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ssion to University of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through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예비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통한 교육대학 입학과 사교육의 관련성

  • 이종학 (대구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
  • 김유영 (전주대학교 과학교육과) ;
  • 윤마병 (전주대학교 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9.11.05
  • Accepted : 2019.11.12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how university's entrance examination system is related to private education, and to explore how to improve the university of education entrance system in order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s. For these purposes, 116 teachers of senior students in high school in Daegu and Gyeongbuk and 107 pre-service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entrance of the university were surveyed in order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ssions elements and private educ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more on school education by strengthening high school grade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However, there was other opinion that the strengthening high school grades in the university entrance could lead to the further increase in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As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screening factors between rural areas (Gyeongsangbuk-do) and large cities (Daegu),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ird-year teachers in high schools argued that university admissions should reduce the rate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nd increase the rate of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o reduce the cost of private tutoring requires securing fairness of document evaluation, strengthening interviews, and opening interview questions.

본 연구는 교육대학의 입시 제도가 사교육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사교육 경감을 위한 교육대학 입시 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대학 입시를 담당하는 대구·경북 지역의 고등학교 3학년 담임교사들과 교육대학 입시를 실제적으로 경험한 D 교육대학 1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교육대학 입학 전형 요소와 사교육과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교육대학 입시에서 내신 강화가 공교육을 강화하는 효과도 있지만, 내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강하게 작용하여 오히려 사교육을 강화하는 역작용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농촌 지역인 경상북도와 대도시인 대구 지역의 전형 요소별 인식 차이가 커서 지역 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전형과 각 교육대학이 위치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입시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정시 전형의 요소별 점수 반영 비율에 대해서 3학년 담임교사들은 수능 점수 반영 비율을 낮추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며, 이와 함께 면접 반영 비율의 상향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교육 감소를 위한 교육대학 입시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서류 평가의 공정성 확보가 요구되며, 면접의 강화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사교육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면접의 방향 및 문항에 대한 공개가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교육 영향평가 가이드 라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8.
  2. 교육부, 2017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발표 보도 자료, 교육부, 2018.
  3. 최윤진, "대학생들의 입시 사교육경험 의미 분석: 사교육 주체, 동기, 관점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제25권, 제4호, pp.83-124, 2015.
  4. 강문숙, 유재봉, "예비교사의 사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6호, pp.229-249, 2018.
  5. 최윤진, 전하람, "예비교사들의 교직 정체성 형성과정: 공교육과 사교육 경험의 성찰과 재구성," 교육학연구, 제55권, 제2호, pp.77-115, 2017.
  6. 이종재, 이희숙, "사교육 현상에 대한 세계적 동향 분석-사교육을 유발하는 수요기제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9권, 제2호, pp.203-228, 2008. https://doi.org/10.15753/AJE.2008.9.2.010010
  7. 김갑성, 김주아, 김도기, 김용, 남수경, 교원양성 교육과정 실태 분석: 경험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연구보고서 RR 2009-07), 한국교육개발원, 2009.
  8. 백중열, 류성림, 이종학, 사교육과 입학전형의 관계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2018.
  9. 박찬주, 심춘자, "초.중등 교사발달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제40권, 제1호, pp.197-218, 2002.
  10. 강영혜, 사교육의 실태와 대처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8.
  11. 김양분, 양수경, 사교육비 추이와 규모 예측, 한국교육개발원, 2011.
  12. 이영재, 이진화, "중등 영어과 예비교사들의 임용시험 대비 사교육 실태 및 인식,"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제19권, 제2호, pp.207-229, 2014.
  13. 김수경, 김호인, 대입 전형 유형의 간소화 방안 탐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1.
  14. 박현정, "학교교육의 질과 사교육 참여의 관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9권, 제4호, pp.91-110, 2008. https://doi.org/10.15753/AJE.2008.9.4.00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