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arried Couple Communication on the Satisfaction of Marriag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정희 (건국대학교 평생교육원)
  • Received : 2019.09.01
  • Accepted : 2019.11.19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how communication between married men and women is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through the medium effect of marital intimacy. A total number of 365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30s-50s were survey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for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d para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ethod by Baron and Kenny(1986).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in key variabl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group, education period and household income.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through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age of the youngest child, and more importantly couple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are influential in marital satisfaction. Third, verification of th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marital intimacy had partial mediation with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we verified that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are vital in order to improve marriage satisfaction for married men and women.

Keywords

References

  1. 강차선(2006). 부부의사소통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구효님.황향임(2014). 30-40대 기혼자를 대상으로 결혼만족도에 대한 조사. 사회복지경영연구, 1(2), 91-105.
  3. 김길현(2013). 신노년층 부부관계 변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친밀감과 애정생활 및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미옥.김희선(2018). 난임 여성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2(1), 96-108. https://doi.org/10.5932/JKPHN.2018.32.1.96
  5. 김민녀.채규만(2006).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기혼자의 결혼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11(4), 655-671.
  6. 김성일(2014). 직업군인들의 자아존중감이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세련(2010). 사티어 성장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순숙(2012). 중년기 기혼남.녀의 자기분화, 자아존중감,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승익(2014). 노년기 재혼자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시연.서영석(2008).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부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243-1265.
  11. 김은정(1992). 결혼 초기 부부의 역할갈등 및 갈등해결방법과 결혼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의진(2014). 중년부부의 부부갈등, 여가경험, 결혼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진분.최규련(2007). 군인부부의 의사소통과 직업만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8(4), 1677-1692. https://doi.org/10.15703/KJC.8.4.200712.1677
  14. 김혜원.한소영.이지연(2017). 중년기 기혼 여성의 성인애착불안/회피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행동과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43(3), 267-297. https://doi.org/10.15820/KHJSS.2017.43.3.011
  15. 김호경(2011).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희진(2004). 한국부부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5(3), 839-853.
  17. 노성향(2018).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자존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부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10(2), 1-15.
  18. 박공주.강성금(2019).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4), 247-255. https://doi.org/10.15207/jkcs.2019.10.4.247
  19. 박봉순.김영희(2010).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 남녀의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8(9), 1-11. https://doi.org/10.6115/khea.2010.48.9.001
  20. 박영화.고재홍(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 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71-100. https://doi.org/10.18205/KPA.2014.19.1.004
  21. 박옥자.여경환.관예주.윤운숭(2015). 배우자의 지지가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에니어그램연구, 12(2), 99-119.
  22. 박유빈.한그림.정연우.박선웅(2018). 배우 자이상화와 결혼만족도: 의사소통 패턴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2(1), 65-81. https://doi.org/10.21193/KJSPP.2018.32.1.004
  23. 박주희(2015).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원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4), 71-94.
  24. 박희정.변상해(2017). 재혼부부의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7), 236-252.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236
  25. 서석원.이대균(2013).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및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3(5), 279-298.
  26. 서정선(2007). 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용서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손강숙.주영아(2015). 기혼 중년남녀의 성적친밀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4), 697-718.
  28. 송성자(1985). 한국부부간 의사소통 유형과 가족문제에 관한 연구. 숭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신명숙(2012). 경제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배우자의 가사분담과 부부공유도의 매개 효과 검증.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신순옥.남상인(2019). 부부의 성격과 의사소통, 결혼만족도의 관계. 에니어그램연구, 16(1), 59-84.
  31. 심의경.오봉욱(2018). 자아존중감이 성인의 가족친밀도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검증. 인문사회21, 9(3), 327-340.
  32. 안옥희.전미순.윤미선.황윤영.김영희(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자아 존중감과 결혼만족도. 한국자료분석학회, 12(6), 3137-3151.
  33. 오현정(2014). 부부의 자존감, 성적 친밀감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유계숙.강수향.오아림.이주현(2011).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이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17-136.
  35. 유성경.임영선(2016). 기혼직장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일 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415-439.
  36. 윤수란(2013). 한국 기혼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충족과 배우자와의 의사소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윤지연.강선경(2018). 부부의 결혼만족도, 우울 및 알코올 사용 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검증.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27, 37-60.
  38. 이경희(1995). 부부간 친밀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4), 235-249.
  39. 이명신.김유순(2016). 부부권력, 변화주장,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년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과연구, 13(2), 179-214.
  40. 이미숙(1997).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과 결혼 만족도의 관계. 성평등연구, 1, 279-288.
  41. 이민식.김중술(1996). 부부관계 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의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5(1), 129-140. https://doi.org/10.18205/KPA.2010.15.1.007
  42. 이선화(201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핵심자기평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이정숙(2010).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이정은.이영호(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45. 이지민(2015).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가족과 문화, 27(4), 112-136.
  46. 이태손(2015). 기혼자들의 성격특성과 사랑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이희윤.조유현(2015). 부부의 관계신념지각,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만족,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부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7(4), 62-88.
  48. 임나현.하규수(2012).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 199-214.
  49. 임성은(2014). 부부친밀감, 부부여가활동 및 양가부모와의 관계가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임영란(1991). 한국개신교 교인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오현정(2014). 부부의 자존감, 성적 친밀감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정한나(2009).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한국 남성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정화숙(2010).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관계증진 훈련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4. 정화숙(2013). 중년기 기혼남녀의 마음챙김, 부부 스트레스 및 부부친밀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95-396.
  55. 조정문(1995). 결혼생활의 공평성 인지와 결혼 만족. 한국사회학, 29, 559-584.
  56. 조지은(2005). 기혼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차근영.김석선.길민지(2017). 중년기 부부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보건사회연구, 37(2), 126-149. https://doi.org/10.15709/HSWR.2017.37.2.126
  58. 최연우(2010). 원가족건강성, 부부친밀감,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통계청(2019). 2018년 혼인.이혼 통계.
  60. 홍구화.서영옥(2012).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와 분노에 미치는 효과: 감사의 조절 효과. 인문논총, 29, 157-175.
  61. 홍미기(2009).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부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2. 홍순건(2006). 건강한 부부의 특징: Got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3.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64. Boyd, L.(1977).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differentiating more satisfying from less satisfying marital relationshi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1, 540. https://doi.org/10.1037/0022-0167.24.6.540
  65. Broucke, S. V., Vertommen, H., & Vandereycken, W.(1995).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marital intimacy questionnaire. Family Relations, 44, 285-290. https://doi.org/10.2307/585527
  66. Glenn, N. D.(1990). Quantitative research on marital quality in the 1980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 818-831. https://doi.org/10.2307/353304
  67. Hatfield, E.(1984). The danger of intimacy: Communication, intimacy, and close relationship. New York: Academic Press.
  68. Lewis, R. A & Spaniner, G. B.(1979). Theor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Burr, W., Hill, R., Nye, I, & Reiss, I(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1, New York: Free Press.
  69. Moss, B, & Schwebel, A.(1993).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 42, 31-37. https://doi.org/10.2307/584918
  70. Olson, D.H., McCubbin, H.I., Barnes, H, L., Larsen, A. S., Muxen, M., & Wilson, M. A(1983). Families: What makes them work. Beverly Hills: Sage.
  71. Rollins, B. C., & Cannon, K, L.(1974).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family life cycle: A Reevalu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6, 271-282. https://doi.org/10.2307/351153
  72. Scanzoni, J.(1975). Sex roles, economics factors and marital solidarity in black and white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 402-413. https://doi.org/10.2307/351037
  73. Schaefer, M., & Olson, D.(1981). Assessment of intimacy: The PAIR inventor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7, 47-60. https://doi.org/10.1111/j.1752-0606.1981.tb01351.x
  74. Spanier, G. B.(1976).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 15-28. https://doi.org/10.2307/350547
  75. Waring. E. M.(1984). The measurement of marital intimacy and self disclosure. Journal of Family Therapy, 10, 185-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