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lusters In the Electronic Industr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전자산업 클러스터 연구

  • Received : 2019.03.12
  • Accepted : 2019.04.17
  • Published : 2019.05.28

Abstract

We tried new analysis including social network analysis(SNA) on the transaction network centered on electronic companies using more than 50 thousand company transaction data obtained from Korean enterprise data (KED) for the year of 2015. We found 97 clusters having more than 10 firms and remarkable 13 clusters having more than 90% sales of the electronic industry in Korea. Clusters are the groups of companies having most of their transactions in the clusters they belong to. We found 5 clusters have 83% of sales in the electronic industry. Most of clusters have main single firms having most of the sales in each clusters except a few clusters. However, we found a few firms to have high rear production linkage effect and found the firms with high linkage effect specially for the 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 (SME). The companies with high production linkage (specially on SMEs) should be managed in terms of (SME) growth policy. The last firm group consisting of the small clusters with less than 10 firms has high employment coefficients. The clusters or company having high production linkage effect on this last firm group should be noted in the terms of employment policy. We also note that there exist the firms with the high value of betweenness coefficients meaning high potential of technology development. They should be managed carefully in terms of technology development policy.

본 연구는 한국기업정보(주)에서 제공받은 2015년도의 5만 여개의 최신 기업정보를 활용하여 전자업체를 중심으로 거래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포함한 새로운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97개의 10개 이상 기업으로 이루어진 클러스터들이 발견되었고, 전자산업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13개의 클러스터들을 주목하게 되었다. 사회네트워크 분석에서의 클러스터들은 소속 기업들이 해당 클러스터 안에서 거래를 완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13개 클러스터들을 보면, 매출액이 많은 상위 5개 클러스터에 전자매출의 83%가 집중되어 있으며,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각각의 클러스터들은 특정업체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렇지만 이들 이외에도 후방생산연관효과가 특별히 높은 업체들도 발견하였으며,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특히 큰 전자 업체들도 눈에 뜨인다. 후방생산연관효과가 높은 업체들은 성장 정책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중소기업에 영향력을 많이 미치는 전자업체들은 중소기업 육성 정책적인 측면에서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작은 클러스터들의 합인 마지막 기업군은 매출 대비 고용이 매우 높은 특성을 지닌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이 기업군에 높은 생산연관효과를 보이는 기업군과 전자업체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고용정책적 측면에서 중시될 필요가 있다. 거래를 중계하는 네트워크 특성인 사이중심성이 매출과 비례하지 않게 특별히 높은 클러스터들도 발견하였다. 사이 중심성이 높은 이들 클러스터들은 기술 발전의 가능성이 큰 기업 그룹들이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5_4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기업군 1-13

CCTHCV_2019_v19n5_48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기업군 14-22

CCTHCV_2019_v19n5_48_f0003.png 이미지

그림 3. 기업군 1(좌) 및 기업군 2(우)

CCTHCV_2019_v19n5_48_f0004.png 이미지

그림 4. 기업군 4(좌) 및 기업군 19(우)

CCTHCV_2019_v19n5_48_f0005.png 이미지

그림 5. 기업군간 네트워크 그림

표 1. 주기업이 전자산업에 속하는 주요 기업군 (1-12)

CCTHCV_2019_v19n5_48_t0001.png 이미지

표 2. 주기업이 전자산업이 아니면서 전자산업 기함기업과 거래하는 주요 기업군(13-21) 및 기타 10개 이상 기업군(22) 그리고 10개이하 기업 구성 기업군(23)

CCTHCV_2019_v19n5_48_t0002.png 이미지

표 3. 기업군 상호간의 투입산출계수(1-12 기업군들의 100단위 생산에 대한 각 기업군들의 투입)

CCTHCV_2019_v19n5_48_t0003.png 이미지

표 4. 기업군 상호간의 투입산출계수(13-23 기업군들의 100단위 생산에 대한 각 기업군들의 투입)

CCTHCV_2019_v19n5_48_t0004.png 이미지

표 5. 매출액순 상위 10개 전자 기업의 매출 및 고용, 네트워크 특성

CCTHCV_2019_v19n5_48_t0005.png 이미지

표 6. 매출액순 상위 11-20위 전자 기업의 매출 및 고용, 네트워크 특성

CCTHCV_2019_v19n5_48_t0006.png 이미지

표 7. 매출액순 상위 1-10위 전자기업들에 대한 각 기업군의 기업규모별 영향력 계수

CCTHCV_2019_v19n5_48_t0007.png 이미지

표 8. 매출액순 10-20위 전자기업들에 대한 각 기업군의 기업규모별 영향력 계수

CCTHCV_2019_v19n5_48_t0008.png 이미지

표 9. 상위 매출 1-20위 전자기업들에 대한, 소속 기업군들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그룹의 평균 매출의존도(%)

CCTHCV_2019_v19n5_48_t0009.png 이미지

표 10. 각 기업군들의 네트워크 특성

CCTHCV_2019_v19n5_48_t0010.png 이미지

표 11. 기업군간 네트워크에서 각 기업군들의 근접, 연결, 사이중심성 지표

CCTHCV_2019_v19n5_48_t0011.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선덕, 홍성호, 이만형, "충청북도 300대 기업 네트워크 특성분석: 판매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437-44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437
  2. 정재헌, "빅데이타 분석을 이용한 지역내 산업클러스터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1-12,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2.001
  3. 정재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자동차산업에서의 클러스터 형성과 생태계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30권, 제5호, pp.1615-1642, 2017.
  4. 정재헌, "자동차산업 생태계의 동태적 변화 분석: 현대기아차 및 한국지엠을 중심으로," 산업 경제연구, 제31권, 제5호, pp.1815-1830, 2018.
  5. 홍장표, 장지상, "대기업 성장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경제발전연구, 제21권, 제2호, pp.33-62, 2015.
  6. 홍장표, 정재헌, 남종석, "대기업의 지역경제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 분석", 지역사회연구, 제24권, 제2호, pp.219-240, 2016. https://doi.org/10.22921/JRS.2016.24.2.011
  7. A. Marshall, Principle of Economics, London: acmillian, 1890.
  8. S. Brusco, "Small firms and industrial districts: the experience of Italy," in KEEBLE D. and WEAVER E. (Eds) New Firm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Europe, CroomHelm, London, 1986.
  9. R. Camagni, Innovation Networks :SpatialPerspectives, London: Belhaven press, 1991.
  10. Roelandt and Hertog, "Cluster Analysis and Cluster-based Policy Making in OECD Counties," In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Paris: OECD, 1999.
  11. Beokholt and Thuraux, "Public Policies to facilate Cluster," In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Paris: OECD. 1999.
  12. 이정협, "울산 자동차 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전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18, 2007.
  13. 산업연구원, 산업클러스터의 효율성 진단(모형) 연구, 연구자료 2005-3, 산업연구원(KIET), 서울, 2005.
  14. 삼성경제연구소,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주요산업 집적지별 발전 전략수립 한국의 클러스터맵 작성을 중심으로, 2004.
  15. A. L. Barabasi and R. Albert, "Emergence of scaling in random network," Science, Vol.286, pp.509-512, 1999. https://doi.org/10.1126/science.286.5439.509
  16. A. L. Barabasi, Linked: how everything is connected to everything else and what it means for business, Science, and everyday life, London: Plume, 2002.
  17. T. Nakano and D. R. White, "The large-scale network of a tokyo industrial distict: small-world, scale-free, or depth hierachy?," Working Paper, Center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Columnia University, 2007.
  18. T. Mizuno, W. Souma, and T. Watanabe, "The Structure and revolution of buyer-supplier networks," Plos one, Vol.9, No.7, pp.44-56, 2014.
  19. Y. Fujiwara and H. Aoyama, "Large-scale Structure of a Nation-wide Production Network," The European Physical Journal B, Vol.77, pp.565-580, 2010. https://doi.org/10.1140/epjb/e2010-00275-2
  20. T. Ohnishi, H. Takayasu, and M. Takayasu, "Hubs and authorities on Japanese inter-firm network: characterization of nodes in very large directed networks," Progress of Theoretical Physics Supplement, Vol.179, pp.157-166, 2009. https://doi.org/10.1143/PTPS.179.157
  21. 정재헌,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거래네트워크 구조와 특성," 중소기업연구, 제37권, 제4호, pp.77-103, 2015.
  22. J. Jung,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ransaction Network in Korean Non-Financial Industries,"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Vol.26, No.9, pp.1-15, 2017.
  23. J. Jung,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transaction network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SNA)," Asian Life Science, Vol.15, No.3, pp.1901-1913, 2018.
  24. J. Koo, "Determinants of Localized Technology Spillovers: Role of Regional and Industrial Attributes," Regional Studies, Vol.41, No.7, pp.995-1011, 2007. https://doi.org/10.1080/00343400601142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