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 적 : 건강한 수면은 중요하며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간호사와 주간 고정 근무 간호사 두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두 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 교대근무 간호사와 주간고정근무 간호사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6월 12일부터 2018년 6월 12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척도, 스트레스 대처전략 축약형,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상태불안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엡워스 주간졸음 척도, 불면증 심각도 척도, 코너 데이비슨 리질리언스 척도 질문지를 적용하였다. 결 과 : 교대근무간호사와 고정근무간호사 두 집단 간의 변수 통계량을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자각, 수면의 질, 주간 졸음증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요소들은 근무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 심리적 건강수준, 우울증, 불면증 심각도 이었다(p < 0.05).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긍정적 재구성1이 커질수록(β = 0.206, p < 0.001), 우울증이 줄어들수록(β = -3.45, p < 0.001),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이 높아질수록(β = 0.193, p < 0.001), 수용적 대처2가 증가할수록(β = 0.129, p < 0.05), 주간졸음이 줄어들수록(β = -1.17, p < 0.05), 적극적 대처2가 증가할수록(β = 0.118, p < 0.05), 긍정적 재구성2가 증가할수록(β = 0.110, p < 0.05) 회복탄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자에 비해 주간고정 근무자의 회복탄력성이 높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특정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 사회심리적 건강수준, 수면, 우울증이 회복탄력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더 많은 수면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밝히는 전향적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Healthy sleep is important and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resilience between two group nurses in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schedules and to investigate stress perception, coping factor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sleep factors that may affect resilience. Methods: A total of 400 female nurses having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schedules at two hospitals was surveyed from June 12, 2017 to June 12, 2018. All participants completed perceived stress scale (PSS), stress coping short form (Brief COPE),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 (PWI-SF) or general health questionnaire-18 (GHQ-18),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STAI-X-1 i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insomnia severity index (ISI), Conner 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results of the final 373 questionnaires of 400 nurses in two general hospitals. Results: Comparing the variable stat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of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nur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except perceived stress, sleep quality, and daytime sleepiness.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silience were stress coping strategies, depression, and insomnia severity (p < 0.001).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arger positive reframing1 (β = 0.206, p < 0.001), severe less depression (β = -3.45, p < 0.001), and higher psychosocial health (β = 0.193, p < 0.001). As acceptance coping2 increased (β = 0.129, p < 0.05), as daytime sleepiness decreased (β = -1.17, p < 0.05), and as active coping2 increased (β = 0.118, p < 0.05), as the positive reframing2 increases (β = 0.110, p < 0.05), the resilience in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was higher in daytime fixed workers than in shift workers. In addition, specific stress coping strategies, psycho-social health, sleep, and depression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resil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