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불면을 주소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내원한 환자들 중 불면 장애를 단독으로 진단 받은 환자 군과 불면 장애와 함께 우울 장애 또는 불안 장애를 진단 받은 환자 군들의 인구학적 특성 및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결과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특징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 2006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불면을 주소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내원한 환자들 중 DSM-IV-TR의 불면 장애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것과 동시에 STAI를 시행했던 환자들의 기록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불면 장애를 진단 받은 환자들은 주로 해당 질환만 진단받은 군, 불안 장애를 같이 진단 받은 군, 우울 장애를 함께 진단 받은 군으로 분류되었는데, 각 군들 간의 인구학적 특성 및 STAI 결과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 과 : 해당기간 동안 불면을 주소로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여 불면 장애를 진단받고, STAI를 시행한 환자는 총 329명이고, 그 중 99명은 우울 장애를, 61명은 불안 장애를 동시에 진단받았다. 세 환자 군들 사이에서 나이, 성비와 같은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는 없었으며, 공통적으로 50대부터 70대의 환자들의 비율이 불면 장애만 진단받은 환자 군에서는 71.8%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를 함께 진단받은 군들은 각각 77.1%, 73.8%로 높았다. STAI-I의 평균 점수는 불면 장애와 불안장애를 함께 진단받은 군은 51.85 ± 10.16, 우울장애를 함께 진단받은 군은 54.18 ± 10.32로 불면 장애를 단독으로 진단 받은 환자 군의 평균인 44.55 ± 8.89 보다 높았으나, 불안 장애 또는 우울 장애를 함께 진단 받은 군들 사이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유사하게 STAI-II의 평균점수는 불면 장애와 불안 장애를 함께 진단받은 군은 49.98 ± 8.31, 우울 장애를 함께 진단받은 군은 53.19 ± 10.13으로 불면 장애만을 진단받은 환자들의 평균(42.71 ± 8.84) 보다 높았으나, 두 군들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 불면을 주소로 방문한 환자들 중 불면 장애 만을 진단받은 환자 군과 우울 장애 또는 불안 장애를 함께 진단 받은 환자 군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유사하지만, STAI-I과 STAI-II 평균은 낮았다. 추후 이를 기반으로 동반질환 등을 포함한 다른 인구학적 특성을 반영하고, 더 많은 수의 불면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STAI-I와 II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 이다.
Objectives: Insomnia patients who visited the psychiatric outpatient of a university department, were divided into those patients with insomnia alone and those with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 along with insomnia. The study analyze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i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results among the patient groups. Methods: Patients who visited the psychiatric department in Konkuk University hospital from 1 January 2006 to 31 December 2018. If they were diagnosed with insomnia disorder based on DSM IV-TR and had undergone STAI, their electronic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Based on the records,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ose with insomnia disorder only, those with insomnia and anxiety disorder, and those with insomnia and depressive disorder. This study analyz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TAI results of each group,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among those groups. Results: During the period, 99 of 329 insomnia disorder patients who had performed STAI were diagnosed with depressive concurrent disorder and 61 with concurrent anxiety disord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ge and sex ratio among the three patient groups, and all had greater than 70% proportions of patients aged from 50s to 70s (71.8%, 77.1%, and 73.8% respectively). The average scores of STAI-I were 51.85 ± 10.15 for the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and 54.18 ± 10.32 for those with depressive disorders, both of which were higher than the score of the patients with insomnia alone (44.55 ± 8.89). However, the scor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anxiety and depression groups. Similarly, in the STAI-II comparison, the averages of patients with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along with insomnia were 49.98 ± 8.31 and 53.19 ± 10.13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insomnia only group (42.71 ± 8.84),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 groups. Conclusion: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emographic data between the patients with insomnia only and those with accompanying depressive or anxiety disorder, the STAI-I and II scores were lower in the insomnia only group.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comorbidities and to conduct similar analyses with a larger s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