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Concept of Cold Damage and The Shanghanlun (Treatise on Cold Damage) as They Appear in The Diary of Muk-Jae

『묵재일기(默齋日記)』 속 상한(傷寒) 및 『상한론(傷寒論)』에 대한 인식 연구

  • 조성환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
  • 김동율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 Received : 2019.05.11
  • Accepted : 2019.05.27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e Diary of Muk-Jae is a historical record that describes many social aspects of the Joseon period in the 16th century. It records many scenes of its author, Lee Mun-Geon, treating patients. This paper uses The Diary of Muk-Jae to examin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cold damage and the text of the Shanghanlun (Treatise on Cold Damage) in the Joseon period in the 16th century. In The Diary of Muk-Jae, cold damage is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wo categories: 'dangerous disease' and 'disease caused by cold'. The Diary of Muk-Jae also presents the Shanghanlun not as a work limited to the concept of cold damage, but as a medical text that could be widely used for many different diseases. Thus, The Diary of Muk-Jae may represent a point of transition between in the perception of cold damage as seen in the Uibang Yuchui (The Collection of Medical Procedures) of the 15th century and the Donguibogam of the 17th century.

Keywords

표 1. 『묵재일기』에서 傷寒으로 죽음을 당한 기록

OSHSB8_2019_v32n1_77_t0001.png 이미지

표 2. 『상한론』내의 소시호탕 용례

OSHSB8_2019_v32n1_77_t0002.png 이미지

표 3. 『默齋日記』 소시호탕 용례

OSHSB8_2019_v32n1_77_t0003.png 이미지

표 4. 『묵재일기』 이중탕 용례 중 나타난 태음증

OSHSB8_2019_v32n1_77_t0004.png 이미지

표 5. 『상한론』내에서의 백호탕과 백호가인삼탕의 용례

OSHSB8_2019_v32n1_77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江克明, 包明蕙. 简明方剂辞典. 上海:上海科学技术出版社. 1989.
  2. 顧武軍, 張民慶 主編. 김동희, 김성우, 김성훈, 김정범, 맹웅재, 문준전 외 共編譯. 現代傷寒論. 서울:한의문화사. 2008.
  3. 신동원. 환자를 중심으로 본 의료 2000년 조선의약생활사. 서울:들녘. 2016.
  4. 嚴世芸 엮음. 김달호, 김중한, 김훈, 이상협, 이해웅 옮김. 中醫基礎理論系列叢書 國譯 中醫學術史. 서울:대성의학사. 2011.
  5. 劉渡舟. 정창현, 김혜일 역. 劉渡舟 傷寒論 講義. 서울:물고기숲. 2014.
  6. 陳大舜, 曾勇, 黃政德 엮음. 맹웅재, 박현국, 박경남, 김남일, 신영일, 김용진 외 옮김. 各家學說 中國篇. 서울:대성의학사. 2004.
  7. 김경숙. 조선시대 유배형의 집행과 그 사례. 역사연구. 1998;55(56):369-394.
  8. 김성수. 16世紀 鄕村醫療實態와 士族의 對應 : 默齊日記에 나타난 李文楗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9. 김성수. 16세기 중반 지방 사족의 의료활동 - 경상북도 성주의 이문건 사례 -.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2007;13(2):15-25.
  10. 김성수. 묵재일기(默齋日記)가 말하는 조선인의 질병과 치료. 역사연구. 2013;(24):35-53.
  11. 민정희. 16世紀 星州地域 兩班家의 巫俗信仰 硏究 : 默齋日記를 中心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12. 변정욱. 醫方類聚 傷寒門의 구성 체계와 내용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8.
  13. 신규수. 朝鮮時代 流配刑罰의 性格. 한국문화연구. 2012;23;137-169. https://doi.org/10.17792/kcs.2012.23..137
  14. 심범상. 傷寒論에서 發熱의 病理에 관한 文獻硏究.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5. 오준호. 양감상한(兩感傷寒)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의가들의 상한 인식. 한국의사학회지. 2012;21(1):1-23.
  16. 殷鍾元. 傷寒論이 後世醫學에 미친 影響에 對한 硏究.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17. 이경록. 조선전기 의방유취의 성취와 한계: 상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2012;34(3):461-493.
  18. 李尙原, 車雄碩, 金南一. 東醫寶鑑의 傷寒에 대한 認識 : 六經形證用藥을 中心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03;16(2):71-104.
  19. 이상원. 東醫寶鑑의 傷寒에 대한 認識.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20. 이혜정. 16세기 노비의 삶과 의식세계 :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21. 張星德. 默齋 李文楗의 流配時期 交遊樣相.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22. 丁海鎭. 傷寒總病論에 대한 硏究. 대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23. 이문건(1494-1567). "묵재일기"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2019.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