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중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자연관 분석 및 과학교육에 주는 함의 : 한국의 전통적 자연관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Views of Natur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 Focusing on the Korean Traditional Views of Nature

  • 투고 : 2019.11.26
  • 심사 : 2019.12.19
  • 발행 : 2019.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연관을 반영한 자연관 분석틀을 활용하여 초·중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자연관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학생과 교사의 자연관 분석 결과가 초·중등학교 과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Cobern과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자연관 분석틀에 한국인의 전통적인 자연관의 특징을 접목하여 자연관 분석틀을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그리고 학생과 교사가 자연에 대하여 어떤 관점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각 문항마다 자신의 응답에 대하여 그렇게 생각한 까닭을 쓰게 하여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과 교사들은 자연을 존중하고 살아있는 생명체로 보며 자연은 순환적인 것이고 인간과 자연이 상호작용한다는 관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자연스러움을 중시하고 자연을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자연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세계를 물질로 보며, 직선적인 시간관으로 자연을 보는 서양 과학에서 중심이 되는 자연관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과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한국의 전통적인 자연관은 학교 과학수업에서 주로 다루는 서양의 과학관과 충돌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자연관을 가지고 있는 학생과 교사들을 위한 과학교수학습 전략에는 개인의 자연관에 대한 이해와 이와 관련된 수업전략에 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더불어 앞으로 과학 교과서 및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을 더욱 활발히 하여 서로의 자연관을 공유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과 밀접한 과학수업 문화를 좀 더 유연하게 조성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first the views of natur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views of nature that reflects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analysis on the traditional views of nature that Koreans traditionally have. Next, it was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views of nature whic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inally, it was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analysis of students' and teachers' views on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r this purpose, the framework for analysis the views of nature was reconstructed b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traditional views of nature (Lee & Son, 2017) with the framework developed by Cobern and his colleagues (Cobern, Gibson, & Underwood, 1995). And in order to analyze in depth how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 nature, each question was asked to write a reason why they thought about their responses. According to the study, students and teachers respected nature and viewed it as a living creature, and had the view that nature was cyclical and that humans and nature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they also had a traditional Korean view of nature that they consider naturalness important and nature is beautiful. It can be said that this is different from the view of Western modern science which perceives the world as a material and see nature with the view of linear time. Therefore, Korea's traditional views of natures, which students and teachers have, can be a conflict with the view of modern science in science class. Therefore, the science teaching strategy for students and teachers with different natural views will require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s understanding of nature and lesson strategies related to it. And it is also necessary that science textbook and science class cultures need to actively interact with teachers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to share and understand each other's view of nature, and create a science class culture that considers the values students have and views on na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영섭(2004). 한국 불교의 자연관-緣生과 悲生의 응축과 확산. 한국사상사학, 23, 27-57.
  2. 김기주(2000). 동양 자연관의 비교철학적 연구: 동서양의 거시적 비교와 전망. 동양철학, 16, 83-110.
  3. 김동규(1997). 우리나라 속담에 나타난 자연관. 학생생활연구, 13, 151-172.
  4. 김용운(1987). 한국인의 자연관과 세종 과학. 세종학연구, 2, 55-79.
  5. 김용운(1993). 한국전통과학의 맥락. 문명과 과학의 현대적 인식. 한국교수아카데미총서, 348-356.
  6. 김용운, 김용국(1998). 동양의 과학과 사상. 서울: 일지사.
  7. 김욱동(2000). 한국의 녹색문화. 서울: 문예출판사.
  8. 노성환(2010). 한일 신화의 비교. 서울: 민속원.
  9. 박용진(2015). 한국 창세신화의 특징에 관한 연구. 선도문화, 18, 41-79.
  10. 손연아(2016). 사회적 책임을 접목하기 위한 과학교육의 구조 및 지속가능발전교육과의 통합교육 전략 제안. 교육문화연구, 22(6), 279-312.
  11. 신덕룡(2004). 전통적 자연관 연구-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12, 7-26.
  12. 양회석(2018). 세계 3대 창세신화비교 연구: 중국, 중동, 인도를 중심으로. 용봉인문논총, 52, 67-106.
  13. 원정애, 백성혜(2003). 초등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관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9-20.
  14. 원정애, 백성혜(2011). 6학년 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 관련 요소들과의 관계 분석. 초등과학교육, 30(3), 282-295.
  15. 이규태(2007). 한국인의 의식구조 3. 서울: 신원문화사.
  16. 이유미, 손연아(2016). 동아시아.서양의 자연의 의미와 자연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85-498.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485
  17. 이유미, 손연아(2017). 한국인의 자연관 형성 배경과 그 특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 생물교육, 45(1), 55-80.
  18. 임재해(1998). 고대신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진화론적 자연관. 민속연구, 8. 243-277.
  19. 정재현(2006). 동아시아 자연관의 몇 가지 특성들. 동서철학연구, 41, 5-23.
  20. 정종화(1997). 한국전통사회의 정신문화 구조양상.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1. 조현설(2003). 한국창세신화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의 문제. 한국어문학연구, 42, 255-269.
  22. 진교훈(1998). 한국인의 전통적 문화 생활에 나타난 자연관. 철학과 현상학연구, 10, 205-230.
  23. 현용준(1992). 巫俗神話와 文獻神話. 서울: 집문당.
  24. 丹澤哲郞(2005). 日本の子供たちの有する科學觀と自然觀: 質的調査結果をもとにして. 科敎年報, 13(4), 43-46.
  25. 鄭躍軍, 吉野諒三, 村上征勝(2006). 東アジア諸國の自然觀.環境觀の解析. 行動計量學, 33(1), 55-68.
  26. Aikenhead, G. (1997). Toward a first nations cross-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9(5), 217-238.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04)81:2<217::AID-SCE6>3.0.CO;2-I
  27. Allen, N. J., & Crawley, F. E. (1998). Voices from the bridge: Worldview conflicts of Kickapoo students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11-132.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2)35:2<111::AID-TEA3>3.0.CO;2-V
  28. Bryan, L., & Atwater, M. (2002). Teacher beliefs and cultural models: A challenge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Science Education, 86(6), 821-839. https://doi.org/10.1002/sce.10043
  29. Cobern, W. (1991). Contextual constructivism: The impact of culture o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sci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Lake Ganeva, WI, April 7-10.
  30. Cobern, W. W., Gibson A. T., & Underwood, S. A. (1995). World view investigations and science education: A synopsis of methodology. Scientific Literacy and Cultural Studies Project Working Paper No.101, Originated 1991; Phase One completion. A paper presentation at the 1995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San Francisco.
  31. Dhindsa, H. (2005). Cultural learning environment of upper secondary scienc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6), 575-592. https://doi.org/10.1080/09500690410001673838
  32. Herbert, S. (2008). Collateral learning in science: Students' responses to a cross-cultural unit of 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7), 979-993. https://doi.org/10.1080/09500690701345468
  33. Hodson, D. (1999). Coing behond cultural pluralism: Science education for sociopolitical action. Science Education, 83(6), 775-796.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11)83:6<775::AID-SCE8>3.0.CO;2-8
  34. Lee, O., Deaktor, R., Enders, D., & Lambert, J. (2008). Impact of a multiyear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vension on science achievement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6), 726-747. https://doi.org/10.1002/tea.20231
  35. McKinley, E. (2005). Locating the global: Dulture, language and science education for indigenous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2), 227-241. https://doi.org/10.1080/0950069042000325861
  36. Ogawa, M. (1995). Science Education in a Multiscience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79(5), 583-593. https://doi.org/10.1002/sce.3730790507
  37. Ponting, C., 이진아, 김정민 역(2010). 녹색 세계사. 충남: 그물코.
  38. Siegel, H. (2002). Muticulturalism, universalism, and science education: In search of common ground. Science Education, 86(6), 803-820. https://doi.org/10.1002/sce.1052
  39. Southerland, S., & Gess-newsome, J. (1999). Preservice teachers' views of inclusive science teaching as shaped by images of teaching, learning, and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3(2), 131-15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31::AID-SCE3>3.0.CO;2-X
  40. Stanley, W., & Brickhouse, N. (1994). Multiculturalism, universalism, and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8(4), 387-398. https://doi.org/10.1002/sce.3730780405
  41. Sutherland, D. (2002). Exploring culture, language and the per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1), 1-25.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67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