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ypology of the Perception on Community Welfare using the Q Methodology

Q방법론을 활용한 지역사회복지 인식의 유형화

  • 이도희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
  • 박희정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원세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01.18
  • Accepted : 2019.02.11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community welfare', a domain of social welfare. First of all, we used the Q methodology, a qualitative research, to typology the recognition of community welfare. For the analysis, we have obtained various terms (Q samples) that have been discussed and learned in the community welfare, and examined the types of recognition of these terms. For the analysis, 29 samples of 29 samples were obtained from 29 samples of P samples. As a result of analysis, three types were defined. In other words, emphasizes 'participation of residents', 'building ties', and 'improvement of life quality of residents' is named it "Quality of residents life-Relationship Type". emphasizes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and 'satisfaction of community needs' and named it "Quality of residents life- Desire for community needs Type". emphasizes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and named it "Participation of Residents-Quality of Life Type".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community welfare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 we hope to enhance the usefulness of the hypothesis abductive approach and to extend the study to future quantitative research.

본 연구는 사회복지의 한 영역인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일련의 진단을 위하여 질적연구방법인 Q방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복지에서 회자되고 학습되고 있는 다양한 용어(Q표본)를 확보하고, 이들 용어에 대한 인식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하여 29명의 응답자인 P표본에게 29개의 진술문인 Q표본을 확보하여, Q표본에 대한 Q분류를 실시하여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유형으로 정의되었다. 즉, <유형 I>은 '주민참여', '유대관계 형성', '주민 삶의 질 향상' 등을 강조하고 있어, "주민 삶의 질- 유대관계강조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II>는 '주민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욕구충족'을 강조하고 있어 "주민 삶의 질-지역사회욕구충족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III>은 '주민참여'와 '주민 삶의 질 향상'을 강조하고 있어 "주민참여-주민 삶의 질 향상형"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유형화결과를 바탕으로 유형별 응답자 특성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특성별로 지역사회 복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로써, 가설발견적 접근방법으로써의 유용성을 제고하여 향후 계량연구로의 확장연구를 기대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3_61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사회복지의 뉴 패러다임[1]

CCTHCV_2019_v19n3_61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Q분류표

표 1. 영역별 Q표본

CCTHCV_2019_v19n3_615_t0001.png 이미지

표 2. 유형별 eigen값과 설명변량

CCTHCV_2019_v19n3_615_t0002.png 이미지

표 3. 유형별 응답자 분포

CCTHCV_2019_v19n3_615_t0003.png 이미지

표 4. 유형간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3_615_t0004.png 이미지

표 5. Q표본의 표준점수 분포

CCTHCV_2019_v19n3_615_t0005.png 이미지

표 6. <유형Ⅰ>의 Q표본 분포(±1.0이상)

CCTHCV_2019_v19n3_615_t0006.png 이미지

표 7. <유형Ⅱ>의 Q표본 분포(±1.0이상)

CCTHCV_2019_v19n3_615_t0007.png 이미지

표 8. <유형 Ⅲ>의 Q표본 분포(±1.0이상)

CCTHCV_2019_v19n3_615_t0008.png 이미지

표 9. 유형별 응답자 특성 교차분석

CCTHCV_2019_v19n3_615_t0009.png 이미지

표 10. 유형별 사회복지 관심도 교차분석

CCTHCV_2019_v19n3_615_t0010.png 이미지

표 11. 유형간 공통의견(±1.0이상)

CCTHCV_2019_v19n3_615_t0011.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범수, 신원우,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18.
  2. 김현호 등, 지역사회복지론, 양서원, 2016.
  3. 강대선, 류기형, 손지현, "지역사회복지조직의 관계혜택이 노인자원봉사활동만족도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52, pp.199-224, 2015.
  4. 채현탁, 유애정, 박태영,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매뉴얼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학, Vol.48, pp.249-268, 2014.
  5. 심미승, "지역사회복지관점에서 로컬거버넌스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pp.94-10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094
  6. 이재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이해,"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3, No.4, pp.37-57, 2013.
  7. 함철호, 박태영, 이재완, 류만희, 채현탁, 김종건, "지역사회복지계획 중장기 발전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담당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46, pp.255-285, 2013.
  8. 강세현, "제주시 청소년정책의 핵심사업 분석: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중심으로," 제주도연구, Vol.43, pp.213-267, 2015.
  9. 이재완, 김승용, "연차별 지역사회복지계획 시행 결과 평가 매뉴얼개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 Vol.2012, p.87, 2012.
  10. J. W. Creswell, Research Desig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Sage, 1994.
  11. 서근원, "질적연구 수행의 의미," 교육학연구, Vol.46, No.3, pp.133-161, 2008.
  12. 김석웅, "회계학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근거이론에 관한 탐색적 연구," 회계학연구, Vol.25, No.3, pp.77-102, 2007.
  13. 김석웅, 회계학의 해석적 방법론, 교육과학사, 2007.
  14. 조우연, 이도희, "사회복지법인 운영 인식의 가설발견적 접근 : 사회복지법인 실무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복지학, Vol.43, pp.1-30, 2012.
  15. 김흥규, Q방법론:과학철착,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6. W. Stephenson, "Consciousness Out-Subjectivity in," The Psychological Record, Vol.18, p.500, 1968. https://doi.org/10.1007/BF03393799
  17. W. Stephenson, Quantum of Theory of Advertising. Columbia:Stephenson Research Center, School of Jornalism, University of Missouri, 1994.
  18. R. S. Brown, The History and Principles of Q Methodology in Psychology and the Social Sciences, Kent State University, Ohio. 1997.
  19. R.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New Haven, Mass.: Yale University Press. 1980.
  20. 이도희, 이동규, "질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비영리회계 인식의 가설 발견적 접근," 회계연구, Vol.12, No.1, pp.281-308, 2006.
  21. 김흥규, "주관성(subjectivity)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서울대학교 간호학논문집, Vol.6, No.1, pp.1-11, 1992.
  22. 문호성,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pp.180-18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80
  23. 임동호, 김대석,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pp.196-20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196
  24. 송지현,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 효과성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 참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Vol.43, No.2, pp.215-239, 2016. https://doi.org/10.15855/SWP.2016.43.2.215
  25. 정원희, 최종일,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pp.350-36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