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Impact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lderly

경제활동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9.04.15
  • Accepted : 2019.05.30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prov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is a pathway analysis study using 3060 working elderly. This study was performed as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2017 Korean Elderly Examination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way analysis. Results: Depressi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Life satisfaction was directly affected by depression(.38, p=.019) and job satisfaction(.22, p=.009). Job satisfaction was also directly affected by depression(.20, p=.009). Depression was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in affecting to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affect to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lderly and life satisfaction is affected by depression via job satisfaction. It suggests that it needs to provide nursing intervention for job satisfaction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lderly.

목적: 본 연구는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우울과 일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주관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근거로 이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65세 이상의 노인 중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 3060명을 대상으로 하여 경로모형을 만들고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우울과 일 만족도,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효과 크기는 우울(.38, p=.019)과 일 만족도(.22, p=.009) 모두 유의하였으며 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우울(.20, p=.009)의 효과도 유의하였다.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Z=7.17, p<.001)가 유의하여 우울은 일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우울과 일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우울은 일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 및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271_f0001.png 이미지

Fig. 1.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CCTHCV_2019_v19n6_271_f0002.png 이미지

Fig. 2. Model of depressi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ith parameter estimates.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CTHCV_2019_v19n6_271_t0001.png 이미지

Table 2. Correlation among Variables in the Elderly

CCTHCV_2019_v19n6_271_t0002.png 이미지

Table 3. Total Effect,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for Path Analysis Model

CCTHCV_2019_v19n6_271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3111574344936, 2019.4.8.
  2. https://news.joins.com/article/19241800, 2019.4.8.
  3. 김형수, 권이경,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36-24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36
  4. 문성미, "노인의 사회경제적 상태, 건강상태,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6호, pp.259-271,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6.259
  5. 심선숙, 방미란, "일 지역 노인의 우울, 가족지지 및 삶의 만족도," 재활간호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22-128, 2017. https://doi.org/10.7587/kjrehn.2017.122
  6. 김수희, 정종화, 송진영,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3호, pp.167-191, 2018.
  7.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3/170008/, 2019.4.11.
  8.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MainPrint.do?idx_cd=4070&board_cd=INDX_001, 2019.4.11.
  9. 강서영, 박인혜, "일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 모형구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02-313, 20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302
  10. J. Rowe and R. Kahn, Successful Aging, reprinted, Pantheon Books: New York, 1999.
  11. S. Ghimire, B. K. Baral, I. Karmacharya, K. Callahan, and S. R. Mishra,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patients in Nepal: associations with nutritional and mental well-being," Health Qual Life Outcomes, Vol.16, No.1. p.118, 2018. https://doi.org/10.1186/s12955-018-0947-2
  12. 황라일, 임지영, 임영휘, "노인의 인지 기능 수준에 따른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비교,"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39권, 제5호, pp. 622-631, 2009. https://doi.org/10.4040/jkan.2009.39.5.622
  13. 심옥수, "경제활동 노인의 일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7권, pp.161-179, 2015.
  14. 신용석, 원도연, 노재현, "노인의 자산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7호, 제2호, pp.216-250, 2017.
  15. 강종필, 윤지영, "다층모형을 활용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생산적 여가참여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5호, pp.89-98,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5.89
  16. http://kosis.kr/conts/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menuId=11&NUM=1100, 2019.4.11.
  17. http://www.christiantoday.co.kr/news/294624, 2019.4.11.
  18. 김춘지, 이수영, "일자리참여 노인의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육여부의 조절효과," 사회복지경영연구, 제4권, 제1호, pp.101-124, 2017.
  19. 박현숙, 박용순, "고령자의 직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노인복지연구, 제61권, pp.85-110, 2013.
  20. 지은정, "개인-직무적합의 관점에서 본 노인의 일과 삶의 만족도: 생애 주된 일자리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제23권, 제2호, pp.189-224, 2017. https://doi.org/10.19067/JGS.2017.23.2.189
  21. 이병임, 김두리, 임효남, 김광환, "독거노인의 행복과 경제활동의 참여욕구에 대한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109-116,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8.109
  22. 장재원, 이준상, "노인돌보미의 감정노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일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23호, pp.31-54, 2013.
  23. 이혜경, 남춘연,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심리적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490-498, 201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4.490
  24. 이영란, 박선남, 이미란,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5권, 제4호, pp.259-267, 2016.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259
  25.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오미애, 강은나, 김경래, 황남희, 김세진, 이선희, 이석구, 홍송이,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26. 우국희, 주경화, 이연순, "취업노인의 직장내 연령차별경험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39권, 제4호, pp.281-304, 2012.
  27. 김주현, 주경희, 오혜인, "경제활동 노인의 연령 차별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노인복지연구, 제60권, pp.287-321, 2013.
  28. 현외성, 노인복지학신론, 학현사, 2011.
  29.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강민희,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8권, 제1호, pp.48-63, 1999.
  30.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1534371, 2019.4.11.
  31. 이선영, 이홍직,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개인 및 직무특성, 전문직업성, 조직몰입과 우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제25권, 제3호, pp.162-169, 2017.
  32. 서경조, 조성숙, "직업활동 참여 노인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업무스트레스 및 만족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48-26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48
  33. 한의진, 조영일,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항공 객실승무원들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관광연구, 제28권, 제4호, pp.117-135, 2013.
  34. 최주연, "직장인의 일의 의미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3권, 제4호, pp.221-235,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