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ties in the pathway of the family economic status to family life difficulties : in Wonju City

가족의 경제적 수준이 가족생활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가족 내 의사소통과 유대감의 매개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 원주시를 중심으로

  • Chung, Hyunju (Dept. of Social Welfare, Seoul Cyber University) ;
  • Song, Sari (Dept. of Social Welfare, Yeoju University)
  • 정현주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 송사리 (여주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Received : 2019.09.01
  • Accepted : 2019.11.14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conomic status on the difficulties of family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ties. A total of 386 people were surveyed, and data from 352 were used for the actual data analysis. For the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 Sobel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economic status of households, family communication, family ties, and the difficulties of family life. Second, the economic status of households directly influences the difficulties of family by mediating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ties. This study identified that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ties affect the improvement of difficulties in family life. It suggests that improving economic status, promoting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strengthening family ties can help solve the difficulties of family life.

Keywords

References

  1. 강선경(2011). 부모역할훈련프로그램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유연성 및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4, 109-136.
  2. 강희경(2005).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93-102.
  3. 고경애.정민정(2007). 가족기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 301-320.
  4. 고영희(2014). 빈곤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경신(2015). 가정관리학 관점에서의 가족교육현황과 전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11), 3-34.
  6. 김광혁.김예성(2008). 가족빈곤이 아동학대 및 방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부모의 우울 및 가족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생활과학회지, 17(5), 1-13.
  7. 김광혁.신다은(2013). 빈곤한 주거환경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메커니즘 - 부부 및 가족갈등과 부정적 양육행동의 매개적 작용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논총, 28(2), 73-93.
  8. 김두연(2006). 빈곤과 핵가족 해체: 빈곤층 조손가족 사례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승용(2005). 빈곤여성의 가족기능과 관련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107-124.
  10. 김영하(2008). 빈곤가정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영희.안상미(2008).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갈등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 청소년학연구, 15(2), 1-30.
  12. 김정희(2015). 청소년기 자녀를 둔 가족의 가족건강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남희수(2009).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노윤옥.전미경(2006).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1), 1-15.
  15. 도미향(2006). 빈곤가족의 해체현상에 관한 연구. 아동복지연구, 4(3), 47-65.
  16. 박상규.이병하(2004). 빈곤층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6(4), 813-824.
  17. 박정애(2015). 빈곤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박정윤.박연숙.전미경(2019). 가족사례관리 사업 운영 현황 및 효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1), 35-60.
  19. 박주희(2019). 중년기 취업모의 가족부양부담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가족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3), 133-148.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3.007
  20. 배한나(2012). 빈곤가정 부부갈등이 아동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백정재.이재연(1997). 빈곤아동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사회적 환경과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생활과학연구지, 12(1), 71-93.
  22. 백혜영(2017). 빈곤이 부모우울과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을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38, 47-74.
  23. 서종수.조희금.이재법(2016). 기혼남성의 가정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19-34.
  24. 서하진.김정옥(2009).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141-178.
  25. 손서희.계선자(2014). 서울시 자치구 건강가정지원센터 이용자의 가족건강성 및 프로그램 요구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6), 19-30. https://doi.org/10.7466/JKHMA.2014.32.6.19
  26. 어은주.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27. 윤혜미(2005).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이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7(3), 133-164.
  28. 위종희(2012).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이국화.류점숙.이선정.신효식(2011).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와 가정생활만족도. 生活科學硏究, 21, 95-102.
  30. 이성휘.박정윤.김양희.장영은.어성연(2009). 빈곤가정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305-316.
  31. 이혜숙.임은하(2009). 빈곤가정의 빈곤화 과정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6, 255-294.
  32. 임재현(2011). 주거빈곤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2(1), 279-304.
  33. 임정아.이인수(2006). 청소년기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연구. 아동교육, 15(2), 37-62.
  34. 최정혜(2004). 주말부부의 가족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69-83.
  35. 하경희.강병철(2013). 빈곤가구의 심리적 디스트레스(Distress)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7(2), 115-137. https://doi.org/10.22867/KAQSW.2013.7.2.115
  36. 하태정.강현아(2012). 가족 빈곤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환경과 부모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아동복지학, 40, 139-166.
  37. 한주리.허경호(2005). 가족 구성원의 의사소통 능력,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2, 251-282.
  38. 황인실(2004). 가족건강성과 중장년기 성인남녀의 자아정체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허미영(2006). 빈곤의 여성화: 빈곤의 계기와 가족의 역할 - 부산.경남지역 심층면접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학, 22(4), 235-262.
  40. Banovcinova, A., Levicka, J., & Veres, M. 2014). The Impact of Poverty on the Family System Functioning.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132, 148-153.
  4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2. Barton, P.(2006). The dropout problem. Educational Leadership, 63, 14-18.
  43. Cohen, M. A.(1998). The monetary value of saving a high-risk youth.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14(1), 5-33. https://doi.org/10.1023/A:1023092324459
  44. Conger, R. D., Conger, K. J., Elder, G. H., JR., Lorenz, F. O., Simons, R. L., & Whibeck, L. B.(1992). A Family process model of economic hardship and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 boys. Child Development, 63, 536-541.
  45. Conger, R. D., Conger, K. J., & Elder, G.(1997). Family economic hardship and adolescent adjustment: Mediating and moderating processes. pp. 288-310. in G. J. Duncan and J. Brooks- Gunn(ed.). Consequences of Growing Up Poor.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46. Duncan, G. J., Yeung, W. J., Brooks-Gunn, J., & Smith, J. R.(1998). How much does childhood poverty affect the life chances of childr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406-423. https://doi.org/10.2307/2657556
  47. Gulati, J. K., & Dutta, J.(2008). Risk,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child adjustment in families experiencing persistent poverty in India. Journal of Family Studies, 14(1), 107-123. https://doi.org/10.5172/jfs.327.14.1.107
  48. Jarjoura, G., Triplett, R., & Brinker, G.(2002). Growing up poor: Examining the link between childhood poverty and delinquency,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18, 159-187. https://doi.org/10.1023/A:1015206715838
  49. McLoyd, V. C. (1990).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1, 311-346. https://doi.org/10.2307/1131096
  50. Mullin, W. J., & Arce, M.(2008). Resilience of Families Living in Poverty.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1(4), 424-440. https://doi.org/10.1080/10522150802424565
  51. Santiago, C. D., & Wadsworth, M.(2009). Coping with family conflict : whatʼs helpful and whatʼs not for low-income adolescents. Journal of Child & Family Studies, 18, 192-202. https://doi.org/10.1007/s10826-008-9219-9
  52. Seccombe, K.(2000). Families in poverty in the 1990s: Trends, causes, consequences, and lessons learne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4), 1094-1113.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1094.x
  53. Voydanoff, P.(1991). Economic distress and family relations: A Review of the eight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2, 1099-1115. https://doi.org/10.2307/353321
  54. Walsh, F.(2002). Resilience and social work practice: Three case studies. Journal of Contemporary Human Services, 82, 441-448.
  55. Wender, P. H., Kety, R. D., Schulsinger, S. S., & Welner, J.(1973). Social class and psychopathology in adopte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8, 318-325. https://doi.org/10.1001/archpsyc.1973.01750330020003
  56. Yeung, W. J., Linver, M. R., & Brooks-Gunn, J.(2002). How Money Matters for Young Childrenʼs Development: Parental Investment and Family Process. Child Development, 73, 1861-1879. https://doi.org/10.1111/1467-8624.t01-1-0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