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귀영(2010).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 태도와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강모성(2008). 기혼 중년 남성이 지각하는 직무 및 가족스트레스와 자살구상.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강민호(2018). 한국 임금근로자의 직장 내 심리적 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곽현주(2018). 일자리 특성이 임금 근로자의 우울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사업체 규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국민건강보험공단(2018.9.10). 마음의 병 우울증 여성이 45만 명으로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아 https://www.nhis.or.kr/bbs7/boards/B0039/27103.
- 권석만(2000). 우울증; 침체와 절망의 늪. 서울 : 학지사.
- 김성수(2001).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양희.김진희.박정윤(2001). 중년기 남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과 대처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157-172.
- 김여진(2017). 우울과 대인관계에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 지향적 공감의 매개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외란(2015). 가족관계와 청소년우울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유경.구혜령(2016). 기혼남성근로자의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2), 99-117.
- 김은숙(2012). 우울증, 결혼만족도, 가족건강성 및 신체화증상의 관계.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은정(2015). 중공업 남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음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7), 4758-4767.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758
- 김정숙(2018). 중년남성의 가족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1), 561-567.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561
- 김종윤(2014). 40대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가족의 건강성에 미치는 요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지현(2017). 우울을 호소하는 기혼여성의 통합적 상담 사례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향수.김송순(2017). 기혼 중년남성의 직업스트레스, 직업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3), 101-114. https://doi.org/10.15207/JKCS.2017.8.3.101
- 김혜련.신현섭(2006). 정신건강론. 서울 : 학지사.
- 김호정.허전(2008). 한글 SPSSWIN14.0 통계분석 및 해설. 서울 : 삼영사.
- 류진선(2009).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 관계와 자기 효능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매일경제신문(2017.5.3). 직장인의 자존감 : 김부장은 어쩌다 꼰대가 됐을까? http://www.mk.co.kr/opinion/contributors/view/2017/05/298729/.
- 문정화.박태영(2016). 직장 상사와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혼 남성의 우울증 진행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52, 343-374.
- 민문기(2015). 직장 내 괴롭힘과 우울의 관계에서 개인 내외적 변인이 조절효과검증.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규철.이경종.박재범.민경복.이규원(2008). 한 자동차 회사의 남성 사무직 근로자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과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0(3), 215-224.
- 박민정(2013). 중년 남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용권(2010). SPSS 사회복지자료분석. 서울 : 신정.
- 박재규.이정림(2011).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9, 99-128.
- 박종서(2017). 일.가정 양립 정책 추진 현황과 개선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박주희(2018). 중년기 기혼 남녀의 가족생활 스트레스, 가족 가치관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4), 17-33.
- 박준희(2004). 기혼남녀의 성격특성, 가족관계 스트레스, 여가활동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지남(2016). 한국 근로자의 우울 관련 요인.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백종철(2007).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태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보건복지부.서울삼성병원(2017).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 조사.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중앙자살예방센터(2019). 2019년 자살예방백서. 보건복지부.
- 서울경제신문(2019.3.4). 삶에 사표 던지는 아버지들: 자기개발.성공서적만 보고 자란 세대... 위기관리는 못 배웠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VGGJM1QHW/GK04.
- 서혜선.양경숙.김나영.김희영.김미경(2007). 회귀분석(SPSS를 활용한). 서울 : 한나래.
- 안미경(2018). 50대 중년 남성의 우울 경험에 대한 탐구 : 전문직 남성을 중심으로. 질적탐구, 4(3), 165-199.
- 양옥경(2001). 가족관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8, 117-145.
- 양유정.신성희(2014). 중년 부부의 자아 존중감과 가족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3(2), 60-69. https://doi.org/10.12934/jkpmhn.2014.23.2.60
- 양정연(2019). 대인관계 역량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후연(2018). 자기초점화가 우울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유수현.서규동.유명이.이봉재.이종하(2018).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서울: 신정.
- 유승현.권혁주.김선희.이정아.선우성.김영식.김병수.오한진.김철민.최희정.황희진.옥선화(2016). 배우자의 우울증이 가족 기능과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6(1), 11-19. https://doi.org/10.15384/kjhp.2016.16.1.11
- 유정순(2005). 인지적 조화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우울 경향이 있는 기혼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역기능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규선.강정숙.권인선.조영채(2011).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 직무 스트레스 및 피로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5), 2230-2240. https://doi.org/10.5762/KAIS.2011.12.5.2230
- 이미숙(2003). 사회적 스트레스와 중년기 남성의 정신건강. 한국사회학, 37(3), 25-26.
- 이상현(2015).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우울 증상, 직무스트레스간의 영향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소희(2019). 직장 내 대인관계와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남성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은희(2015). 중년 직장 남성의 우울감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자아 존중감의 매개변인효과.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정인.김계하.오순학(2003). 중년 남성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5(3), 422-431.
- 이지은(2013). 구성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자기 효능감 및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특 1급 호텔 구성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임정빈.지영숙.문숙재.이기영.이연숙(1994). 가정관리학. 서울 : 학지사.
- 임지영(2014). 주부의 가족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석진(2007). 애착이론에 근거한 대인 관계 증진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장승환(2013). 조직 구성원의 업무 관련 스트레스와 환경적 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전겸구.최상진.양병창(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6(1), 59-76.
- 정연경(2010). 생활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가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은숙.심문숙(2011). 생산직 여성 근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822-83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822
- 정태환(2015). 카지노 종사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대인관계 만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내국인 카지노 종사원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제연화(2014). 남성 성역할 갈등과 자살성의 관계 : 우울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의 역할.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영임(2018). 30대 한국 성인 남성의 우울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진서영.박정윤.김양희(2008). 기혼남녀의 일 가족갈등에 따른 가족 건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59-79.
- 최광수(2013). 요양보호사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미경.이영희(2010). 중년성인의 우울과 무력감, 사회적 지지 및 사회경제적 상태. 정신간호학회지, 19(2), 196-204.
- 통계청(2018.9.19). 2017년 사망원인 통계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70711&pageNo=8&rowNum=10&amSeq=&sTarget=&sTxt=.
- 통계청(2019.3.20). 2018 혼인.이혼 통계 http://kostat.go.kr.C:\Users\user\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IE\LR3H5SDS\2018년+혼인+이혼+통계.pdf.
- 파이낸셜 뉴스(2014.12.10). 자살까지 부르는 '중년 남성 우울증 주의보' 직장 때문에 http://m.fnnews.com/news/201412101426555296.
- 한국건강증진개발원(2019.4.17). 직장인의 건강, ʻ건강친화기업 인증제ʼ로 개선 https://www.khealth.or.kr/board/view?linkId=999223&menuId=MENU00907.
- 한경혜.이정화.옥선화.Ryff, C. D. & Marks, N. F.(2002).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정신 건강. 한국노년학, 22(2), 209-225.
- 한상욱(2015). 중년 기혼남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허용재(2013). 호텔 종사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소진 및 직무태도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홍진표.이동우.심유진.김영후(2015). 한국 직장인에서 우울증의 인식과 태도조사 및 우울증이 근무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54(2), 188-201. https://doi.org/10.4306/jknpa.2015.54.2.188
- 황욱(2010). 제4기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살펴본 임금 근로자의 우울증상과 직업관련 요소와의 연관성.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Argyris, C.(1957). Personality and organization : The conflict between system and the individual. New York : Harper & Row.
- Boss, P., Bryant, C. M. & Mancini, J. A.(2001). Family stress management : A contextual approach.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 Cochran, S. V. & Rabinowitz, F. E.(2000). Men and depression: Clin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San Diego, CA : Academic Press.
- Cooper, C. L. & Marshall, J.(1978). Sources of managerial and white collar stress in C. L. Cooper & R. Payne(eds), Stress at work(pp 56-81). Chichester : John Wiley & Sons.
- Gaines, J. & Jermier, J. M.(1983). Emotional exhaustion in a high stress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4), 567-586. https://doi.org/10.2307/255907
- Hackman, J. R. & Oldham, G. R.(1980). Work redesign. Reading,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 Kilmartin, C.(2005). Depression in men : Communication, diagnosis and therapy. Journal of Men's Health and Gender, 2(1), 95-99. https://doi.org/10.1016/j.jmhg.2004.10.010
- Matteson, M. T. & Ivancevich, J. M.(1982). Managing job stress and health : The intelligent person's guide. New York : Free Press.
- Radloff, L. S.(1977).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