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Internet Media Credi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대학생들의 인터넷 미디어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 -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중심으로

  • 김연종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
  • 안정임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 Received : 2018.11.13
  • Accepted : 2019.01.06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 of internet media credibility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who are routine users of internet-based media. Media literacy competences are of primary interest among others in that users' media literacy such as information evaluation,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and information sharing are assumed to be related to media credibility.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critical understanding ability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onsistently influencing factor. Users with more critical view on media ownership, represented reality, commercial intention of media seemed less likely to trust internet media. Whereas media use motive for information was found to be a strong predicting factor, motive for pleasure showed no relationship with credibility.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new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 미디어의 이용이 일상화되어 있는 20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인터넷 신문, 인터넷 포털사이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대한 신뢰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미디어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본 연구에서는 특히 이용자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주목하였다. 미디어 신뢰도라는 것이 이용자들의 미디어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용자들의 미디어 전반에 대해 갖고 있는 리터러시 역량, 즉 정보 분별 능력, 비판적 이해 능력, 정보 공유 능력 등이 신뢰도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디어 신뢰도 선행연구에서 주요 변인으로 밝혀진 미디어 이용동기 및 이용량의 관련성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중 비판적 이해 능력이 인터넷 기반 미디어 신뢰도에 일관되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의 소유구조, 재현된 현실, 상업적 목적, 정보의 왜곡 등 미디어의 속성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보유한 이용자일수록 미디어 신뢰도가 낮았다. 반면, 정보 자체를 평가하고 분별하는 능력은 예상 외로 인터넷 신문 외에는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고 정보공유능력은 모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 신뢰도에 대한 새로운 연구주제 및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2_43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표 1.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척도 타당성및신뢰도 검증

CCTHCV_2019_v19n2_438_t0001.png 이미지

표 2. 응답자 특성 및 변인별 평균값/표준편차

CCTHCV_2019_v19n2_438_t0002.png 이미지

표 3. 인터넷 신문 신뢰도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CCTHCV_2019_v19n2_438_t0003.png 이미지

표 4. 인터넷 포털사이트 신뢰도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CCTHCV_2019_v19n2_438_t0004.png 이미지

표 5.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신뢰도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CCTHCV_2019_v19n2_438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홍숙영, 정의철, "가짜뉴스와 언론 신뢰의 위기: 현황 분석과 대응 방안 탐색," Crisisonomy, 제13권, 제8호, pp.43-60, 2017.
  2. http://www.hani.co.kr/arti/society/media/849106.html#csidx25209aac1001ee4a7398192a562684a
  3. C. I. Hovland and W. Weiss, "The influence of source credibility o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Public Opinion Quarterly, Vol.15, No.4, pp.635-650, 1951. https://doi.org/10.1086/266350
  4. 박정의, "다매체 시대의 매체별 신뢰도 분석: 온라인과 전통 매체의 변별 요소-뉴스의 사회성," 한국방송학보, 제15권, 제3호, pp.129-154, 2001.
  5. 송종길, "매체별 신뢰도의 유사성 및 차별성 분석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2호, pp.180-202, 2007.
  6. 하승태, 이정교, "미디어 이용량과 선호 콘텐츠 유형이 미디어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1호, pp.413-434, 2011.
  7. 장정욱, 류춘렬, "한중 수용자의 뉴스 미디어 신뢰도 비교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0권, 제3호, pp.116-152, 2013.
  8. 수신, 육건엽, 정용국, "SNS 뉴스 신뢰도 결정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3호, pp.7-30, 2015.
  9. 김미경, 김봉덕, "뉴스 소비자의 사실 중심 뉴스 가치 인식, 이슈의 중요성 인식, 뉴스의 편향적 지각이 뉴스의 신뢰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343-356, 2018.
  10. T. Johnson and B. Kaye, "Using is believing: The influence of reliance on the credibility of online political information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7, pp.865-879, 2000. https://doi.org/10.1177/107769900007700409
  11. M. J. Metzger, A. J. Flanagin, K. Eyal, D. R. Lemus, and R. M. McCann, "Credibility for the 21st century: Integrating perspectives on source, message, and media credibility in the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In P. J. Kalbfleisch (Ed.), Communication Yearbook, Vol.27,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2003.
  12. 장정헌, 하주용, 김선호, "정치정보원으로서 인터넷미디어 신뢰도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4호, pp.96-128, 2014.
  13. S. Ashley, M. Poepsel, and E. Willis, "Media literacy and newscredibility: Does knowledge of media ownership increase skepticism in news consumers?," J. of Media Literacy Education, Vol.2, No.1, pp.37-46, 2010.
  14. 김정윤, 성동규, "미디어 리터러시의 자본화: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 확장과 측정문항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2권, 제1호, pp.5-32, 2018.
  15. 박노일, 정지연, 장정헌, "고령자 집단의 뉴스 미디어 이용과 신뢰도 연구," 언론정보연구, 제54권, 제1호, pp.314-347, 2017.
  16. 김현정, "매체 편향성 인식이 신문사설에 대한 심리적 저항을 통해 행동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1호, pp.178-198, 2014.
  17. 김은미, 양소은, "디지털 네이티브의 시민성,"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1호, pp.305-334, 2013.
  18. 이재원, 박동숙,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의 뉴스 리터러시 재개념화 : 뉴스 큐레이션 능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제32권, 제2호, pp.171-205, 2016. https://doi.org/10.16935/EJSS.2016.32.2.006
  19. 양정애, 최숙, 김경보, 뉴스리터러시 교육 I : 커리큘럼 및 지원체계,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20. 김경모, 이승수, 김상정, "정파적 수용자의 적대적 매체 지각과 뉴스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이론, 제12권, 제3호, pp.4-48, 2016.
  21. 안정임, 서윤경, 김성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평가도구 개발 및 성과 측정 조사, 방송통신위원회, 2013.
  22. UNESCO, Globa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Country readiness and competencies. Paris: UNESCO, 2013.
  23. 변정현,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녀 학생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9권, 제3호, pp.419-446, 2013.
  24. D. Buckingham, "Teaching the creative class? Media education and the media industries in the age of participatory culture," J. of Media Practice, Vol.14, No.1, pp.25-41, 2013. https://doi.org/10.1386/jmpr.14.1.25_1
  25. T. Jolls and C. Wilson, "The core concepts: Fundamental to media literacy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 of Media Literacy Education, Vol.6, No.2, pp.68-78, 2014. https://doi.org/10.23860/JMLE-2016-06-02-6
  26. 안정임, 서윤경, 김성미,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동향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31권, 제5호, pp.5-49, 2017.
  27. I. Cortoni, V. LoPresti, and P. Cervelli, "Digital competence assessment: A proposal for operationalizing the critical dimension," J. of Media Literacy Education, Vol.7, No.1, pp.46-57, 2015.
  28. E. Schilder, B. Lockee, and P. Saxon, "The challenges of assessing media literacy education," J. of Media Literacy Education, Vol.8, No.1, pp.32-48, 2015.
  29. A. Rubin and E. Perse, "Audience selectivity and involvement in newer media environment," Communication Research, Vol.17, No.5, pp.675-698, 1990. https://doi.org/10.1177/00936509001700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