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Level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and Rumination in Teachers' Depression

교원의 우울에 대한 직무 관계스트레스와 반추의 구조적 관계에서 학교급에 의한 조절효과 분석

  • Received : 2019.10.10
  • Accepted : 2019.10.21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school level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and rumination in teachers' depression. For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formed based on theoretical understandings and a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s surveyed 811 teachers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o measure scales of depression, rumination, and st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Primary education and secondary education were the grouping variables for the school level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so, to affirm equivalence between the two models, the data was investigated using the constrained model of measurement equivalence. The research results verified the equivalence between the two models and the moderating effect by comparing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two models on the assumption of equivalence constraint. As a result,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school levels was revealed on the path from stressfu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to depression. Grounded on this analysis, st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mediates the impact of rumination in teachers' depression. In addition,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n stressfu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var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affected middle school teachers but not primary 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교원의 우울에 대한 직무 관계 스트레스와 반추의 구조적 관계에서 학교급에 의한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초등, 중등교원 811명을 대상으로 우울, 반추, 직무 관계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학교 급을 집단변수로 산정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모형 간의 동질성을 전제하기 위해 측정의 동일성 제약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형 간의 동질성이 검증되어, 집단 간 등가제약을 전제로 하여 두 모형의 경로계수를 비교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학교 급에 의해 조절효과는 직무관계스트레스에서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나타났다. 이는 우울에 대한 반추의 영향을 직무관계 스트레스가 매개하며, 학교 급에 따라서 직무관계 스트레스에 의한 매개효과가 다르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초등 교원보다 중등 교원의 직무관계 스트레스에 의한 매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정광희, 김신애, 손찬희, 이쌍철, 김성미, 김은영, 정제영, 이명희, 여소망, 글로벌 교육동향 연구(V): 지능정보사회의 교육혁신 동향, 한국교육개발원, 2017.
  2. 김성기, 황준성, "초.중등 교원의 명예퇴직 사유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pp.109-127, 2012.
  3. 이인수, 오진환, "교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2권, 제6호, pp.3193-3205, 2010.
  4. 김형렬, 이세영, 이이령, 김학한, 이원영, 교사 직무스트레스 및 건강실태 조사,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참교육연구소, 2016.
  5. 강현주, 교사의 직무상 관계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 마인드풀니스에 의한 반추의 조절된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6. 이성옥, 이선미, "초등교사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8권, 제7호, pp.618-626,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7.618
  7. 황현숙, 이지연, 장진이,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제60권, 제2호, pp.495-515, 2012.
  8. 김선희, 김은하, 김태훈, "다문화가정 한국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와 화병: 스트레스 대처양식, 분노 반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40권, 제3호, pp.99-121, 2014. https://doi.org/10.15820/KHJSS.2014.40.3.005
  9. 정성한, 김완일, "재수생의 외상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반추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호, pp.127-147, 2014.
  10. 김장섭, 김정호, 김미리혜, "마음챙김명상이 자살 성향이 있는 여고생의 자살생각, 우울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3권, 제1호, pp.37-55, 2018.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03
  11. 김태균, 문정순, "마음챙김 훈련이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4호, pp.363-369, 2018. https://doi.org/10.14400/JDC.2018.16.4.363
  12. R. Klassen and M. M. Chiu, "Effects on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eacher Gender, Years of Experience, and Job Stress," Article i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102, No.3, pp.741-756, 2010 https://doi.org/10.1037/a0019237
  13. M. Gilson and A. Freeman, 우울증의 인지치료: 우울증 BEAST 길들이기, 시그마프레스, 2009.
  14. 권석만, 우울증: 침체와 절망의 늪, 학지사, 2003.
  15. Z. V. Segal, J. M. G. Williams, and J. D. Teasdale,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우울증 재발 방지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 학지사, 2006.
  16. 박원명, 김원준, 우울증, 시그마프레스, 2013.
  17. 김은진,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 관계에서 교사 마음챙김의 효과," 스트레스, 제26권, 제3호, pp.208-214, 2018. https://doi.org/10.17547/kjsr.2018.26.3.208
  18. 구본용, 이충자,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인지적 마음챙깅의 효과," 재활심리연구, 제26권, 제2호, pp.109-126, 2019.
  19. 나현주, 최수미, "이중체계모델에 근거한 외상사건 스트레스와 부정정서의 관계: 자기조절력과 반추적 사고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31권, 제1호, pp.217-242, 2019.
  20. S. Nolen-Hoeksema, L. Parker, and J. Larson, "Ruminative Coping with Depressed Mood Following Lo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No.1, pp.92-104, 1994. https://doi.org/10.1037/0022-3514.67.1.92
  21. M. L. Bringle, ""I Just Can't Stop Thinking about It": Depression, Rumination, and Forgiveness," Word & World, Vol.XVI, No.3, pp.340-346, 1996.
  22. S. Nolen-Hoeksema, "The Role of Rumination in Depressive Disorders and Mixed Anxiety/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9, No.3, pp.504-511, 2000. https://doi.org/10.1037/0021-843X.109.3.504
  23. 김시형, 권은비, 이동훈, "대학생의 애착유형, 지각된 사회적지지,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1권, 제3호, pp.779-807, 2019.
  24. 이송희, "반추와 우울의 관계에서 균형 잡힌 시간관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2호, pp.113-136, 2018.
  25. 김일회, 직무 스트레스와 A형 행동유형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6. 양연실, 이희영, 최태진, "비합리적 신념이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pp.1089-1097, 2016.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4.1089
  27. 김정은, 김주혜,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문화,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제18권, 제1호, pp.305-325, 2019.
  28. 김영수, 중등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9. 어윤경, "전문상담교사의 내 외향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진로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pp.103-125, 2017.
  30. 김안나, "유아교사의 직무열의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행복감,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5호, pp.293-315, 2018.
  31. 여종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공동체의식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1권, 제5호, pp.597-618, 2016.
  32. M. S. Robinson and L. B. Alloy, "Negative cognitive styles and stress-reactive rumination interact to predict depression: A perspective stud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27, pp.275-292, 2003. https://doi.org/10.1023/A:1023914416469
  33. L. Flook, S. B. Goldberg, L. Pinger, K. Bonus, and R. J. Davidson, "Mindfulness for Teachers: A Pilot Study to Assess Effects on Stress," Burnout, and Teaching Efficacy. Mind Brain and Education, Vol.7, No.3, pp.182-195, 2013.
  34.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6권, 제1호, pp.59-76, 2001.
  35. 김소정, 김지혜, 윤세창,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K-RR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9권, 제1호, pp.1-19, 2010.
  36. 안경숙,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유발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