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먹거리를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이 만 4세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Utilizing Food on 4-Year-Old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 오미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 민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 조우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투고 : 2019.04.12
  • 심사 : 2019.06.12
  • 발행 : 2019.06.30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utilizing food to improve the mathematical abilities of 4-year-old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4-years-olds' mathematical concepts (number and operation, algebra, geometry, measurement, data analysis, and probability). Methods: The study selected 30 4-year-olds from two daycare centers located in K city. The experimental group (N=15) participated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utilizing food, 10 times for five week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N=15) participated in the seasonal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The activities of this intervention program were designed to cover all domains of Mathematical Exploratory areas in the Nuri Curriculum.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pre-test and post-test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MANCOV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five mathematical concep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utilizing food had the positive effect of improving 4-year-olds' mathematical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Mathematic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food are recommended as necessary pedagogical data to develop the mathematical abilities of children in education centers, families, or relating to parenting education.

키워드

표 1. 먹거리를 활용한 10회기 수학 교육프로그램 구성

BOJGB2_2019_v15n3_115_t0001.png 이미지

표 1. 계속

BOJGB2_2019_v15n3_115_t0002.png 이미지

표 2. 사전-사후검사 설계

BOJGB2_2019_v15n3_115_t0003.png 이미지

표 3.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10회기 활동 비교

BOJGB2_2019_v15n3_115_t0004.png 이미지

표 3. 계속

BOJGB2_2019_v15n3_115_t0005.png 이미지

표 4. 실험집단 활동 예시

BOJGB2_2019_v15n3_115_t0006.png 이미지

표 4. 계속

BOJGB2_2019_v15n3_115_t0007.png 이미지

표 5. 비교집단 활동 예시

BOJGB2_2019_v15n3_115_t0008.png 이미지

표 5. 계속

BOJGB2_2019_v15n3_115_t0009.png 이미지

표 6. 사전-사후 유아 수학능력 하위요소별 평균과 표준편차

BOJGB2_2019_v15n3_115_t0010.png 이미지

표 7.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따른 유아수학능력 다변인공변량분석

BOJGB2_2019_v15n3_115_t0011.png 이미지

표 8. 유아수학능력 평가 사후검사 하위요소별 다변인공변량분석

BOJGB2_2019_v15n3_115_t0012.png 이미지

참고문헌

  1. 고경나, 오은순 (2014). 유아 수와 연산 교육 실태와 교사 인식 조사. 육아지원연구, 9(1), 65-95. doi:10.16978/ecec.2014.9.1.004
  2. 김갑순 (2009). 일상적 경험에 기초한 유아 수교육 활동의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정숙, 이은형 (2013).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2), 221-249.
  4. 김정원, 김유정 (2014).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의 효과: 누리과정의 수학교육 내용체계에 근거한 접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51-75.
  5. 김정은, 홍순옥 (2014). 유치원 수학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9(1), 177-211. doi:10.16978/ecec.2014.9.1.008
  6. 김지영 (2004).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근거한 유아수학능력 평가도구 개발.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문병환, 고경미, 정효은 (2015). 수학적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199-217.
  8. 문병환, 홍혜경 (2013).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3(3), 227-251. doi:10.18023/kjece.2013.33.3.010
  9. 문선미 (2015). 유아 수세기 지도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서현아, 배지미 (2004). 유치원 교사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1), 115-146.
  11. 신금호 (2017). 자연물을 활용한 협동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3), 193-213.
  12. 유연화, 엄소명, 서정연 (2018). 영유아 수학교육. 파주: 정민사.
  13. 이사임, 배지희 (2018).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육아지원연구, 13(3), 33-63. doi:10.16978/ecec.2018.13.3.002
  14. 이상임, 한종화 (2018). 만 4세 유아들의 수학적 경험의 맥락과 교육적 의미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4), 285-313. doi:10.22154/JCLE.19.4.11
  15. 이순복 (2010). 쌓기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감각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30(1), 95-119. doi:10.18023/kjece.2010.30.1.004
  16. 이순형, 권혜진, 민하영, 권기남, 최나야, 김지현 등 (2015). 유아 수학지도. 파주: 교문사.
  17. 이은영 (2010). 역할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4(2), 193-215.
  18. 이은형 (2012).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적 수학영역 중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은희, 김수향 (2015). 숲체험 활동을 통한 수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2), 5-29.
  20. 이은희, 이순복 (2010). 평면도형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능력과 기하 및 공간감각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313-335.
  21. 전순한, 이외자, 오성숙 (2007). 유아 수학교육 실태분석: 경북지역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16(4), 235-245.
  22. 정정희, 최효정, 권미정 (2009). 어림하기 활동이 유아의 수 연산과 측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30(1), 109-125.
  23. 조미영, 홍혜경 (2011). 실외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연산 및 측정능력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29(1), 83-107.
  24. 조우미 (2013). 과제 난이도와 친숙도에 따른 2, 4세 유아의 비상징적 연산능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조우미 (2017). 3, 4, 5세 유아의 공간적 수 표상능력이 비상징 수 비교 및 연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조형숙 (2016). 5세 유아를 위한 유-초 연계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20(1), 241-264.
  27. 최혜미 (2018). 먹거리를 활용한 미술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한유미 (2002). 미술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2(2), 271-287.
  29. Bruner, J. (196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0. Case, R., Kurland, D. M., & Goldberg, J. (1982). Operational efficiency and the growth of short-termmemory spa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33(3), 386-404. doi:10.1016/0022-0965(82)90054-6
  31. Claessens, A., Duncan, G., & Engel, M. (2009). Kindergarten skills and fifth-grade achievement:Evidence from the ECLS-K.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8(4), 415-427. doi:10.1016/j.econedurev.2008.09.003
  32. Clements, D. H. (2004). Major themes and recommendations. In D. H. Clements & J. Sarama(Eds.), Engaging young children in mathematics: Standards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pp. 7-72). Mahwah, NJ: Erlbaum.
  33. Clements, D. H., Fuson, K. C., & Sarama, J. (2017). The research-based balance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A response to common core criticis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40, 150-162. doi:10.1016/j.ecresq.2017.03.005
  34. Davydov, V. V. (1975). Log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of elementary mathematics as an academic subject. Children's capacity for learning mathematics. Soviet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7, 55-107.
  35. Gallistel, C. R., & Gelman, R. (2005). Mathematical Cogni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Ginsburg, H. P.(1982). The development of addition in the contexts of culcure, social class, and race.In T. P. Carpenter, J. M. Moser, & T. A. Romberg (Eds.), Addtion and subtraction: A cognitive perspective (pp. 191-210). Hillsdale. NJ: Erlbaum.
  37. Jordan, N. C., Huttenlocher, J., & Levine, S. C. (1994). Assessing early arithmetic abilities: Effects of verbal and nonverbal response types on the calculation performance of middle-and low-income children.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6(4), 413-432. doi:10.1016/1041-6080(94)90003-5
  38. Kennedy, L. M., & Tipps, S. (2000). Mathematical thinking is basic: Guiding children's learning of mathematics (9th ed.). Belmount CA: Wordsworth Thomson Learning.
  39. Lee, J. S. & Ginsburg, H. P. (2009). Early childhood teachers' misconception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Australas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4(4), 37-45. doi:10.1177/183693910903400406
  40. Lourenco, S. F., & Longo, M. R. (2010). General magnitude representation in human infants. Psychological Science, 21(6), 873-881. doi:10.1177/0956797610370158
  41. Mehler, J., & Bever, T. G. (1967). Cognitive capacity of very young children. Science, 158(3797), 141-142. doi:10.1126/science.158.3797.141
  42. Mix, K. S., Huttenlocher, J., & Levine, S. C. (2002). Quantitative development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3. NAEYC & NCTM (2002).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moting good beginnings. Washington, D. C. : NAEYC.
  44.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5.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9). Mathematics Learning in early childhood: Paths toward excellence and equity. Washington, D. C. : The National Academic Press.
  46. Piaget, J. (1965). The child's conception of number. New York: Norton.
  47. Schneider, W. & Shiffrin, R. M. (1977). Controlled and automatic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 Detection, search, and attention. Psychological Review, 84(1), 1-66. doi:10.1037/0033-295x.84.1.1
  48. Siegler, R. S. (1991). Children's think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9. Sophian, C. (2007). The origins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childhood.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0. Starkey, P. (1992). The early development of numerical reasoning. Cognition, 43(2), 93-126. doi:10.1016/0010-0277(92)90034-f
  51. Watts, T. W., Duncan, G. J., Siegler, R. S., & Davis-Kean, P. E. (2014). What's past is prologue:Relations between early mathematics knowledge and high school achievement. Educational Researcher, 43(7), 352-360. doi:10.3102/0013189X14553660
  52. Wynn, K. (1992) Addition and subtraction by human infants. Nature, 358(6389), 749-750. doi:10.1038/358749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