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ing Factors of Attitude toward Secondary Victimization in Sexual Assault Cases by the Police Officers

수사경찰의 성범죄에 대한 2차피해 인식요인 탐색

  • Received : 2018.10.31
  • Accepted : 2018.11.18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investigating sexual assault cases are likely to have suspicions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to find out the truth about the case, which leads to secondary victimization to the victims, and these concerns are often unveiled as social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he research question that what the causes of secondary victimization derived from the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sexual assault investigation 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the trust of the police by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secondary victimization of sexual assault cases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olice officers, rape myth, tolerance n violence and hostile gender discrimination influenced suspicion and prejudice, and rape myth and hostile gender discrimination affected the lack of sensitivity. Among the workplace-related characteristics, the duration of employment and experience in sexual assault cases affects the lack of sensitivity. In addition to the revision of the law and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sexual assault, the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assault inherent i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the sexual assault cases should be improved.

수사경찰관들은 업무 특성상 사건의 진위를 가려내기 위한 과정에서 지나친 의심을 지닐 가능성이 높고, 이는 2차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우려가 종종 사회적 문제로 드러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성폭력수사를 담당하는 경찰관들이 2차피해를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탐색된 영향요인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수사과정에서의 성폭력 2차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여 경찰의 신뢰회복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경찰공무원 개인적 특성 중에서 강간통념, 폭력허용도, 적대적 성차별이 의심과 편견에 영향을 미쳤으며, 민감성부족에는 강간통념과 적대적 성차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관련 특성 중에서는 재직기간과 성폭력 사건 담당경험이 민감성 부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폭력사건 수사과정에서 2차피해를 감소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폭력 사건 관련 법 개정과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담당 경찰관들의 성인지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표 1. 성폭력 2차피해의 유형과 횟수(2008-2009년)

CCTHCV_2019_v19n1_671_t0001.png 이미지

표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1_671_t0002.png 이미지

표 3. 개인관련 특성이 2차피해 인식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1_671_t0003.png 이미지

표 4. 직장관련 특성이 2차피해 인식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1_671_t0004.png 이미지

표 5. 조직문화 특성이 2차피해 인식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1_671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권수현, "성폭력 피해생존자에 대한 2차 피해 실태 및 대책: 성폭력 수사 과정에서의 인권침해," 한국성폭력상담소 성폭력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pp.178-198, 2006.
  2. 박주상, "경찰의 성폭력 범죄피해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제4권, 제1호, pp.105-128, 2007.
  3. 이대원, 경찰수사관의 수시인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4. 김종욱, 경찰의 피해자수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 이주락, 탁종연, "수사관 편견의 실증적 근거에 관한 연구: 교통사고 피조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수사관의 편견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15호, pp.285-301, 2008.
  6. 이명신, 양난미, 김정희, 문유정, "이차피해태도, 공정성 실천, 다전문직간 관계가 연계에 미치는 영향: 성폭력관련 경찰과 상담사를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제8권, 제1호, pp.43-85, 2015.
  7. 이윤호, 범죄학, 제2판, 서울: 박영사, 2016.
  8. 이미경, "형사사법절차상 성폭력 2차 피해의 심층구조," 여성학연구, 제23권, 제2호, pp.43-751, 2013.
  9. J. Jordan, "Perfect Victims, Perfect Policing? Improving Rape Complainants' Experience of Police Investigations," Public Administration, Vol.86, No.3, pp.699-719, 2008. https://doi.org/10.1111/j.1467-9299.2008.00749.x
  10. 신성대, 성폭력 범죄 수사에 관련된 인권침해 실태분석,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1. 류병관, "형사절차상 성폭력 피해자의 2차 피해자화 방지 대책," 법과 정책연구, Vol.6, No.1, pp.395-421, 2006.
  12. 황현락, "성폭력사건 수사과정에서 여성인권 보호방안," 한국법정책학회: 법과정책연구, Vol.7, No.2, pp.375-406, 2007.
  13. V. B. Lord and G. Rassel, "Law Enforcement's Response to Sexual Assault: A Comparative Study of Nine Counties in North Carolina," in(eds.) James F. Hodgson and Debra S. Kelley, Sexual Violence: Policies, Practices, and Challenges in U.S. and Canada, CT: Library of Congress Catalogue-in-Publication Data, pp.155-172, 2002.
  14. K. E. Renner, "Reconceptualizing Sexual Assault from an Intractable Social Problem to a Manageable Process of Social Change," in(eds.) James F. Hodgson and Debra S. Kelley, Sexual Violence: Policies, Practices, and Challenges in U.S. and Canada, CT: Library of Congress Catalogue-in-Publication Data, pp.135-153, 2002.
  15. J. F. Hodgson, "Policing Sexual Violence: A Case Study of Jane Doe v. the Metropolitan Toronto Police," in(eds.) James F. Hodgson and Debra S. Kelley, Sexual Violence: Policies, Practices, and Challenges in U.S. and Canada, CT: Library of Congress Catalogue-in-Publication Data, pp.173-189, 2002.
  16. J. Du Mont, K. L. Miller, and J. L. Myhr, "The Role of Real Rape and Real Victim Stereotypes in The Police Reporting Practices of Sexually Assaulted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Vol.9, No.4, pp.466-486, 2003. https://doi.org/10.1177/1077801202250960
  17. 김엘림, 윤덕경, 박현미, 성폭력.가정폭력 관련법의 시행실태와 과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000.
  18. 이명신, 양난미, "남성경찰관의 성폭력 수사행동(적극적 수사와 이차폭력) 결정요인: 성폭력에 대한 편견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1, pp.159-185, 2011.
  19. 최인숙, 김정인, "성폭력 통념수용, 대인폭력수용 및 성역할-관련 태도가 공격적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0, No.3, pp.277-300, 2015.
  20. 김애리, 박정열, "성역할 관련 태도가 강간통념수용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Vol.15, No.1, pp.98-106, 2008.
  21. 권주희, "성폭력 피해생존자에 대한 2차 피해 실태 및 대책: 형사사법절차.보도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성폭력상담소 성폭력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pp.200-207, 2006.
  22. G. D. Bove and L. Stemac, "Psychological Evidence in Sexual Assault Court Cases: The Use of Expert Testimony and Third-Party Records by Trial Court Judges," in(eds.) James F. Hodgson and Debra S. Kelley, Sexual Violence: Policies, Practices, and Challenges in U.S. and Canada, CT: Library of Congress Catalogue-in-Publication Data, pp.119-134, 2002.
  23. 김선영, 강간에 대한 통념의 수용에 관한 연구: 경찰, 의사, 교사, 법조인, 상담원, 언론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24. D. Abrams, G. T. N. Viki, B. Masser, and G. Bohner, "Perceptions of Stranger and Acquaintance Rape: The Role of Benevolent and Hostile Sexism in Victim Blame and Rape Procl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pp.111-125, 2003. https://doi.org/10.1037/0022-3514.84.1.111
  25. 신현기, 이상열, "우리나라 성폭력범죄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6권, 제1호, pp.249-274, 2006.
  26. 박지선, 김정희,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경찰의 인식이 가해자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피해자학연구, Vol.19, No.2, pp.77-96, 2011.
  27. 김동기, "가정폭력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Vol.16, pp.135-159, 2009.
  28. 문지혜, 정혜정, "대학생이 지각하는 성장기 폭력 경험과 폭력허용도 및 데이팅 폭력의 관계," 가족과 가족치료, Vol.23, No.4, pp.627-653, 2015.
  29. 이윤호, 경찰학, 서울: 박영사, 2006.
  30. 안상수, 김혜숙, 안미영, "한국형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9, No.2, pp.39-66, 2005.
  31. 우양호, "공직사회 성차별의 양가적 차원과 요인 검증: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Vol.27, No.1, pp.173-202, 2013.
  32. 장미정, 조은경, "성폭력 피해자 조사시 2차 피해유발 질문의 사용과 수사관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강간통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 pp.129-137, 2004.
  33. 김재엽, 이효정, 송아영, "가정폭력 경험이 남자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7, pp.27-52, 2007.
  34. 김은주, "강간에 대한 경찰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피해자학연구, Vol.9, No.2, pp.105-128, 2001.
  35. S. L. Maier, "I Have Heard Horrible Stories...: Rape Victim Advocates' Perceptions of the Revictimization of Rape Victims by the Police and Medical System," Violence Against Women, Vol.14, No.7, pp.786-808, 2008. https://doi.org/10.1177/1077801208320245
  36. O. Barnett, C. L. Miller-Perrin, and R. D. Perrin, Family Violence across the Life Span, 2nd ed., Sage Publications. 2005.
  37. S. Nickerson Raymond, "Confirmation Bias: A Ubiquitous Phenomenon in Many Guise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2, No.2, pp.175-230, 1998. https://doi.org/10.1037/1089-2680.2.2.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