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먹거리를 활용한 10회기 수학 교육프로그램 구성
표 1. 계속
표 2. 사전-사후검사 설계
표 3.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10회기 활동 비교
표 3. 계속
표 4. 실험집단 활동 예시
표 4. 계속
표 5. 비교집단 활동 예시
표 5. 계속
표 6. 사전-사후 유아 수학능력 하위요소별 평균과 표준편차
표 7.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따른 유아수학능력 다변인공변량분석
표 8. 유아수학능력 평가 사후검사 하위요소별 다변인공변량분석
참고문헌
- 고경나, 오은순 (2014). 유아 수와 연산 교육 실태와 교사 인식 조사. 육아지원연구, 9(1), 65-95. doi:10.16978/ecec.2014.9.1.004
- 김갑순 (2009). 일상적 경험에 기초한 유아 수교육 활동의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정숙, 이은형 (2013).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2), 221-249.
- 김정원, 김유정 (2014).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의 효과: 누리과정의 수학교육 내용체계에 근거한 접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51-75.
- 김정은, 홍순옥 (2014). 유치원 수학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9(1), 177-211. doi:10.16978/ecec.2014.9.1.008
- 김지영 (2004).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근거한 유아수학능력 평가도구 개발.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문병환, 고경미, 정효은 (2015). 수학적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199-217.
- 문병환, 홍혜경 (2013).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3(3), 227-251. doi:10.18023/kjece.2013.33.3.010
- 문선미 (2015). 유아 수세기 지도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서현아, 배지미 (2004). 유치원 교사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1), 115-146.
- 신금호 (2017). 자연물을 활용한 협동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3), 193-213.
- 유연화, 엄소명, 서정연 (2018). 영유아 수학교육. 파주: 정민사.
- 이사임, 배지희 (2018).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육아지원연구, 13(3), 33-63. doi:10.16978/ecec.2018.13.3.002
- 이상임, 한종화 (2018). 만 4세 유아들의 수학적 경험의 맥락과 교육적 의미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4), 285-313. doi:10.22154/JCLE.19.4.11
- 이순복 (2010). 쌓기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감각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30(1), 95-119. doi:10.18023/kjece.2010.30.1.004
- 이순형, 권혜진, 민하영, 권기남, 최나야, 김지현 등 (2015). 유아 수학지도. 파주: 교문사.
- 이은영 (2010). 역할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4(2), 193-215.
- 이은형 (2012).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적 수학영역 중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은희, 김수향 (2015). 숲체험 활동을 통한 수학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2), 5-29.
- 이은희, 이순복 (2010). 평면도형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능력과 기하 및 공간감각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313-335.
- 전순한, 이외자, 오성숙 (2007). 유아 수학교육 실태분석: 경북지역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16(4), 235-245.
- 정정희, 최효정, 권미정 (2009). 어림하기 활동이 유아의 수 연산과 측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30(1), 109-125.
- 조미영, 홍혜경 (2011). 실외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연산 및 측정능력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29(1), 83-107.
- 조우미 (2013). 과제 난이도와 친숙도에 따른 2, 4세 유아의 비상징적 연산능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우미 (2017). 3, 4, 5세 유아의 공간적 수 표상능력이 비상징 수 비교 및 연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형숙 (2016). 5세 유아를 위한 유-초 연계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20(1), 241-264.
- 최혜미 (2018). 먹거리를 활용한 미술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유미 (2002). 미술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2(2), 271-287.
- Bruner, J. (196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Case, R., Kurland, D. M., & Goldberg, J. (1982). Operational efficiency and the growth of short-termmemory spa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33(3), 386-404. doi:10.1016/0022-0965(82)90054-6
- Claessens, A., Duncan, G., & Engel, M. (2009). Kindergarten skills and fifth-grade achievement:Evidence from the ECLS-K.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8(4), 415-427. doi:10.1016/j.econedurev.2008.09.003
- Clements, D. H. (2004). Major themes and recommendations. In D. H. Clements & J. Sarama(Eds.), Engaging young children in mathematics: Standards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pp. 7-72). Mahwah, NJ: Erlbaum.
- Clements, D. H., Fuson, K. C., & Sarama, J. (2017). The research-based balance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A response to common core criticis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40, 150-162. doi:10.1016/j.ecresq.2017.03.005
- Davydov, V. V. (1975). Log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of elementary mathematics as an academic subject. Children's capacity for learning mathematics. Soviet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7, 55-107.
- Gallistel, C. R., & Gelman, R. (2005). Mathematical Cogni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insburg, H. P.(1982). The development of addition in the contexts of culcure, social class, and race.In T. P. Carpenter, J. M. Moser, & T. A. Romberg (Eds.), Addtion and subtraction: A cognitive perspective (pp. 191-210). Hillsdale. NJ: Erlbaum.
- Jordan, N. C., Huttenlocher, J., & Levine, S. C. (1994). Assessing early arithmetic abilities: Effects of verbal and nonverbal response types on the calculation performance of middle-and low-income children.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6(4), 413-432. doi:10.1016/1041-6080(94)90003-5
- Kennedy, L. M., & Tipps, S. (2000). Mathematical thinking is basic: Guiding children's learning of mathematics (9th ed.). Belmount CA: Wordsworth Thomson Learning.
- Lee, J. S. & Ginsburg, H. P. (2009). Early childhood teachers' misconception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Australas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4(4), 37-45. doi:10.1177/183693910903400406
- Lourenco, S. F., & Longo, M. R. (2010). General magnitude representation in human infants. Psychological Science, 21(6), 873-881. doi:10.1177/0956797610370158
- Mehler, J., & Bever, T. G. (1967). Cognitive capacity of very young children. Science, 158(3797), 141-142. doi:10.1126/science.158.3797.141
- Mix, K. S., Huttenlocher, J., & Levine, S. C. (2002). Quantitative development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NAEYC & NCTM (2002).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moting good beginnings. Washington, D. C. : NAEYC.
-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9). Mathematics Learning in early childhood: Paths toward excellence and equity. Washington, D. C. : The National Academic Press.
- Piaget, J. (1965). The child's conception of number. New York: Norton.
- Schneider, W. & Shiffrin, R. M. (1977). Controlled and automatic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 Detection, search, and attention. Psychological Review, 84(1), 1-66. doi:10.1037/0033-295x.84.1.1
- Siegler, R. S. (1991). Children's think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Sophian, C. (2007). The origins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childhood.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Starkey, P. (1992). The early development of numerical reasoning. Cognition, 43(2), 93-126. doi:10.1016/0010-0277(92)90034-f
- Watts, T. W., Duncan, G. J., Siegler, R. S., & Davis-Kean, P. E. (2014). What's past is prologue:Relations between early mathematics knowledge and high school achievement. Educational Researcher, 43(7), 352-360. doi:10.3102/0013189X14553660
- Wynn, K. (1992) Addition and subtraction by human infants. Nature, 358(6389), 749-750. doi:10.1038/358749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