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treme in the late Gothic costume

고딕 후기 복식의 극단적 현상 및 특성 연구

  • 성광숙 (동명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8.07.22
  • Accepted : 2018.09.20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ality of international Gothic style was examined through the representative art of the period, such as paintings, architecture and tapestries. In particular zones of the body were examined by applying Harold Koda's methods of discussing extreme beauty to study the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of extremes in late Gothic costumes. This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concerning the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treme appearing in the late Gothic costumes. First, a mechanism of body transformation to reach the ideal and desired form of a human. Second, the complicated and various extremeness of the whole human body. Third, the reflection of 'elaborate and secular excess, decorative taste of international Gothic style. Fourth, a early advanced case of the Trickle-down fashion and international sensation. Fifth, the aesthetic insight into 'ugliness', ever pursued in 'extreme beauty'.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to renew the significance of, and to restore the status of the late Gothic costumes, in terms of costume history, that has been considered as an age of the bizarre tastes.

Keywords

References

  1. 고애란. (2008). 서양복식의 문화와 역사. 서울: 교문사.
  2. 국제고딕양식. 미술대사전. 자료검색일 2018. 1. 10,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59155&cid=42635&categoryId=42635
  3. 국제고딕양식. 세계미술용어사전. 자료검색일 2018. 1. 10,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893903&cid=42642&categoryId=42642
  4. 국제고딕양식. 위키피디아. 자료검색일 2018. 1. 10, 자료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국제고딕
  5. 극단. 국어대사전. 자료검색일 2018. 1. 10, 자료출처 https://ko.dict.naver.com/detail.nhn?docid=5125600
  6. 남윤숙. (2001). 중세복식에 나타난 성(性)의 이론적인 사고. 한국의류학회지, 25(7), 1281-1292.
  7. 밀플뢰르. 위키피디아. 자료검색일 2018. 2. 15, 자료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Millefleur
  8. 박소연. (2016). 후기 고딕 초상화의 헤드드레스를 응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연구. 패션디자인학회지, 16(2), 19-32.
  9. 박숙현. (1999). 모던 고딕 시대와 포스트모던르네상스 시대 복식의 유사성 비교. 한국생활과학학회지, 8(1), 193-210.
  10. 박영신. (2007). 고딕 회화. 서울: 재원.
  11. 백재은. (2003). 고딕양식이 복식문화에 미친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9(3), 47-60.
  12. 성광숙. (2003). 복식 확대현상의 미적가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유송옥, 이은영, 황선진, 김미영. (2014). 패션과 문화. 서울: 교문사.
  14. 윤점순. (1988). 중세와 근세복식의 구조적 분석. 상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순홍. (1997). 중세유럽의 생활미술과 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복식, 35, 17-44.
  16. 이연희, 성광숙. (2016). 서양의 역사복식에 나타난 과장적 헤어스타일의 미적특성 연구. 복식, 65(8), 110-124. https://doi.org/10.7233/jksc.2015.65.8.110
  17. 전여선. (2013). 예술적 패러다임 전환기에 나타난 서양복식의 미적특성과 현대패션의 표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정현숙. (1986). 십자단 전쟁이 중세복식에 미친 영향: 11세기-15세기 중반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24(1), 17-26.
  19. 정명선, 배수정, 조훈정, 현선희, 김성은. (2011). 패션과 문화.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0. 정은진. (2009). 15세기 태피스트리의 새로움: 장미, 유니콘, 밀플뢰르. 미술사학보, 32, 5-27.
  21. 정흥숙. (1999). 서양복식문화사(개정판). 서울: 교문사.
  22. 조현진, 김영삼, 정흥숙. (2004). 11-15세기 중반기사문화가 중세복식에 미친 영향. 복식, 54(4), 27-40.
  23. 플랑부아양식. 두산백과. 자료검색일 2018. 2. 15,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9748&cid=40942&categoryId=33077
  24. 추. 세계미술용어사전. 자료검색일 2018. 2. 20,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5109&cid=42642&categoryId=42642
  25. 태피스트리. 위키피디아. 자료검색일 2018. 2. 20, 자료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D%83%9C%ED%94%BC%EC%8A%A4%ED%8A%B8%EB%A6%AC
  26. Boehn, M. V. (2000). 패션의 역사 (정인희 역). 서울: 한길아트. (원저 1996 출판).
  27. Black, J. A., & Garland, M. (1997). 패션의 역사 1 (이재원 역). 서울: 자작아카데미. (원저 1980 출판).
  28. Durande, J. (2006). 중세 미술 (조성애 역). 서울: 생각의 나무.
  29. Horne M. ,Gurrel L. (1995). 의복, 제2의 피부, (이화연 외 역). 서울: 까치 (원저 1981 출판).
  30. Kaiser, B. Susn. (1990). 복식사회심리학 (김순심 외 역). 서울: 경춘사.
  31. Koda, H. (2001). Extreme Beauty, The body transformed. N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32. Legrand, G. (2006). 르네상스 (정숙현 역). 서울: 생각의 나무.
  33. Mirkin, T. F. (1996). 패션 속으로 (허준 역). 서울: 새로운 사람들.
  34. Payne, B. (1988). 복식의 역사 (이종남 역). 서울: 까치 (원저 1965 출판).
  35. Retz, R. M. (1996). 르네상스의 미술 (김창규 역). 서울: 예경.
  36. Shaver, C. A. (1996). 중세의 미술 (김수경 역). 서울: 예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