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Integrated Security Control Service Mode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인공지능 기술기반의 통합보안관제 서비스모델 개발방안

  • 오영택 (배재대학교대학원 사이버보안과) ;
  • 조인준 (배재대학교대학원 사이버보안과)
  • Received : 2018.11.01
  • Accepted : 2018.11.21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efficiently to integrated security control technology. In other words,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learning to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big data collected in integrated security control system, cyber attacks are detected and appropriately responded. As technology develops, many large capacity Is limited to analyzing individual logs. The analysis method should also be applied to the integrated security control more quickly because it needs to correlate the logs of various heterogeneous security devices rather than one log. We have newly proposed an integrated security service mode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analyzes and responds to these behaviors gradually evolves and matures through effective learning methods. We sought a solution to the key problems expected in the proposed model. And we developed a learning method based on normal behavior based learning model to strengthen the response ability against unidentified abnormal behavior threat. In addition,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security management that can efficiently support analysis and correspondence of security personnel through proposed security service model are suggested.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기술을 통합보안관제 기술에 효율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즉, 통합보안관제시스템에 수집된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학습을 인공지능에 적용하여 사이버공격을 탐지하도록 하고 적절한 대응을 한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늘어나는 보안장비와 보안 프로그램들로부터 쌓이는 수많은 대용량의 로그들을 사람이 일일이 분석하기에는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분석방법 또한 한 가지 로그가 아닌 여러 가지 이기종간의 보안장비의 로그까지 서로 상관분석을 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더 통합보안관제에 적용되어서 신속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런 행위를 분석하고 대응하는 과정들이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통해서 점진적으로 진화를 거쳐 성숙해가는 인공지능기반 통합보안관제 서비스모델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에서 예상되는 핵심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정상 행위 기반의 학습모델을 개발하여 식별되지 않는 비 정상행위 위협에 대응력을 강화하는 학습방법을 도출하였다. 또한, 제안된 보안 서비스모델을 통하여 보안담당자들의 분석과 대응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보안관제에 대한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1_10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인공지능 통합보안관제 플랫폼

CCTHCV_2019_v19n1_108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학습대상 데이터관리 수집/연계 방안

CCTHCV_2019_v19n1_108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데이터 전처리 구성도

CCTHCV_2019_v19n1_108_f0004.png 이미지

그림 4. 행위기반 학습(Active Learning) 구조

CCTHCV_2019_v19n1_108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서비스모델 개발 절차

CCTHCV_2019_v19n1_108_f0006.png 이미지

그림 6. 네트워크 이상치 탐지내역

CCTHCV_2019_v19n1_108_f0007.png 이미지

그림 7. 발생 경보, 사고처리예측, 예측률

표 1. 인공지능 통합보안관제 체계 목표

CCTHCV_2019_v19n1_108_t0001.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진홍, 공공기관의 아웃소싱 보안관제 수준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논문지, 2014.
  2. 정진영, 인공지능을 활용한 금융권 통합보안관제 자동화 방안,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3. 김영인, 국방 인공지능(AI) 활용방안 연구, (사)한국융합보보연구소 연구보고서, 2017.
  4. 최지우, 빅데이터 기반의 보안관제 방안에 대한 실증적 연구, 공주대학교, 2015.
  5. 신기동, 효과적인 보안관제 방법론 정립,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2014.
  6. 김규일, 보안관제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실증적 분석 기반 보안이벤트 자동검증 방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