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a Job Model Centric Educational Program for a 4 Year Interior Design University Course: Based on a Case Study of an Interior Design Major at K University

직무모형을 중심으로 한 4년제 대학 실내디자인 관련 전공교육과정 개발 연구 -K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 정성욱 (한양여자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과) ;
  • 김석영 (건국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 Received : 2019.01.25
  • Accepted : 2019.03.26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evelopment process for the interior design major course at K University's school of design to educate specialists who can answer the needs of the industrial field. The study procedure first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o establish queries and development direction. A job model for the interior design industry was constructed while course modules were deducted based on job characteristics and was used to form a curriculum based on a 4 year course. Required personnel includes 'Interior Design Business and Marketing Specialists', 'Interior Design Space Planning Specialists' and 'Interior Design Construction Management Specialists'. 40 modules were drawn following the detailed job model structure. 1st year students are to follow a common curriculum, 2nd years the major foundation, 3rd years major intensive, and the 4th years major application. The practical importance of the research is to suggest a development process of major modules based on the standard job model and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the interior design industry.

본 연구는 K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전공의 교육이 산업계의 요구에 부합하는 전문인을 양성하도록 교육과정의 개발절차 및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내 외부 환경분석을 거쳐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수립하였다. 이어서 실내디자인분야 직무모형을 구축하고 직무에 따라 교과목을 도출하여 4년제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목을 편성하였다. 실내디자인 직무에 따라 수립한 인재상은 '실내디자인분야 경영 및 마케팅 전문가', '실내디자인분야 공간기획 전문가' 그리고 '실내디자인분야 시공관리 전문가'이다. 세부 직무모형에 따라 40개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1학년은 학부 공통교과목, 2학년은 전공기초, 3학년은 전공심화, 4학년은 전공응용으로 전체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내디자인분야의 산업체 조직구성현황 및 직무표준의 모형을 기준으로 교과목을 개발하는 과정 자체를 제안하고 구체적 결과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실용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4_54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디자인 산업에 대한 관, 산, 학 상호협력체계 모형[2]

CCTHCV_2019_v19n4_546_f0002.png 이미지

그림 2. K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교육과정 편성

표 1. 실내디자인 교육목표 및 과정

CCTHCV_2019_v19n4_546_t0001.png 이미지

표 2. 2017학년도 K대학교 실내디자인 교육과정

CCTHCV_2019_v19n4_546_t0002.png 이미지

표 3. 산업체 부서별 수행직무와 능력단위

CCTHCV_2019_v19n4_546_t0003.png 이미지

표 4. 실내디자인전공 인재상

CCTHCV_2019_v19n4_546_t0004.png 이미지

표 5. 실내디자인 인재상별 능력단위 중요도 평가

CCTHCV_2019_v19n4_546_t0005.png 이미지

표 6. 실내디자인 직무모형 및 교과목

CCTHCV_2019_v19n4_546_t0006.png 이미지

표 7. 실내디자인전공 교육과정 편성

CCTHCV_2019_v19n4_546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한영호, "전공실내디자인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1호, pp.11-19, 1997.
  2. 권윤경, "4년제 대학의 시각디자인 관련학과의 교육과정 연구," 한국기초조형학연구, 제6권, 제4호, pp.149-159, 2005.
  3. 서수경, "한국 대학 실내디자인 관련 교육 현황분석과 개선 방향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제6호, 통권83호, p.126, 2010.
  4. 호서대학교 과학기술융합대학 조형융합학부 실내디자인전공, http://www.hoseo.ac.kr/Home/Major.mbz?action=MAPP_170906032, 2018.12.30.
  5.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전공, https://www.smuc.ac.kr/mbs/smuc/subview.jsp?id=smuc_030903010300, 2018.12.30.
  6.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실내건축학과, http://www.gachon.ac.kr/major/archi/03/index.jsp, 2018.12.30.
  7. 박한출, 이동현, 윤상석, 이양숙, 문은정, 2017 산업디자인통계조사 요약보고서, "전문디자인업 산업 규모 산출방식: 전문디자인업체 매출액 평균(표본조사결과) X 모집단 후(2015 경제총조사 전문디자인 업체)," 한국디자인진흥원, p.17, 2018. http://www.kidp.or.kr/
  8. 박선구, 2018년 건설경기 전망(전문건설업을 중심으로), 대한건설정책연구원(RICON), p.11, 2017. http://www.ricon.re.kr/
  9. 대한전문건설협회(KSCA), 2017년 통계연보, http://www.ksca.or.kr/I0/I040601.asp?GBN=C&m_y=2017&area=00, 2019.03.23.
  10. http://www.ikukbo.com/?page_id=1826, 2018.12.30.
  11. http://www.dawon.com/wkr/about_organ.php, 2018.12.30.
  12. http://samwonsd.co.kr/organization, 2018.12.30.
  13. http://www.eunmin.co.kr/sub/sub01_04.php, 2018.12.30.
  14. http://www.daehye.com/sub/organization.asp, 2018.12.30.
  15. NCS국가직무능력표준, https://www.ncs.go.kr
  16. 박찬일, "국내 실내디자인 관련학과 교과과정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제5호, 통권94호, pp.227-236,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