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 Penalty and Basic Income

돌봄불이익과 기본소득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27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economic penalty of care and gender inequality reinforce each other. Unequal distribution and treatment of care are at the basis of gender inequality. Care creates economic penalty that deepen gender inequality. Those who perform care work tend to take the position of the vulnerable in socio-economic power relations. Due to their weak position, it is difficult for them to voice out a fair treatment and reward for their work. As a result, care workers both at home and in the public sector suffering from lower economic value of care are positioned in unequal gender relations with more vulnerable socioeconomic status. The basic income system may have the potential to mitigate multifaceted gender inequalities in our society. For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to help realize the real freedom for wome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unique natures of care work and tackle economic penalties of care work.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 penalties and basic income, focusing on the debate on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income system. We argue that if the economic penalties caused by unique natures of care work are not eased or resolved,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income may not contributes to alleviating gender inequalities.

돌봄의 경제적 불이익과 성불평등은 서로를 강화한다. 성불평등의 기저에 돌봄의 불평등한 분배와 대우가 자리하고 있다. 돌봄은 성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경제적 불이익을 초래한다. 돌봄을 수행하는 자는 사회경제적 권력 관계에서 보통 약자의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약자가 수행하는 돌봄은 그 수행에 대한 공정한 대우와 보상의 목소리를 내기가 어렵다. 그 결과 낮은 경제적 가치를 갖게 된 돌봄을 수행하는 자는 더욱 취약한 사회경제적 지위와 권력 관계에 놓여 불평등한 성별 관계를 지속시킨다. 기본소득 제도는 성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지니고 있지만, 돌봄 노동의 특수한 성격이 야기하는 경제적 불이익은 그러한 잠재적 가능성을 희석시킬 수 있다. 기본소득 제도가 여성의 실질적 자유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돌봄의 경제적 불이익에 대한 천착과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기본소득 지지론자들의 돌봄 노동에 대한 관점을 검토하고, 돌봄노동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한 돌봄불이익이 완화 혹은 해소되지 않는다면 기본소득이 도입되어도 돌봄 노동 선택의 성별화를 변화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