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earch of the Value of the Humanistic Spirit through

<인생나눔교실>의 인문정신 가치 탐색

  • Received : 2018.07.04
  • Accepted : 2018.07.27
  • Published : 2018.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value of experiencing the humanistic spirit of sharing, consideration, sympathy,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mentoring program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through the . The provides collective mentoring to menti to involuntarily participating mentees, prioritizing traits such as truthfulness, flexibility,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The sharing within the is the sharing of human traits, and displays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ing. For better mutual connection and interdependence between the mentor and mentee, concentration, sympathy, understanding, and assurance is also needed. Also, sympathy is key trait that both mentors and mentees should possess, along with communication, the lacking of which causes the contradictions within our society and amplification of generational conflicts. Thus, the show the potential to become a unique mentoring program that uses culture and art to experience the humanistic spirit. Also, this program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the matured generation to contribute to the local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인생의 선배 세대와 후배 세대가 멘토링을 통해 나눔, 배려, 공감, 소통의 인문정신 가치를 체화하는 <인생나눔교실>의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비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멘티들에게 집단적인 멘토링이 이루어지는 <인생나눔교실>에서 멘토에게는 진실성, 유동성, 배려 등의 역량이 보다 중시되었다. <인생나눔교실>에서 나눔은 인적나눔이며, 자원봉사의 의미를 갖고 있었고, 배려는 멘토와 멘티 간의 상호의존성과 관계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몰입, 공감, 수용, 확언의 측면이 강조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공감은 멘토들이 멘티들에게 가져야 할 바람직한 태도와 자질을 의미하였고, 소통은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소통의 모순성 측면에서 세대 간 갈등의 증폭현상을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를 통해 <인생나눔교실>은 인문정신 가치의 체화라는 목표를 가진 문화예술을 매개로 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으로 특화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삶의 성숙기에 들어선 세대가 지역공동체에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만기, 멘토링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 간진숙, 대학에서의 멘토링 모형 개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3. 최병권, 위대한 기업을 만드는 인재 멘토링, 새로운 제안, 2004.
  4. 간진숙, 대학에서의 멘토링 모형 개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5. 김교성, 강정한, 노혜진, 이현옥, 박태근, "한국의 '나눔' 종합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8권, 제1호, pp.233-265, 2016.
  6. 김수동, 안재진, 이정연, "배려척도 문항개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1호, pp.81-104, 2014.
  7. 조규판, 주희진, "청소년용 배려척도 개발 및 타당도 연구," 사고개발, 제9권, 제3호, pp.185-204, 2013.
  8. 김용석, 송진희, 김묘정, 조민영, "한국어판 사회복지사 공감척도의 타당화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4권, 제1호, pp.188-213, 2016.
  9. 민현식, "세대간 소통을 위한 언어정책의 방향," 국어국문학, 제164권, pp.29-66, 2013.
  10.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생나눔교실 멘토를 위한 소양, 역량 입문교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