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프로그램의 최종 구성 체계
그림 2.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검사 시기별 반복측정 분산분석
표 1.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문항
표 2. 연구절차
표 3. 질문지 요구도 조사 결과
표 4. 부모면담 결과
표 5. 회기별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단계의 진행 과정
표 6. 예비연구 실시 후 제안점과 수정 결과
표 7.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검사 시기별 기술통계
표 8.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검사 시기별 반복측정 분산분석
참고문헌
- 강상 (2012). 유아 수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교육인적자원부 (2003).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 김갑순 (2009). 일상적 경험에 기초한 유아 수교육 활동의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경은 (2012). 저소득층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및 부모참여와 유아의 인지발달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9(1), 1-17.
- 김성미 (2008). 가정과 연계된 일상경험을 통한 수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성미, 안진경 (2008). 가정과 연계된 일상경험을 통한 수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5), 821-833. doi:10.5934/kjhe.2008.17.5.821
- 김은영, 최효미, 최지은, 장미경 (2016). 영유아 사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II-2세와 5세를 중심으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doi:10.979.1185941/844
- 김은정, 안나영 (2018). 가정연계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6(2), 119-129. doi:10.34284/kjgd.2018.05.26.2.119
- 김지현 (2015).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6(5), 95-113. doi:10.5723/kjcs.2015.36.5.95
- 김지현, 김정민 (2014). 만 5세 유아 어머니의 수학교육내용별 중요성 인식 및 수학적 상호작용.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175-192. doi:10.14698/jkcce.201410.2.175
- 김정원, 최정옥 (2006). 가정과 연계된 요리활동이 유아의 기초과학개념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2), 39-53.
- 김혜숙 (2002). 유아의 수학활동에 있어서의 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1), 115-147.
- 권중돈 (201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이론과 실천. 서울: 학지사. doi:10.978.89997/03072
- 나귀옥, 김경희 (2012). 누리과정 실행에 따른 유아평가의 방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32(4), 465-492. doi:10.18023/kjece.2012.32.4.020
- 나혜선 (2016). 가정연계를 통한 유아 배려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노미숙, 권경숙 (2015). 동화를 통한 가정연계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연구, 12(1), 9-34.
- 박선영 (2012). 주제 중심 통합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신영, 이진희 (2013). 어린이집-가정연계를 통한 아버지 놀이참여 활동이 놀이신념 및 영아-아버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8(1), 29-55. doi:10.16978/ecec.2013.8.1.002
- 백경미 (2009). 구성주의적 수학교수.학습모형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6(1), 41-68.
- 배진희, 김지현 (2017). 만 3세 유아의 인지발달에 대한 부모-교사 협력관계의 영향력: 가정환경의 질,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학회지, 13(6), 143-161. doi:10.14698/jkcce.2017.13.06.143
- 배진희, 김지현 (2018). 가정환경의 질과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이 만 3세 유아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5(1), 61-77. doi:10.15284/kjhd.2018.25.1.61
- 문연심, 이화영 (2008). '바퀴'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54, 141-161.
- 서동미 (2007). 유치원 생활에서 발생하는 유아의 수학적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송지선 (2015). 일상적 경험과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남주 (2010).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부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심태은 (2016).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심태은, 김은심 (2016).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391-420. doi:10.20437/KOAECE21-2-16
- 안은희 (2007).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유아의 쓰기 기초능력 및 쓰기 활동 증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진미 (2014).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환경 보전 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선희 (2007). 가정연계 유아 수학교육 활동을 통한 부모의 교육적 인식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영자, 이기숙, 이정욱 (1999). 유아 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doi:10.978.89426/05149
- 윤지선, 고영미 (2016).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6(1), 196-196.
- 이수남 (2001). 가정연계 과학활동이 유아의 호기심, 부모의 과학교육태도 및 부모-자녀의 과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숙화, 황성하, 남미경 (2010). 보육시설과 가정의 연계를 통한 감각활동이 영아의 신체발달과 영아-부모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3), 103-125.
- 이순형, 이성옥, 권혜진, 이소은, 황혜신, 이혜승 등 (2007). 보육과정(2판). 서울: 학지사.
- 이영희, 김지현, 김정민 (2017).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또래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협동미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아동교육, 26(3), 243-269.
- 이유미, 이미현 (2017). 유-초 연계를 위한 어머니의 유아교사 역할기대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21-40. doi:10.22251/jlcci.2017.17.13.21
- 이은수 (2010).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부모의 과학교육태도 및 부모-유아의 과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옥희 (2018). 가정연계를 통한 유아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장금 (2010).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지현 (1999). 유아 수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문화 심리학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111-131.
- 이진호 (2016).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체력과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현경 (2011). 부모 인식을 통한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 및 수학 관련 놀잇감활용 실태 조사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4), 745-757. doi:10.5934/kjhe.2011.20.4.745
- 이현경, 박희숙 (2010).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과 가정 내 수학놀잇감 활용도가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2, 171-190.
- 이영희, 김지현, 김정민, 임성혜 (2017). 가정과 연계한 효 중심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임성혜, 부성숙 (2017). 가정과 연계한 효 중심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아동교육, 26(2), 295-325. doi:10.17643/kjce.2017.26.2.15
- 임은화 (2007). 만2세 영아의 어린이집에서의 일상적 수학경험과 수학개념 이해에 대한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연주, 이진숙 (2007). 가정연계 자연탐구중심 유아과학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8, 1-17.
- 정미애 (2012). 가정과 연계한 유아정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배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미화 (2014).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재연 (2015). 가정과 연계한 도서대여 활동이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정인 (2003).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조사. 이화여자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종화 (2003).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종화 (2007). 학부모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 유아교육학논집, 11(4), 29-54.
- 허영미 (2012). 유아 수학교육 관력 부모교육이 수학교육 인식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영숙, 유은정 (2015). 가정연계 언어지도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언어능력과 표현어휘에 대한 효과.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6(1), 85-113.
- 홍혜경 (2009). 수학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에서의 수학적 담화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175-203.
- 홍혜경 (2010). 영유아수학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14(4), 29-51.
- 홍혜경 (2014). 유아 가정 수학 문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8(6), 503-528.
- Baroody, A. J. (1987).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 A developmental framework for preschool, primary,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 Baroody, A. J. (2000). Does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ree-to-five-year olds really make sense? Young Children, 55(4), 61-67.
-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Bogdan, R., & Biklen, S. K. (2010).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교육의 질적 연구방법론(조정수 옮김). 서울: 경문사(원판 2002). doi:10.978.896105/2405
- Bryan, J. (2005). Fostering educational resilience and achievement in urban schools through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8(3), 219-227.
- Carpenter, T. P., Franke, M. L., & Levi, L. (2003). Thinking mathematically: Integrating arithmetic & algebra in elementary school. Portsmouth, NH: Heinemann.
- Clements, D. H. (2001). Mathematics in the preschool.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7(5), 270. https://doi.org/10.5951/TCM.7.5.0270
- Ginsburg, H. P., Klein, A., & Starkey, P. (1998).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Connecting Research with Pactice. In W. Damon, I. E. Sigel, & K. A. Renninger(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Child psychology in practice (pp. 401-476).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 Hatch, J. Amos (2008).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교육적 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진영은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2). doi:10.978.895891/7151
- Henderson, A. T. (1987). The evidence continues to grow: Parent involvement improve student achievement. Columbia, MD: National Committee for Citizens in Education.
- Hughes, P., & Mac Naughton, G. (2000). Building equitable staff-parent communic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 An Australian case study.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3(2), 1-14.
-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 Owens, R. E. (2005).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6th ed.). Boston, MA: Allyn & Bacon.
- Rentzou, K. (2011). Patent-caregiver relationship dyad in Greek day care centr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19(2), 163-177. doi:10.1080/09669760.2011.609045.
- Shaffer, D. R. (2008).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사회성격발달(송길연, 이지연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05).
- Swick, K. J. (1997). A family-school approach for nurturing caring in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5(2), 151-154. https://doi.org/10.1023/A:1025641024591
- Vygotsky, L. S. (1980).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 Wallace, A. H,, Abbott, D., & Blary, R. M. (2007). The classroom that math built: Encouraging young mathematicians to pose problems. YC Young Children, 62(5), 42-48.
- Watson, L., & Swim, T. (2008). Infants & Toddlers: Curriculum and teaching. New York: Thomson.
피인용 문헌
-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 및 부모의 수학 태도와 유아의 수학능력의 관계: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vol.39, pp.6, 201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