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Experience of Using Smart Healthcare Focusing on Health Literac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 헬스케어 이용 경험에 미치는 요인 분석

  • Received : 2019.01.18
  • Accepted : 2019.03.11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As the paradigm of healthcare shifts from the center of treatment to the center of prevention, products and services related to disease prevention are emerging at domestic and abroad. The government considers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as a solution to healthcare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hronic illnesses and an increase in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smart healthcare products and services focusing on Health Literacy and health relate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e subjects of the questionnaire are 1,027 adults over 20 in the nation,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In addition, the factors were analyzed by decision tree method. As a result, most of the respondents(76.9%) did not have experience using Smart Healthcare products and services. However, in the Health Literacy ques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use experience depending on the degree of difficulty in using the mass media information. Other factors were the degree of intention to use new technology, the understanding of counseling about family members and friends, and health checkups. In order to enable self-healthcare through smart healthcare products and services, the ability of consumers to explore and utilize health information from the mass media should be improved. In addition, government and enterprise efforts are needed to achieve this.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이 치료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질병 예방과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가 국내외로 많이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는 만성질환자 수의 증가, 의료비 부담의 증가 등의 보건의료 문제점의 대안으로 언급되어 기업 및 정부는 산업 확산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기업은 웨어러블 기기, 앱 등의 형태로 제품 개발 및 출시를 하고 있고, 정부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 및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요인을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와 건강관련 개인특성을 중심으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국의 20대 이상 소비자 1,02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의사결정나무 기법으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76.9%)은 사용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건강정보이해능력 중 '대중매체 정보의 활용'의 어려움 정도에 따라 사용 경험에 차이를 보였다. 그 밖에는 신기술 활용 의향 정도, 주변인의 조언 이해, 건강검진 유무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스마트 헬스케어를 통한 자가 건강관리가 가능하려면, 건강정보를 대중매체로부터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제고되어야하며 이를 위한 정부와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CCTHCV_2019_v19n4_4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개인건강정보관리 플랫폼

CCTHCV_2019_v19n4_4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스마트 헬스케어 이용경험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결과

표 1. HLS-EU 개념모델에 기반으로 한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세부 분류 및 해당 문항

CCTHCV_2019_v19n4_41_t0001.png 이미지

표 3. 변수설정

CCTHCV_2019_v19n4_41_t0002.png 이미지

표 2. 설문 응답자 특성

CCTHCV_2019_v19n4_41_t0003.png 이미지

표 4. 이용경험이 있는 경우의 이익도표

CCTHCV_2019_v19n4_41_t0004.png 이미지

표 5. 이용경험이 없는 경우의 이익도표

CCTHCV_2019_v19n4_41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통계청 보도자료, "2016년 생명표," 2017.12.5.
  2. B. K. Rimer, P. A. Briss, P. K. Aeller, E. C. Chan, and S. H. Woolf, "Informed decision making: What is its role in cancer screening?," Oncology Nursing Forum, Vol.28, pp.899-907, 2004.
  3. 정기택, 신은규, 김홍진, 김용민, 백미라, 헬스케어 新시장 창출을 위한 정책연구,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4. 정기철, 김승현, 정일영, 이다은, 김가은, 수요자 중심의 헬스케어 산업 전망과 대응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p.1-160, 2017.
  5. 최윤희, 황원식,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정책적 시사점, Issue Paper, 산업연구원, 2016.
  6. KPMG, "스마트 헬스케어의 현재와 미래," Issue Monitor, 제79호, 2018(1).
  7. 이진수,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과 주요기업 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219, 2014.
  8. 김희찬, 강재민, "유-헬스케어의 기술 현황과 전망," 정보과학회지, 제26권, 제1호, pp.38-45, 2008.
  9. 김유진,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 수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369-37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369
  10. 문세연, 윤영미, 한태화, 이상은, 장혁재, 송시영, 김현창,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4호, pp.621-629, 2017.
  11. IQVIA, "The Growing Value of Digital Health," IQVIA Institute for Human Data Science, 2017(11).
  12. 이윤경, 박지윤, 노미정, 왕보람, 최인영, "의사들의 유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사용의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349-35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349
  13. 김은수,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효율적 활용 방안,"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제34권, 제2호, pp.41-52, 2017.
  14. 최영남, 김근형, 오성렬, "사용자유형을 조절변수로 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수용의도의 구조모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541-55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541
  15. 서효정, 홍현석, 김민정, 윤원정, 이태훈, 정지윤, 황신하, 조영태,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요인," 한국 HCI 학회 논문지, 제10권, 제1호, pp.19-27, 2015.
  16. 김수현, 이은주, "노인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 능력이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38권, 제2호, pp.195-203, 2008. https://doi.org/10.4040/jkan.2008.38.2.195
  17. 정정희, 김정순,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 관련 위험인식과 건강행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5권, 제1호, pp.65-73, 2014.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1.65
  18. 이태화, 강수진, "한국 노인의 건강 문해 (Health Literacy) 실태와 영향 요인-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847-863, 2008.
  19. 신명섭, 이영주,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498-50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498
  20. 이이삭, 이상현, 정재선, 노기영,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의 영향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7호, pp.445-456,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7.445
  21. The HLS-EU Consortium, ELS-EU-Q: Measurement of health literacy in Europe, short version(HLS-EU-Q16), 2012.
  22. K. Sorensen, S. Van den Broucke, J. Fullam, G. Doyle, J. Pelikan, Z. Slonska, and H. Brand, "Health literacy and public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integration of definitions and models," BMC public health, Vol.12, No.1, p.80, 2012. https://doi.org/10.1186/1471-2458-12-80
  23. J. M. Pelikan, F. Rothlin, and K. Ganahl, Comparative report on health literacy in eight EU member states, The European Health Literacy Survey HLS-EU, 2012.
  24. T. V. Duong, A. Aringazina, G. Baisunova, T. V. Pham, K. M. Pham, T. Q. Truong, and H. L. Huang, "Measuring health literacy in Asia: Validation of the HLS-EU-Q47 survey tool in six Asian countries," Journal of epidemiology, Vol.27, No.2, pp.80-86, 2017. https://doi.org/10.1016/j.je.2016.09.005
  25. G. V. Kass, "An Exploratory Technique for Investigating Large Quantities of Categorical Data,"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C, Vol.29, No.2, pp.119-127, 1980.
  26. 최종후, 서두성,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의 응용," 통계분석연구, 제4권, 제1호, pp.61-83, 1999.
  27. 진현정,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소비자그룹 분석: 감귤소비를 중심으로," 농업경제연구, 제51권, 제1호, pp.19-40, 2010.
  28. 유은영, 진현정,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공연예술시장의 소비자그룹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25권, 제6호, pp.65-91, 2014.
  29. 조희숙, 정수미, 김새롬, "헬스 인포그래픽의 정보전달 효과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4권, 제2호, pp.53-63, 2017.
  30. 국민건강보험 보도자료, "2017년 건강검진통계연보 주요내용," 국민건강보험공단, 2018.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