방대학생의 중도탈락 원인분석,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1. A. Woodley and M. Parlett, "Student drop out," Teaching at a Distance, Vol.24, pp.2-23, 1983.
  42. R. A. Voorheess, "Toward building models of community college persistence,"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26, No.1, pp.115-129, 1987. https://doi.org/10.1007/BF00992024
  43. 최명선, 강지희, "대학생 중도탈락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7호, pp.203-225, 2008.
  44. V. Tinto, "Promoting Student Retention : Lesson Learned from the United States," Presented at the 11th Annual Conference of the European Access Network, Prato, Italy, June 19, 2002.
  45. R. Chen,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college student dropout risks: A multilevel event history analysi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53, No.5, pp.487-505, 2012. https://doi.org/10.1007/s11162-011-9241-4
  46. M. Rump, W. Esdar, and E. Wil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academic motivation on higher education students' intention to drop out," European J. of Higher Education, Vol.7, No.4, pp.341-355, 2017. https://doi.org/10.1080/21568235.2017.1357481
  47. C. F. Ratelle, F. Guay, R. J. Vallerand, S. Larose, and C. Senecal, "Autonomous, controlled, and motivated types of academic motivation: A person-oriented analysis,"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9, No.4, pp.734-746, 2007. https://doi.org/10.1037/0022-0663.99.4.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