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of Capability to the Self-Determination of Disabled Women in Abortion

낙태에서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역량 강화

  • KIM, Moon-Jeong (Department of Philosophy and Biomedical Ethics, College of Humanities, Dong-A University) ;
  • SHIM, Jiwon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Chung-Ang University)
  • 김문정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
  • 심지원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 Received : 2018.11.15
  • Accepted : 2018.12.04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Women have been entrusted with responsibility for pregnancy, childbirth, and nurturing by means of socially imposed 'maternity' along with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bortion too involves the bodies of women, and women are the ones most affected by it. However, women do not yet hav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ver their bodies. In the "pro-choice versus pro-life" abortion debate in South Korea, women's self-determination is often treated with less significance than the alleged "respect for life." Moreover, as Korea's declining fertility rate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women's perspectives on the issue of abortion have been sidelined. Yet even in this context, there is a double standard between the treatment of disabled and able-bodied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 of self-determination, especially for women with dis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 capability approach. The following three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a) that the various contextual variables of disabled women are included in the concept of self-determination; (b) that a solid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s established in order to ensure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for disabled women; and (c) that the discourse of "reproduction rights" (i.e. comprehensive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be expanded.

여성은 신체적 특징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부과된 '모성'에 의해 임신과 출산, 그리고 양육의 과정에서 책임자로 위임되어 왔다. 특히 임신, 출산과 더불어 낙태 또한 자신의 몸에서 직접 체험하며, 그것으로 인해 삶에 가장 영향을 받는 대상도 여성이다. 그러나 정작 여성은 자신의 몸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제대로 갖지 못하고 있다. 이른바 '생명옹호론 대 선택옹호론(pro-life vs. pro-choice)'의 낙태담론 구도 속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이란 애초에 '생명존중'에 비해 하위의 것으로 치부되어 왔다. 더욱이 최근 우리사회에서 저출산 위기론이 대두되면서 낙태 처벌이 강화되고 여성의 자율적 결정이나 권리 행사는 더욱 억압되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그런데 일련의 이러한 과정에서 비장애여성과 장애여성 사이에 이중 잣대의 부당함마저 존재한다. 즉 여성들 사이에서 몸의 차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낙태에서 여성, 특히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 문제를 센의 역량 접근 관점에서 고찰한다. 낙태는 개인적이면서도 동시에 사회적인 문제로서 단순히 낙태 허용 여부만이 아니라 임신과 출산, 양육 등과 함께 총체적인 관점에서 조망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낙태에서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역량 접근은 다음과 같은 윤리적 함의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장애여성이 처한 다양한 상황적 변수들을 자기결정권 개념 안에 함께 구성하도록 요청한다. 둘째, 장애여성의 실질적 자기결정권의 행사를 위해 개인과 공동체의 연대적 관계를 지향한다. 셋째, 포괄적인 장애여성의 권리로서 '재생산 권리'의 담론으로 확장시킨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시사의정. 김해영 의원,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 2017. 12. 18. Available from: http://www.sisa919.com/news/articleView.html?idxno=1743 [cited 2018 Sep 3]
  2. 헤럴드경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저출산' X, '저출생' O? 2017. 1. 18. Available from: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70118000064 [cited 2018 Sep 3]
  3. TED. Stella Young - 'I'm not your inspiration, thank you very much.' Available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8K9Gg164Bsw[cited 2018 Nov 12]
  4. 김창엽. 지금, 나는 나쁜 장애인이고 싶다. 서울 : 삼인, 2002.
  5. 장애인 vs. 장애우, 뭐가 맞는 표현일까. 2010. 11. 22. Available from: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481609 [cited 2018 Sep 3]
  6. 보건복지부. 2017 장애인실태조사.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jsessionid=20A82ED814226BBC75C3876852280BF9.node02?cond_research_name=&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research_id=1351000-201800347&pageIndex=3&leftMenuLevel=160 [cited 2018 Sep 3]
  7. 로즈메리 갈런드 톰슨. 손홍일 역. 보통이 아닌 몸. 서울 : 그린비, 2015.
  8. 수전 웬델. 강진영, 김은정, 황지성 역. 거부당한 몸. 서울 : 그린비, 2013.
  9. 홍승아, 이영미.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 실태 및 지원방안. 아시아여성연구 2009 ; 48(1) : 119-157.
  10. 김나경. 장애, 유전자 그리고 법. 한국장애학회 추계학술대회. 2015 : 29-49.
  11. 서울신문. 진료 꺼리고 낙태 권하고... 장애인은 엄마 자격 없나요. 2017. 4. 10. Available from: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411008023 [cited 2018 Dec 16]
  12. 김문정. '신자유주의적 개인주의'와 자율성 존중의 원칙.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016 ; 19(3) : 267-281.
  13. Beauchamp TL, Childress JF.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7th ed.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4. 존 스튜어트 밀. 서병훈 역. 자유론. 서울 : 책세상, 2005.
  15. Sen A. Choice, Welfare and Measurement. Cambridge : The MIT Press, 1982.
  16. Barnes C. 윤삼호 역. 억압의 유산: 서구문화에서 장애의 역사. 장애학: 과거, 현재, 미래. 대구 : DPI, 1996.
  17. 목광수. 역량 중심 접근법과 인정의 문제: 개발윤리와의 관련 하에서 고찰. 철학 2010 ; 104 : 215-239.
  18. Sen A. Commodities and Capabilities. Amsterdam,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19. Sen A. Capability and Well-Being. The Quality of Life, Martha Nussbaum and Amartya Sen. New York : xford University Press, 1993.
  20. Sen A. Development as Freedom.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1. 보건복지부. 2010년 전국 인공임신중절수술변동.실태조사 (미간행보고서, 2010).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jsessionid=18279C2E8D9FA87A0EBC5CA64C0877A0.node02?cond_research_name=&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research_id=1351000-201100069&pageIndex=2135&leftMenuLevel=160 [cited 2018 Sep 3]
  22. UN Population Division,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A/Conf.171/13, 18 October 1994, Annex, Programme of Action, Principle 8.
  23. Nussbaum M. Creating Capabilities: The Human Development Approach. Cambridge :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24. 목광수. 장애(인)와 정의의 철학적 기초. 사회와철학 23 2012 ; 23 : 147-184.
  25. 하정옥. 임신한 여성의 결정과 자율성: 생명윤리, 여성의 경험에 귀 기울이라. 페미니즘연구 2010 ; 10(1) : 1-34.
  26. 변혜정.구영모 역. 임신 중단과 지속, 누가 결정하는가? 생명의료윤리. 서울 : 동녘, 2010.
  27. 오송이. 법여성주의를 통해 본 낙태죄의 비판적 고찰:여성의 낙태권과 태아의 생명권을 중심으로. 법학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8. 심귀연. 신체와 장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철학논총 2015 ; 82(4) : 305-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