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and Freedom for the 'Pick-Me' Generation in reading of Chun-suk Oh and Byun-chul Han

픽미세대를 위한 자유교육 소고: 천원 오천석의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1.15
  • Accepted : 2018.02.20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paper begins with the notion of 'pick-me generation', which refers to today's young generation in Korea. It is named after the title of a song introduced at the Television programme for the competitive audition for girl-group singers. This name gives an idea of the atmosphere of the competition that the current young generation experiences in South Korea. In parallel to it, the research examines the meaning of freedom and choice in democratic education in Oh Chunsuck, in his later work in particular. This paper attempt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to relate Oh's notion of freedom and democracy in relation to Han who critically analyses contemporary discourses on neo-liberalism and democracy. This paper re-views Oh's ideals of democracy and education within its own limitations on freedom. The argument extends Oh's idea of freedom and ethical democracy to the idea of freedom that is relevant to today's younger generation.

본고는 천원 오천석의 민주주의 교육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제고한다. 특히 그의 후기 저서에 강조된 민족주의에 대한 논의 또한 요구되는 바이나 본고에서는 천원의 민주주의 교육이념 나타난 자유 개념을 분석하는 것으로 한정짓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오늘날의 시대적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한병철의 논의를 바탕으로 천원의 민주주의의 의미와 평가를 논하고 그의 사상에 내재된 교육철학적 한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천원이 궁극적으로 지향하였던 도의적 민주주의 사상을 제고하여 오늘날 픽미세대에게 요구되는 자유 개념을 고찰하도록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난도 외 (2016) 트렌드 코리아 2017, 미래의 창.
  2. 김선양 (1996) 천원 오천석의 교육사상, 한국교육사학 18권, pp. 275-289.
  3. 김인회 (1993) 한국교육의 역사와 문제, 문음사.
  4. 김태길 (1979) 존 듀이의 사회철학, 태양문화사.
  5. 김태환 (2015) 자유의 그물을 넘어서 - 한병철의 심리정치에 부쳐, 옮긴이 후기, 심리정치 (한병철, 2015), 문학과 지성사.
  6. 박균섭 (2004) 일제 강점기의 듀이 교육론 이해 양상에 관한 고찰, 교육철학 25집, pp.1-22.
  7. 박봉목 (1993) 한국교육에 투영된 듀이 재평가와 천원 오천석의 자리, 교육철학 11집, pp. 109-119.
  8. 신차균 (1992) '천원 오천석의 교육사상 연구'에 대하여, 교육철학 10권 (1992), pp.67-69.
  9. 오성철 (2017) 오천석과 난바라 시게루의 민주교육론 비교, 한국초등교육 28권1호, pp. 77-94.
  10. 오천석 (1947/2009) 민주주의 교육의 건설, 정민사.
  11. 오천석 (1975a/2009) 외로운 성주, 교육과학사.
  12. 오천석 (1975b/2001) 민주교육의 본질, 교육과학사.
  13. 오천석 (1975c) 교육철학신강, 광명출판사.
  14. 오천석 (2016) 발전한국의 교육이념탐구, 교육과학사.
  15. 오천석 (2013) 민족중흥과 교육, 교육과학사.
  16. 유성상, 유은지, 박인영 (2016) 국가발전에 관한 오천석과 정범모의 교육발전 논의 비교: 한국의 교육발전론 비평, 아시아교육연구 17권2호, pp.1-32.
  17. 이광호 (1985) 미군정의 교육정책, 해방전후사의 인식(2), 한길사.
  18. 이근엽 (1992) 죤 듀이의 교육철학과 오천석의 교육사상, 교육철학 10집, pp. 263-275.
  19. 이유선 (2007) 소비문화와 자율성의 문제, 사회와 철학 14호, pp.201-228.
  20. 이항재 (2001) 오천석의 민족교육사상 연구, 한국교육사학 23권2호, pp.263-288
  21. 정세화 (1992) 천원 오천석의 교육사상 연구, 교육철학 10권, pp.49-66.
  22. 정태수 (1995) 광복3년 한국교육법제사, 예지각.
  23. 조경원 (2014) 민주주의와 교육에 대한 오천석 사상 탐구, 오천석 박사 기념 교육포럼, 민주교육 24호, pp.13-36.
  24. 한병철 (2017) 타자의 추방, 이재영 역, 문학과 지성사.
  25. 한병철 (2015) 심리정치, 김태환 역, 문학과 지성사.
  26. 한준상 (1987) 미국의 문화침투와 한국교육, 해방전후사의 인식 (3), 한길사.
  27. Bauman, Z. (2002) 자유, 문성원 역, 이후.
  28. Bauman, Z. & Mazzeo, R. (2012) On Education: Conversations with Riccardo Mazzeo (London: Wiley).
  29. Berlin, I. (2002) Two Concepts of Liberty, in: Hardy, H. (Ed.) Isiah Berlin: Liber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0. Dearden, R. (1975) Autonomy as an Educational Ideal I, In: Brown, S.C. (Eds) Philosophers Discuss Education (London: Macmillan).
  31. Dewey, J. (2016) 민주주의와 교육, 이홍우 역, 교육과학사.
  32. Heidegger, M. (1977) The Question Concerning Technology, (trans.) W. Lovitt, In: The Question Concerning Technology and Other Essays (New York: Harper & Row).
  33. Nancy, J. -L. (1993) The Experience of Freedom, (trans.) McDonald, B.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34. Quinn, V. (1984) To develop autonomy: A critique of R. F. Dearden and two proposals,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18(2), pp. 265-270. https://doi.org/10.1111/j.1467-9752.1984.tb00067.x
  35. Standish, P. (2000) In Freedom's Grip, In: Dhillon, P. A. and Standish, P. (Eds) Lyotard: Just Education (London: Routledge).
  36. Yun, S. (2016). Ideals of freedom and the ethics of thought - meaning and mystique, Ethics and Education 11(2), pp. 197-212. https://doi.org/10.1080/17449642.2016.1185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