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spect of Buddhist Medicine in Korea Studied through the Sūtra of Great Dhāraṇī of the Uṣṇīṣa-cittā

『불정심관세음보살타라니경(佛頂心觀世音菩薩陀羅尼經)』의 치병법을 통해 살펴본 한국 불교의학의 일면

  • Received : 2019.05.11
  • Accepted : 2019.05.19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e $S{\bar{u}}tra$ of Great Dhāraṇī of the Uṣṇīṣa-cittā is one of the most widely published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The sutra is often referred to as a Buddhist medical scripture whose recitation is believed to allay diseases such as difficult birth, chest pain, and infectious and incurable diseases. It utilizes two major methods for healing: reciting and copying the sutra or copying the dharani and talisman which appear at the end of the text with fine cinnabar and ingesting them with aromatic wa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dical and historical value of this sutra,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ts establishment in early China and its migration to Korea in the Goryeo period.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identity and value of the scripture in Buddhist medical history. The oldest known printed texts of the sutra in Korea are dated to the late 11th century. Because of the material benefits of the text, the tradition of printing and distributing the sutra was very popular between the 13th and 19th centuries. Therefore, examples of the sutra having been used for medicinal purposes during rites are found in historical records. Finally, the study tri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eatment methods of the Sutra and those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focusing on several Korean traditional medical texts such as the Hyangyak-Jibseongbang (Compilation of Native Korean Prescriptions), the Donguibogam, and the Euibang-Hapbu.

Keywords

OSHSB8_2019_v32n1_6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최충헌(崔忠獻) 일가 호신용 수진본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보물691호)24)

OSHSB8_2019_v32n1_63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해탈암본(解脫庵本) 왕실발원본 계열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陀羅尼經)』

OSHSB8_2019_v32n1_63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범어사본(梵魚寺本)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陀羅尼經)』35)

OSHSB8_2019_v32n1_63_f0004.png 이미지

그림 4. 『동의보감』 부인문(婦人門) 최생부(催生符).

표 1. 고려시대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陀羅尼經)』 현전 판본

OSHSB8_2019_v32n1_63_t0001.png 이미지

표 2. 조선시대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陀羅尼經)』 현전 판본

OSHSB8_2019_v32n1_63_t0002.png 이미지

표 4. 『佛頂心陀羅尼經』 수록 치법 및 치험례

OSHSB8_2019_v32n1_63_t0003.png 이미지

표 3. 『佛頂心陀羅尼經』 수록 다라니와 비자인

OSHSB8_2019_v32n1_63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尼經.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釜山:梵魚寺. 1659:25-27.
  2. 諺解觀音經.阿彌陀經. 서울:正陽社. 1951:49.
  3. 洪邁 撰. 夷堅志 1. 北京:中華書局. 2006:13.
  4. 井幸 編. 日用集.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1882:60.
  5. 국역 의방합부 I 狂癇部 村救 蠱毒 鎭宅符.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07:376-396.
  6. 許浚. 東醫寶鑑 雜病篇 卷之十 婦人門 安産方位圖. 서울:남산당. 1981:531-747.
  7. 강대현, 권기현. 불교의식집에 나타난 符籍과 그 역할. 동아시아불교문화. 2018;35:425-463.
  8. 길기태. 백제의 呪禁師와 藥師信仰. 신라사학보. 2006;6:69-105.
  9. 김무봉. 불정심다라니경언해 연구. 한국사상문화. 2008;45:351-394.
  10. 김성수, 강성용. 인도 안과의학의 동아시아 전래와 용수보살안론(龍樹菩薩眼論). 의사학. 2013;22(1):217-274.
  11. 김수연. 고려시대 밀교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85-102.
  12. 김수연. 고려시대 불정도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13-24.
  13. 김수현.朝鮮中後期 觀音經典 刊行 研究. 문화사학. 2005;24:137-158.
  14. 김연민. 密本의 藥師經 신앙과 그 의미. 한국고대사연구. 2012;65:203-239.
  15. 김정숙. 약사여래 신앙의 치유에 관한 고찰.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26-63.
  16. 김철웅. 고려시대의 도교 세시풍속. 민속학연구. 2018;43:27-47.
  17. 남권희.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 淸州 : 淸州古印刷博物館. 2002:347-350.
  18. 남권희. 韓國 記錄文化에 나타난 眞言의 流通. 밀교문보. 2005;7:51-122.
  19. 남희숙. 16-18세기 佛敎儀式集의 간행과 佛敎大衆化. 한국문화. 2004;34:97-165.
  20. 박민정. 金光明經 除病品을 통해 본 韓國佛敎醫學. 경희대학교 기초한의과학과 석사논문. 2013:1-51.
  21. 서윤길. 고려 밀교신앙의 전개와 그 특성. 불교학보. 1982;19:219-239.
  22. 서윤길. 조선조 밀교사상연구. 불교학보. 1983;20:109-125.
  23. 신민교, 박경, 맹웅재 공역. 國譯 鄕藥集成方 中卷 卷 第六十二 産難門 催生. 서울:영림사. 1998:1380.
  24. 안영희. 眞言의 한글 표기법 연구 : 오대진언(1485)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243.
  25. 여인석, 박형우. 우리나라 고대 불교의학의 한 단면 : 원효의 경우. 의사학. 1995;4(2):101-111.
  26. 오재근, 전종욱, 신동원. 신라 승려의 금광명경 제병품 주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 고대 불교의학. 의사학. 2016;25(3):329-372.
  27. 우진웅. 불정심다라니경의 판본과 삽화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2014;60:347-379.
  28. 우진웅. 朝鮮時代 密敎經典의 刊行에 대한 연구. 서지학연구. 2011;49:235-273.
  29. 이원구. 한국 부적신앙의 일고찰. 동양종교학. 1991;1:29-50.
  30. 이유진, 안상우, 김동율. 汗蒸法을 통해 바라본 朝鮮朝 佛敎醫學의 一面 . 한국의사학회지. 2018;31(2):27-40. https://doi.org/10.15521/jkmh.2018.31.2.027
  31. 이현숙, 권복규. 고려시대 전염병과 질병관. 사학연구. 2007;88:581-615.
  32. 이현숙. 특집(特輯) : 전염병의 문화사: 고려사회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선; 전염병, 치료, 권력 - 고려 전염병의 유행과 치료. 이화사학연구. 2007;34:1-52.
  33. 임기영. 고려시대 밀교 문헌의 간행 및 특징. 서지학연구. 2014;58:395-435.
  34. 장인성. 고대 한국인의 질병관과 의료. 한국고대사연구. 2000;20:251-288.
  35. 牧田諦亮. 疑經研究. 京都:京都大學人文科學研究所. 1976:40-84.
  36. 福田素子. 偽経 仏頂心陀羅尼経 の版行.石刻活動の演変. 東京大学中国語中国文学研究室紀要. 2012;15:1-36.
  37. 于君方. 偽經與觀音信仰. 中華佛學學報. 1995;8:116-129.
  38. 鄭阿財. 敦煌寫本 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 研究. 敦煌學. 2001:21-48.
  39. 陳燕珠. 房山石經中遼末與金代刻經之研究. 伍伍遼末單本刻經之探討. 臺北:覺苑出版社. 1995:573-574.
  40. Anna-Alexandra Fodde-Reguer. Divining Bureaucracy: Divination Manuals as Technology and the Standardization of Efficacy in Early China. University of Michigan 박사학위논문. 2014:94-109.
  41. Michel Strickmann. Chinese Magical Medicin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2:71.
  42. Michel Strickmann. The Seal of the Law: A Ritual Implement and the Origins of Printing. Asia Major. 1993;6(2):1-83.
  43. James Robson. Signs of power: talismanic writing in Chinese Buddhism. History of Religions. 2008;48(2):133-138.
  44. 고려사. 국사편찬위원회 고려시대史料DB (accessed 2019.05.05.)
  45.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DB (accessed 2019.05.05.)
  46.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ccessed 2019.05.05.)
  47. 鄕藥集成方 卷第六十二 産難門2 催生.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고전DB (accessed 2019.05.05.)
  48. 안상우. 金光明經. 민족의학신문. [고의서산책 584-585]. 2013.05.09, 05.16일자.
  49. 안상우. 簡易方. 민족의학신문. [고의서산책 533-534]. 2012.04.19, 04.26일자.
  50. 안상우. 龍樹菩薩眼論. 민족의학신문. [고의서산책 149]. 2003.03.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