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Effect Analysis of Students'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Higher Education

대학생의 학습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 조진숙 (수원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 전영미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Received : 2018.10.16
  • Accepted : 2018.12.05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udents' engagement in regular 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and its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in higher education. Students' engagement was analysed by high order learning, reflective and integrative learning, learning strategies, collaborative learning, discussions with diverse others, and high impact activ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92 students joined in K-NSSE were participated. To analyze the datum, frequency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25.0 progra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tudents' engagement was generally very low, especially in high impact activities which has an effect on the students' achievement. And compared to the students' engagement in the college of humanity and social science, the students' engagement in engineering college were very low. Learning outcomes were influenced by the high impact activities, high-order learning, and discussions with diverse others. So to reinforce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process, this study proposed a curriculum-extracurriculum integrated system. And to improvement students' engagement,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programs including high impact activities. high order learning, and discussions with diverse others were proposed to be developed and operat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에 학생들이 얼마나 능동적으로 참여하는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학습참여가 학습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수도권 소재 대학 소속의 학생 중 대학교육협의회에서 실시하는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392명을 대상으로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고효과프로그램의 세 영역에서 학습전략, 반성 통합학습, 고차원 학습, 능동 협동학습, 다양한 사람과 토론, 고효과프로그램의 6개 요인에 대한 학습참여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ANOVA,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참여 정도 분석에서는 고효과프로그램의 참여가 가장 낮았으며, 고차원 학습과 다양한 사람과 토론의 참여도 매우 낮았다. 특히 이공계열의 참여도가 가장 낮았다. 학습참여와 학습성과 간의 영향관계 분석에서는 고효과프로그램의 참여가 학습성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고차원 학습과 다양한 사람들과 토론이 그 다음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의 통합 설계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고효과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성공경험에 영향을 미쳐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고효과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그리고 고차원학습과 다양한 사람과의 토론이 가능한 수업 설계 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표 1. 요인별 문항신뢰도

CCTHCV_2019_v19n1_524_t0001.png 이미지

표 2. 요인별 측정문항

CCTHCV_2019_v19n1_524_t0002.png 이미지

표 3. 학습참여 정도와 학습성과 평균

CCTHCV_2019_v19n1_524_t0003.png 이미지

표 4. 학년별 평균 및 표준편차

CCTHCV_2019_v19n1_524_t0004.png 이미지

표 6. 계열별 평균 및 표준편차

CCTHCV_2019_v19n1_524_t0005.png 이미지

표 5. 학년별 차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524_t0006.png 이미지

표 7. 계열별 차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524_t0007.png 이미지

표 8. 계열별 학습참여 비교 사후검증(scheffe)결과

CCTHCV_2019_v19n1_524_t0008.png 이미지

표 9. 요인 간 상관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524_t0009.png 이미지

표 10. 학습참여 요인과 학습성과 간 회귀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524_t0010.png 이미지

References

  1. 고장완, 박수미, 유현숙,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대학특성 및 학습과정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 제41권, 제1호, pp.167-195, 2014.
  2. 신현석, 변수연, 박해경,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의 비교.분석 연구,"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1호, pp.229-256, 2012.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1.229
  3. A. W. Astin, "Student Involvement: A Development theory for higher education,"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Vol.25, No.4, pp.297-308, 1984.
  4. 김수연, 이명관,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방향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9호, pp.585-609, 2016.
  5. 유지원, 류다현,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비교과활동 참여와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팀웍 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제47권, 제2호, pp.153-178, 2016.
  6. J. L. Mahoney, B. D. Cairs, and T. W. Farmer, "Promo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ducational success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y particip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5, No.2, pp.409-418, 2003. https://doi.org/10.1037/0022-0663.95.2.409
  7. 배상훈, 김혜정, "대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측정모델의 타당성 검증," 교육행정학연구, 제30권, 제1호, pp.499-523, 2012.
  8. http://nsse.iub.edu/pdf/nsse_benchmarks.pdf
  9. 유현숙, 임후남, 최정윤, 여승수, 서영인, 고장완, 신현석, 한상임,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2010.
  10. 배상훈, 강민수, 홍지인, "한국 대학생의 학습참여진단을 위한 미국 NSSE 모델 도입 타당화," 아시아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77-104, 2015.
  11. 유효현, 김영전, "의과대학의 학습경험 중심 전문직업성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164-17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164
  12. 김종경, 양영희, 이정은, 송희승, "간호교육에서 변화실험실을 활용한 강의 상호작용 개선이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385-39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385
  13. 전영미, "수도권 S대 학생들의 교수.학습과정에의 참여 정도 분석에 기초한 교수.학습 지원방안 고찰," 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pp.1-30, 2014.
  14. S. R. Harper and S. J. Quaye, "Beyond sameness, with engagement and outcomes for all," Student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pp.1-15, 2009.
  15. 고장완, 김명숙, 김현진, "대학생의 학습 및 비학습 경험이 인지적∙정의적 성과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9권, 제4호, pp.169-194, 2011.
  16. 유현숙, 이정미, 최정윤, 김민희, 변현정, 최보금,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2014.
  17. 남혜선, 대학생의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 과간의 관계, 한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7.
  18. 조일현, 김연희, "대학생의 학습동기,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교육과학연구, 제45권, 제2호, pp.77-98, 2014.
  19. 전예원, 대학생의 개인 및 학교생활 변인이 핵심역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4.
  20. 김옥현, 최은주, "간호대학생의 KCUE-Q1(Korean College & University Education Questionnaire)에 따른 비인지적 학습성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862-87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862
  21. 유현숙, 고장완, 임후남,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종합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정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9권, 제4호, pp.319-337, 2011.
  22. 배상훈, 2017 학부교육 실태진단 보고서(수도권중소형D)_수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혁신과 공유센터(비공개자료), 2017.
  23. G. D. Kuh, "High-impact educational practices: Institutional Approachers to Increase Engagement and Equity," Paper presented at the AAC&U Diversity Learning & Student Success Conference, San Diego, 2008.
  24. 홍지인, 대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고효과 프로그램 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