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Sense of Humor in the Relation Between Their Job Stress and Happiness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 대한 유머감각의 중재효과

  • Received : 2018.10.15
  • Accepted : 2018.12.07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hildcare teachers' sense of hum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 stress and happiness Methods: Participants were 29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83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Teachers completed a rating scale in order to examine their demographic variables, job stress, sense of humor, and happi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happiness. And childcare teachers' sense of humo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happines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sense of humor predicted their happines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happiness among those who demonstrate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had no relationship with their happiness, especially for those with the highest level of sense of humor Conclusion/Implications: We suggested that having a sense of humor might be valuable for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buffer the link between their job stress and happiness.

Keywords

BOJGB2_2019_v15n1_9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유머감각의 상호작용 효과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BOJGB2_2019_v15n1_91_t0001.png 이미지

표 1. 계속

BOJGB2_2019_v15n1_91_t0002.png 이미지

표 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유머감각 및 행복감 간의 적률상관계수

BOJGB2_2019_v15n1_91_t0003.png 이미지

표 3.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유머감각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BOJGB2_2019_v15n1_91_t0004.png 이미지

표 4. 보육교사의 유머감각 수준별 직무스트레스의 행복감에 대한 β계수 비교 결과

BOJGB2_2019_v15n1_91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우정 (2015).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자기개발욕구 및 행복감 간의 관계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미연 (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권석만 (2011). 인간의 긍정적 성품 -긍정 심리학의 관점-. 서울: 학지사.
  5. 권영이 (2013).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통합교육 신념 및 유머감각의 영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라 (2009). 간호사의 유머감각과 업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진 (2015). 성격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시연 (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도, 교사 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분석.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영은 (2012).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57-76.
  10. 김정희 (2013). 보육교사의 유머감각과 원장-교사 교환 관계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2(3), 105-124.
  11. 김주희 (2017). 유머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혜리 (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민현기 (2009). 대학생의 유머 대처와 유머 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신현정, 박진성 (2010).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4(2), 147-170.
  15.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경애 (2010).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 변인의 관계분석-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 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선경, 이민희, 김경의 (2014).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과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15(4), 661-680.
  18. 이수진 (2016). 원장과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감성 리더십에 따른 유아교사 행복감과 직무스트레스.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순하 (2011). 기혼 직장여성의 유머감각이 직무 불안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승은, 서현 (2012). 유아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주관적 이해 분석. 유아교육연구, 32(6), 441-466. doi:10.18023/kjece.2012.32.6.018
  21. 이영화 (2011). 평생교육 학습자의 유머감각이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유정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적성과 행복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재선 (2005). 청소년의 유머감각과 유머 스타일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재선, 이선우 (2009). 노인의 유머감각이 자아존중감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8(2), 15-22.
  25. 이정화 (2007).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전요섭 (2007). 유머의 기독교상담적 이해.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4, 197-217.
  27. 정민정, 김유진 (2009).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65-74. https://doi.org/10.5934/KJHE.2009.18.1.065
  28. 조규영 (201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선행요인과 행위 결과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조성연 (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 36, 23-44.
  30. 진선해 (2012). 유아교사와 중등교사의 정서지능, 유머감각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최정림 (2011). 보육교사의 유머감각이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허영주 (2009). 교사 유머의 교육적 효과와 성공적 활용의 조건 및 전략 탐색. 교육방법연구, 21(1), 115-139. doi:10.17927/tkjems.2009.21.1.115
  33. 허영주 (2011). 교사 유머의 유형화 및 유형별 교육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23(1), 1-29. doi:10.17927/tkjems.2011.23.1.1
  34.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4).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1), 341-363.
  35.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련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 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36. Abel, M. H. (2002). Humor,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Humo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or Research, 15(4), 365-381. doi:10.1515/humr.15.4.365
  37. Altanchimeg, C. (2016). 유머감각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성향의 매개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39. Kuiper, N. A., & Olinger, L. J. (1998). Humor and mental health. In H. S. Friedman (Ed.), Encyclopedia of mental health (Vol. 2, pp. 445-457). San Diego, CA: Academic Press.
  40. Kuiper, N. A., McKenzie, S. D., & Belanger, K. A. (1995). Cognitive appraisal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sense of humor: Motivational and affective implicatio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3). 359-372. doi:10.1016/0191-8869(95)00072-e
  41. Lyubomirsky, S. (2008).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오혜경 옮김). 서울: 지식 노마드(원판 2007).
  42. Martin, R. A. (2001). Humor, laughter, and physical health: Methodological issues and research findings. Psychological Bulletin, 127(4), 504-519. doi:10.1037/0033-2909.127.4.504
  43. Martin, R. A., & Lefcourt, H. M. (1983). Sense of humor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stres sor and mood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6), 1313-1324. doi:10.1037/0022-3514.45.6.1313
  44. Lefcourt, H. M., & Martin, R. A. (1986). Humor and life stress: Antidote to adversity. New York: Springer-Verlag.
  45. Nezlek, J. B., & Derks, P. (2001). Use of humor as a coping mechanism,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ocial interaction. HUMO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or Research, 14(4), 395-414. doi:10.1515/humr.2001.011
  46. Noddings, N. (2008). Happiness and Education, 행복과 교육(이지헌, 김선, 김희봉, 장정훈 옮김). 서울: 학이당(원판 2003).
  47. Seligman, M. E. P. (2009).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김인자 옮김). 경기도: 물푸레(원판 2004).
  48. Ziv, A. (1988). National styles of humor. Westport, CN: Greenw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