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사회복지의 뉴 패러다임[1]
그림 2. Q분류표
표 1. 영역별 Q표본
표 2. 유형별 eigen값과 설명변량
표 3. 유형별 응답자 분포
표 4. 유형간 상관관계
표 5. Q표본의 표준점수 분포
표 6. <유형Ⅰ>의 Q표본 분포(±1.0이상)
표 7. <유형Ⅱ>의 Q표본 분포(±1.0이상)
표 8. <유형 Ⅲ>의 Q표본 분포(±1.0이상)
표 9. 유형별 응답자 특성 교차분석
표 10. 유형별 사회복지 관심도 교차분석
표 11. 유형간 공통의견(±1.0이상)
참고문헌
- 김범수, 신원우,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18.
- 김현호 등, 지역사회복지론, 양서원, 2016.
- 강대선, 류기형, 손지현, "지역사회복지조직의 관계혜택이 노인자원봉사활동만족도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52, pp.199-224, 2015.
- 채현탁, 유애정, 박태영,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매뉴얼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학, Vol.48, pp.249-268, 2014.
- 심미승, "지역사회복지관점에서 로컬거버넌스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pp.94-10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094
- 이재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이해,"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3, No.4, pp.37-57, 2013.
- 함철호, 박태영, 이재완, 류만희, 채현탁, 김종건, "지역사회복지계획 중장기 발전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담당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46, pp.255-285, 2013.
- 강세현, "제주시 청소년정책의 핵심사업 분석: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중심으로," 제주도연구, Vol.43, pp.213-267, 2015.
- 이재완, 김승용, "연차별 지역사회복지계획 시행 결과 평가 매뉴얼개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 Vol.2012, p.87, 2012.
- J. W. Creswell, Research Desig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Sage, 1994.
- 서근원, "질적연구 수행의 의미," 교육학연구, Vol.46, No.3, pp.133-161, 2008.
- 김석웅, "회계학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근거이론에 관한 탐색적 연구," 회계학연구, Vol.25, No.3, pp.77-102, 2007.
- 김석웅, 회계학의 해석적 방법론, 교육과학사, 2007.
- 조우연, 이도희, "사회복지법인 운영 인식의 가설발견적 접근 : 사회복지법인 실무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복지학, Vol.43, pp.1-30, 2012.
- 김흥규, Q방법론:과학철착,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W. Stephenson, "Consciousness Out-Subjectivity in," The Psychological Record, Vol.18, p.500, 1968. https://doi.org/10.1007/BF03393799
- W. Stephenson, Quantum of Theory of Advertising. Columbia:Stephenson Research Center, School of Jornalism, University of Missouri, 1994.
- R. S. Brown, The History and Principles of Q Methodology in Psychology and the Social Sciences, Kent State University, Ohio. 1997.
- R.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New Haven, Mass.: Yale University Press. 1980.
- 이도희, 이동규, "질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비영리회계 인식의 가설 발견적 접근," 회계연구, Vol.12, No.1, pp.281-308, 2006.
- 김흥규, "주관성(subjectivity)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서울대학교 간호학논문집, Vol.6, No.1, pp.1-11, 1992.
- 문호성,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pp.180-18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80
- 임동호, 김대석,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pp.196-20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196
- 송지현,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 효과성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 참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Vol.43, No.2, pp.215-239, 2016. https://doi.org/10.15855/SWP.2016.43.2.215
- 정원희, 최종일,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pp.350-36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