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과거 기술사업화는 학계 및 연구계 중심으로 기술이전 또는 창업지원 등 좁은 의미로 해석되어 시행되었으며, 기술 사업화 단계에서 사업의 경험부족, 기술개발 실패, 판로 미확보 등이 실패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학계 연구소 보유기술의 직접사업화 지원 사업이 공공 자금 및 대기업 영업력을 기반으로, 사업화 기술과 자본, 판로, 정부정책 및 지원 등이 결합한 신개념의 기술사업화 모델을 제시하고, 보유기술을 직접사업화하기 위한 애로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기술사업화 수행 주체의 요구요인과 보유역량과의 사이에 차이가 있고, 요구요인과 애로요인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유의미한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 결론을 기반으로, 대학 및 연구기관 보유기술에 대한 사업화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지원정책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In the pas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as implemented in a narrow sense, such as technology transfer or start-up suppor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lack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failure in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secure markets lead to failur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project supporting direct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ies owned by academic and research institutes conjoins public funds and operating power of large enterprises to introduce a new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that combines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with capital, market, and government policies. And pain points for direct commercializing technology was derived.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a gap was found between the demand factors and the capability of the actors performing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i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aint points. In consequence, measures were drawn to improve support polici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ies held by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