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Influence of Online Digital Character Experience on Offline Related Products Purchasing Intention -Focused on Kakao Friends O4O(Online for Offline) Product Portfolio

온라인 디지털 캐릭터 경험이 오프라인 연관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카카오프렌즈의 O4O(Online for Offline) 제품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 손재영 (칭화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18.11.30
  • Accepted : 2018.12.20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Amazon Go was the catalyst of O4O era. O4O is an advanced business model from O2O, which is the integration of offline service to online, especially through smart phone network. We also find the O2O strategy of digital contents companies such as Kakao and Lin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online character experience and offline purchasing intention on related character products. The SEM was designed on the former study that based on the theory of user experience and brand attitud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users' online experience have influence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offline related products and there exist the mediating routes of satisfaction of user experience, brand preference and brand reliability. There are no statistical support to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user experi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These points illustrate what marketers better to focus on transmedia strategies.

아마존고의 출시와 함께 온라인 기업들이 온라인 디지털 사업에서 축적한 자산과 역량에 기반하여 오프라인으로 진출하는 O4O의 시대가 열렸다. 디지털 콘텐츠 업계에서도 O4O 전략을 시행하는 회사들이 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콘텐츠 업계 O4O의 대표적인 사례인 카카오프렌즈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연계 마케팅을 연구한 결과물이다. 온라인에서 캐릭터 체험이 어떤 경로를 통해 오프라인 연관 상품의 구매 의향으로 연결되는지를 브랜드 경험과 브랜드 태도에 대한 선행연구 모형을 준용하여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를 경험한 것은 경험만족도와 브랜드 선호도 및 브랜드 신뢰도를 매개로 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체험만족도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디지털 콘텐츠 기업을 포함하여 온-오프라인 트랜스미디어 마케팅을 수행하는 기업은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높이고자 할 때, 체험만족도를 끌어올리는 것보다는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만족도를 제고하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2_29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2_296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경로분석 결과

표 1. 김신엽·백지희(2014) 연구의 설문 문항

CCTHCV_2019_v19n2_296_t0001.png 이미지

표 2. 본 연구에 적용한 설문 문항

CCTHCV_2019_v19n2_296_t0002.png 이미지

표 2. 본 연구에 적용한 설문 문항(계속)

CCTHCV_2019_v19n2_296_t0003.png 이미지

표 3. 표본 대상 특성

CCTHCV_2019_v19n2_296_t0004.png 이미지

표 4. 신뢰성 분석

CCTHCV_2019_v19n2_296_t0005.png 이미지

표 5. 타당성 분석

CCTHCV_2019_v19n2_296_t0006.png 이미지

표 6. 적합지수(Model Fit)

CCTHCV_2019_v19n2_296_t0007.png 이미지

표 7. 연구가설 채택 여부

CCTHCV_2019_v19n2_296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https://ewhabrandcommunication.wordpress.com
  2. 박준형, 김봉현, "소셜미디어환경에서 필요한 IMC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7권, 제1호, pp.193-234, 2015.
  3. 강경수, "해외 IMC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홍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167-208, 2009. https://doi.org/10.15814/JPR.2009.13.2.167
  4. 정혜림, 효과적인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성신여대 대학원, 박사논문, 2015.
  5. 허진,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의 감성마케팅을 위한 사용자 경험디자인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194-20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194
  6. 김지완, 브랜드 경험 및 개성이 브랜드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복합 쇼핑몰 선택 요인에 대한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박사논문, 2011.
  7. 조정식, 남진영, 황장선, "브랜드 경험을 위한 정보원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접점사전 지식과 제품 유형에 따른 적합성 검증," 광고연구, 제92권, pp.586-619, 2012.
  8. 양지안, 이상윤, 이동한,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경험 및 개성이 브랜드 태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프랜차이즈경영연구, 제3권, 제1호, pp.26-45, 2012.
  9. 김명은,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0. 조정식, 남진영, 황장선, "브랜드 경험을 위한 정보원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접점사전 지식과 제품 유형에 따른 적합성 검증," 광고연구, 제92권, pp.586-619, 2012.
  11. 김신엽, 백지희, "디지털미디어를 통한 소비자 경험이 브랜드 자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677-68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677
  12. B. Schmitt, "Experiential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Vol.15, No.1-3, pp.53-67, 1999 https://doi.org/10.1362/026725799784870496
  13. W. L. Wilkie, Consumer Behavior,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0
  14. V. A. Zeithaml, "Consumer Perception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Vol.52, No.3, pp.2-22, 1998. https://doi.org/10.2307/1251446
  15. G. S. Low and C. W. Lamb Jr,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s,"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Vol.9, No.6, pp.350-370, 2000. https://doi.org/10.1108/10610420010356966
  16. 김명은,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7. 김지영, 강효순, "텔레비전 광고의 요소와 브랜드 선호도와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185-19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185
  18. R. M. Morgan and S. D. Hunt, "The commitment 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 Marketing, Vol.58, No.3, pp.20-38, 1994. https://doi.org/10.1177/002224299405800202
  19. A. Chaudhuri and M. B. Holbrook,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 Marketing, Vol.65, No.2, pp.81-93, 2001. https://doi.org/10.1509/jmkg.65.2.81.18255
  20. 서경화, 이수범, "베이커리 크리스마스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신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제19권, 제3호, pp.57-72, 2013.
  21. S. J. Kim, S. H. Kim, and E. K. Kim, "A Study of the Effect of Perceived Wine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Trust, Repurchase Intention,"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Korea, Vol.11, No.2, pp.221-241, 2008.
  22. J. E Lee and K. H Kim, "A Study of the Favorability of Children That Animated TV Commercials," Korea CEO Academy, Vol.13, No.1, pp.147-161, 2010.
  23. J. F. Engel, R. D. Blackwell, and P. W. Miniard, Consumer Behavior(8th ed.), The Drydne Press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Forth Worth,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