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만 3세 유아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가정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ome Connec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Interaction of Parents of 3-year-olds

  • 배진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학과) ;
  •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투고 : 2019.02.14
  • 심사 : 2019.05.28
  • 발행 : 2019.06.30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pply the home connection program for promoting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of parents of 3-year-olds. Methods: We surveyed questionnaires for 36 parents and interviewed 3 parents of 3-year-old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wenty-one 3-year-old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program. Quantitative data from a checklist for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Qualitative data from self-evaluation of teachers and parent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 terms of meaning. Results: Based on the home connection program, the session were provided in the following order [educare center activities ${\rightarrow}$ home-linked activities ${\rightarrow}$ home+educare integrated activities] and in each session, the three-step course [sharing of thinking ${\rightarrow}$ gathering of thinking ${\rightarrow}$ broadening of thinking] was applied. Implementation of this program led to promoting parental mathematical inter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will lead to follow-up studies that reveal positive effects of our program.

키워드

BOJGB2_2019_v15n3_8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프로그램의 최종 구성 체계

BOJGB2_2019_v15n3_83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검사 시기별 반복측정 분산분석

표 1.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문항

BOJGB2_2019_v15n3_83_t0001.png 이미지

표 2. 연구절차

BOJGB2_2019_v15n3_83_t0002.png 이미지

표 3. 질문지 요구도 조사 결과

BOJGB2_2019_v15n3_83_t0003.png 이미지

표 4. 부모면담 결과

BOJGB2_2019_v15n3_83_t0004.png 이미지

표 5. 회기별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단계의 진행 과정

BOJGB2_2019_v15n3_83_t0005.png 이미지

표 6. 예비연구 실시 후 제안점과 수정 결과

BOJGB2_2019_v15n3_83_t0006.png 이미지

표 7.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검사 시기별 기술통계

BOJGB2_2019_v15n3_83_t0007.png 이미지

표 8.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검사 시기별 반복측정 분산분석

BOJGB2_2019_v15n3_83_t0008.png 이미지

참고문헌

  1. 강상 (2012). 유아 수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 (2003).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4. 김갑순 (2009). 일상적 경험에 기초한 유아 수교육 활동의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경은 (2012). 저소득층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및 부모참여와 유아의 인지발달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9(1), 1-17.
  6. 김성미 (2008). 가정과 연계된 일상경험을 통한 수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성미, 안진경 (2008). 가정과 연계된 일상경험을 통한 수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5), 821-833. doi:10.5934/kjhe.2008.17.5.821
  8. 김은영, 최효미, 최지은, 장미경 (2016). 영유아 사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II-2세와 5세를 중심으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doi:10.979.1185941/844
  9. 김은정, 안나영 (2018). 가정연계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6(2), 119-129. doi:10.34284/kjgd.2018.05.26.2.119
  10. 김지현 (2015).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6(5), 95-113. doi:10.5723/kjcs.2015.36.5.95
  11. 김지현, 김정민 (2014). 만 5세 유아 어머니의 수학교육내용별 중요성 인식 및 수학적 상호작용.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175-192. doi:10.14698/jkcce.201410.2.175
  12. 김정원, 최정옥 (2006). 가정과 연계된 요리활동이 유아의 기초과학개념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2), 39-53.
  13. 김혜숙 (2002). 유아의 수학활동에 있어서의 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1), 115-147.
  14. 권중돈 (201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이론과 실천. 서울: 학지사. doi:10.978.89997/03072
  15. 나귀옥, 김경희 (2012). 누리과정 실행에 따른 유아평가의 방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32(4), 465-492. doi:10.18023/kjece.2012.32.4.020
  16. 나혜선 (2016). 가정연계를 통한 유아 배려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7. 노미숙, 권경숙 (2015). 동화를 통한 가정연계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연구, 12(1), 9-34.
  18. 박선영 (2012). 주제 중심 통합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신영, 이진희 (2013). 어린이집-가정연계를 통한 아버지 놀이참여 활동이 놀이신념 및 영아-아버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8(1), 29-55. doi:10.16978/ecec.2013.8.1.002
  20. 백경미 (2009). 구성주의적 수학교수.학습모형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6(1), 41-68.
  21. 배진희, 김지현 (2017). 만 3세 유아의 인지발달에 대한 부모-교사 협력관계의 영향력: 가정환경의 질,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학회지, 13(6), 143-161. doi:10.14698/jkcce.2017.13.06.143
  22. 배진희, 김지현 (2018). 가정환경의 질과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이 만 3세 유아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5(1), 61-77. doi:10.15284/kjhd.2018.25.1.61
  23. 문연심, 이화영 (2008). '바퀴'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54, 141-161.
  24. 서동미 (2007). 유치원 생활에서 발생하는 유아의 수학적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송지선 (2015). 일상적 경험과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신남주 (2010).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부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심태은 (2016).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심태은, 김은심 (2016).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391-420. doi:10.20437/KOAECE21-2-16
  29. 안은희 (2007).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유아의 쓰기 기초능력 및 쓰기 활동 증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오진미 (2014).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환경 보전 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선희 (2007). 가정연계 유아 수학교육 활동을 통한 부모의 교육적 인식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영자, 이기숙, 이정욱 (1999). 유아 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doi:10.978.89426/05149
  33. 윤지선, 고영미 (2016).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6(1), 196-196.
  34. 이수남 (2001). 가정연계 과학활동이 유아의 호기심, 부모의 과학교육태도 및 부모-자녀의 과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숙화, 황성하, 남미경 (2010). 보육시설과 가정의 연계를 통한 감각활동이 영아의 신체발달과 영아-부모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3), 103-125.
  36. 이순형, 이성옥, 권혜진, 이소은, 황혜신, 이혜승 등 (2007). 보육과정(2판). 서울: 학지사.
  37. 이영희, 김지현, 김정민 (2017).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또래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협동미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아동교육, 26(3), 243-269.
  38. 이유미, 이미현 (2017). 유-초 연계를 위한 어머니의 유아교사 역할기대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21-40. doi:10.22251/jlcci.2017.17.13.21
  39. 이은수 (2010).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부모의 과학교육태도 및 부모-유아의 과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옥희 (2018). 가정연계를 통한 유아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이장금 (2010).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이지현 (1999). 유아 수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문화 심리학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111-131.
  43. 이진호 (2016).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체력과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현경 (2011). 부모 인식을 통한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 및 수학 관련 놀잇감활용 실태 조사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4), 745-757. doi:10.5934/kjhe.2011.20.4.745
  45. 이현경, 박희숙 (2010).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과 가정 내 수학놀잇감 활용도가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2, 171-190.
  46. 이영희, 김지현, 김정민, 임성혜 (2017). 가정과 연계한 효 중심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임성혜, 부성숙 (2017). 가정과 연계한 효 중심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아동교육, 26(2), 295-325. doi:10.17643/kjce.2017.26.2.15
  48. 임은화 (2007). 만2세 영아의 어린이집에서의 일상적 수학경험과 수학개념 이해에 대한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전연주, 이진숙 (2007). 가정연계 자연탐구중심 유아과학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8, 1-17.
  50. 정미애 (2012). 가정과 연계한 유아정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배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정미화 (2014).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정재연 (2015). 가정과 연계한 도서대여 활동이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정정인 (2003).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조사. 이화여자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한종화 (2003).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 한종화 (2007). 학부모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 유아교육학논집, 11(4), 29-54.
  56. 허영미 (2012). 유아 수학교육 관력 부모교육이 수학교육 인식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최영숙, 유은정 (2015). 가정연계 언어지도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언어능력과 표현어휘에 대한 효과.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6(1), 85-113.
  58. 홍혜경 (2009). 수학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에서의 수학적 담화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175-203.
  59. 홍혜경 (2010). 영유아수학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14(4), 29-51.
  60. 홍혜경 (2014). 유아 가정 수학 문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8(6), 503-528.
  61. Baroody, A. J. (1987).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 A developmental framework for preschool, primary,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62. Baroody, A. J. (2000). Does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ree-to-five-year olds really make sense? Young Children, 55(4), 61-67.
  63.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4. Bogdan, R., & Biklen, S. K. (2010).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교육의 질적 연구방법론(조정수 옮김). 서울: 경문사(원판 2002). doi:10.978.896105/2405
  65. Bryan, J. (2005). Fostering educational resilience and achievement in urban schools through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8(3), 219-227.
  66. Carpenter, T. P., Franke, M. L., & Levi, L. (2003). Thinking mathematically: Integrating arithmetic & algebra in elementary school. Portsmouth, NH: Heinemann.
  67. Clements, D. H. (2001). Mathematics in the preschool.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7(5), 270. https://doi.org/10.5951/TCM.7.5.0270
  68. Ginsburg, H. P., Klein, A., & Starkey, P. (1998).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Connecting Research with Pactice. In W. Damon, I. E. Sigel, & K. A. Renninger(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Child psychology in practice (pp. 401-476).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69. Hatch, J. Amos (2008).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교육적 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진영은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2). doi:10.978.895891/7151
  70. Henderson, A. T. (1987). The evidence continues to grow: Parent involvement improve student achievement. Columbia, MD: National Committee for Citizens in Education.
  71. Hughes, P., & Mac Naughton, G. (2000). Building equitable staff-parent communic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 An Australian case study.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3(2), 1-14.
  72.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73. Owens, R. E. (2005).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6th ed.). Boston, MA: Allyn & Bacon.
  74. Rentzou, K. (2011). Patent-caregiver relationship dyad in Greek day care centr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19(2), 163-177. doi:10.1080/09669760.2011.609045.
  75. Shaffer, D. R. (2008).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사회성격발달(송길연, 이지연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05).
  76. Swick, K. J. (1997). A family-school approach for nurturing caring in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5(2), 151-154. https://doi.org/10.1023/A:1025641024591
  77. Vygotsky, L. S. (1980).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78. Wallace, A. H,, Abbott, D., & Blary, R. M. (2007). The classroom that math built: Encouraging young mathematicians to pose problems. YC Young Children, 62(5), 42-48.
  79. Watson, L., & Swim, T. (2008). Infants & Toddlers: Curriculum and teaching. New York: Thomson.

피인용 문헌

  1.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 및 부모의 수학 태도와 유아의 수학능력의 관계: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vol.39, pp.6, 201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