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송관철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
  • 이의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Received : 2018.08.03
  • Accepted : 2018.08.20
  • Published : 2018.08.28

Abstract

This study is primarily aimed at conducting conceptual research that reinforc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gives direction to how local firms' CSRs should evolve in line with global CSR core values. To this end, a comprehensive approach was made to the Korean CSR system or standard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as derived by comparing them with global standards. While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are still focused on social contribution, CSR activities of global companies take social responsibility not only in various business areas but also in the circumstance surrounding companies, labor, environment and others. In particular, they are conducting stable CSR activities within the value chain of companies. Moreover, the CSR function is required in both the original and the primary sub-contractors and the secondary sub-contractors. This can confirm that the CSR activities of companie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as they attract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a better living environment based on the CSR. Therefore, the CSR direction presented by the study is meaningful and worthwhile in that it can contribute not only to Korean companies' global advancement but also to transform our society into a better society.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재조명하고 국제적인 CSR 핵심가치에 맞춰 국내 기업들의 CSR이 어떻게 발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개념적 연구를 수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론적으로 한국의 CSR체계나 기준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접근하고, 이를 글로벌 기준과 비교하여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아직도 사회공헌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에, 글로벌 기업들의 CSR활동은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에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노동, 환경 등 기업 내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전반에 걸쳐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특히 그들은 기업의 가치사슬 내에서 안정적인 CSR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게다가 기업 간의 거래관계에서도 사회적 책임이 검증된 기업과의 거래를 기본으로 수행하고 있어, 원청과 1차 하청기업, 다시 1차하청기업과 2차 하정기업간의 관계 모두에서 CSR활동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회 전반에 걸쳐 CSR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는 CSR을 바탕으로 보다 나은 근로조건, 보다 나은 생활환경을 유인하기 때문에 기업의 CSR활동이 사회 전반의 발전에 기여하는 동력이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CSR 방향은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를 더 나은 사회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와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송관철, 신은종, "작업장 민주성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의 조절효과," 산업관계연구, 제26권, 제4호, pp.81-112, 2016.
  2. Oxfarm, "An Economy for the 99%," Oxfarm International Press, 2017.
  3. H. R. Bowen,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businessman, New York: Harper, 1593.
  4. A. B. Carroll,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4, No.4, pp.497-505, 1979. https://doi.org/10.5465/amr.1979.4498296
  5. S. L. Wartick and P. L. Cochran, "The evolution of the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mode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No.4, pp.758-769, 1985. https://doi.org/10.5465/amr.1985.4279099
  6. D. J. Wood,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revisited,"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6, No.4, pp.691-718, 1991. https://doi.org/10.5465/amr.1991.4279616
  7. S. L. Hart, "Beyond greening: strategies for a sustainable world," Harvard business review, Vol.75, No.1, pp.66-77, 1997.
  8. R. M. Kanter, "From spare change to real change: The social sector as beta site for business innov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77, pp.122-133, 1999.
  9. P. Kotler and N. Le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oboken, 2005.
  10. J. A. Pearce II and J. P. Doh, "The high impact of collaborative social initiatives," MIT Sloan Management Review, Vol.46, No.3, pp.30-39, 2005.
  11. J. Coleman,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ss.: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12. 전인수, 설유영, 김철교,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가치 관련성," 경영교육연구, 제27권, pp.361-387, 2012.
  13. 반혜정,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재무적 성과간 비선형관련성에 관한 연구," 회계연구, 제18권, 제4호, pp.183-209, 2013.
  14. 전웅수, 이경일, 고세라, 손성진,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CSR 통제시스템이 사회적 책임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회계연구, 제18권, 제1호, pp.127-149, 2013.
  15. 김정교, 김정호, 김경옥,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활동이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pp.5130-5157, 2014.
  16. 김정교, 김혜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국제회계연구, 제63권, pp.115-140, 2015.
  17. 이균봉, 최수비, "기업지배구조 및 감사품질이 조세회피와 기업가치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제28권, 제5호, pp.2105-2128, 2015.
  18. 최미화, 조용언, "교차상장과 사회적 책임활동 및 시장반응," 경영교육연구, 제31권, pp.21-41, 2016.
  19. http://www.globalreporting.org, 2018.07.28.
  20. http://www.unglobalcompact.kr, 2018.07.28.
  21. http://www.iso.org, 2018.07.28.
  22. http://www.eiccoalition.org, 2018.07.28.
  23. http://www.bsci-intl.org, 2018.07.28.
  24. http://www.sa-intl.org, 2018.07.28.
  25. 이장원, 이민동, 강영희,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확산과 노사관계에 대한 함의, 한국노동연구원, 2006.
  26. 전국경제인연합회, 2015년 주요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 2015.
  27. 전국경제인연합회, 2016년 주요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 2016.
  28. 국가청렴위원회, 기업 윤리경영 모델, 2007.
  29. 경실련, 제2회 경실련 좋은사회적기업상 및 제25회 경실련 좋은기업상 시상식, 경실련(사)경제정의연구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