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andom Effect on the Success of Web-drama in Korea: Mediation Effect of the Number of People Registered in the Channel

원작의 유무와 아이돌 출연이 웹드라마 흥행에 미치는 영향: 채널구독자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선기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 ;
  • 유건재 (홍익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18.07.13
  • Accepted : 2018.08.17
  • Published : 2018.08.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ecedents of web-drama success as the interests on web-drama is increasing. We focused on the factors which help web-drama success because current studies on web-drama has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market. We examined the effect of fandom on the success of web-drama using the data of constv site which provided with the rank (1-100) of web-drama between February 1st and March 1st in 2016. We found that the fando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 of web drama. In addition, we also found that the number of people registered in web-drama channe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ndom and the success of web-drama.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current literature by revealing the factors which enable the success of web-drama.

본 연구는 웹드라마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관심이 증폭되는 시점에서 웹드라마 흥행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는 웹드라마의 현황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웹 드라마의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드라마의 누적 조회수의 누적 랭킹을 제공하고 있는 사이트인 컨스TV를 통해 2016년 2월 1일부터 2016년 3월 1일까지의 기간에 상영된 누적순위 1위부터 100위를 대상으로 팬덤의 유무가 웹드라마 흥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연구 결과 팬덤은 웹드라마의 흥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원작(웹툰, 웹소설)이 있는 경우와 아이돌이 출연하는 경우 웹드라마 흥행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팬덤이 웹드마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웹드라마의 정기 구독자를 나타내는 채널구독자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매개효과를 발견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수철, 반옥숙, 박주연, "웹드라마의 이용 동기가 만족도와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6권, 제2호, pp.47-70, 2015.
  2. 이진, "한국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양상," 인문콘텐츠, 제38권, pp.241-260, 2015.
  3. 김미라, 장윤재,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5호, pp.298-327, 2015.
  4. 김영주, "OTT 서비스 확산이 콘텐츠 생산, 유통, 소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27권, 제1호, pp.75-102, 2015.
  5. 이화진, 김숙, "TV드라마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6호, pp.492-535, 2007.
  6. H. Jenkins,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York: NewYork University Press, 2006.
  7. 이승환, "만화 애니메이션 팬덤 문화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1권, 제3호, pp.130-160, 2015.
  8. H. Jenkins, Textual Poachers: Television Fans and Participatory Culture, Routledge, 1992.
  9. 김현정, 원용진, "팬덤 진화 그리고 그 정치성,"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2호, pp.253-278, 2002.
  10. D. McMillan and D. Chavis, "Sense of Community in Science Fiction Fandom, part 1: Understanding sense of community in an international community of internet,"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4, pp.109-143, 1986.
  11. 손승혜,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초국가적 온라인 팬덤," 미디어, 젠더&문화, 제25권, pp.73-111, 2013.
  12. 홍종윤, 팬덤 문화, 커뮤니케이션북스, pp.66-74, 2014.
  13. 이승목, 신재권, 이상우, "아이돌 우상화의 요인 및 아이돌 우상화가 아이돌 광고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328-33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328
  14. 주경희, 이소영, 김향미, 서정치, "사회 자본으로서의 온라인 팬덤 문화," 문화산업연구, 제13권, 제4호, pp.115-124, 2013.
  15. 이헌율, 지혜민, "팬덤 내의 계층 구별에 대한 연구," 미디어, 젠더&문화, 제30권, 제4호, pp.5-40, 2015.
  16. 윤기헌, 정규하, 최인수, 최해솔, "웹툰 통계 분석을 통한 한국 웹툰의 특징," 만화애니메이션연구, pp.177-194, 2015.
  17. 한혜원, 김유나, "한국 웹소설의 멀티모드성 연구," 대중서사연구, 제21권, 제1호, pp.263-292, 2015.
  18. 황선태, 유재연, "웹툰 팬카페의 2차 창작 활동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1권, 제1호, pp.262-282, 2015.
  19. N. K. Baym, Tune in, Log on: Soaps, Fandom and Online Community, California: Sage, 2000.
  20. F. L. Wells, "A Statistical Study of Literary Merit," Archives of Psychology, Vol.4, pp.25-29, 1907.
  21. M. L. Blum and J. C. Naylor, Industrial Psychology, New York: Harper & Row, 1986.
  22. F. E. Saal, R. G. Downey, and M. A. Lahey, "Rating the Ratings : Assessing the Psychometric Quality of Rating Data," psychological Bulletin, Vol.88, pp.413-428, 1980. https://doi.org/10.1037/0033-2909.88.2.413
  23. 오미영, "다국적 기업에 대한 평가와 후광효과: 다국적 기업의 국제 PR에 대한 함축적 의미," 홍보학연구, 제5권, 제2호, pp.186-214, 2001.
  24. 이윤정, 신형덕, "원작의 유무와 형태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108-11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108
  25. 이혜인, 최상민, 한요섭, "편승효과 분석을 통한 영화 추천시스템 개선,"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335-337, 2014.
  26. S. Chaiken, "Heuristic versus syst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use of source versus message cues in persua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9, pp.752-766, 1980. https://doi.org/10.1037/0022-3514.39.5.752
  27. 김상욱,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특징 분석을 통한 지원정책 방안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pp.23-42, 2011.
  28. Shyam Sundar, "Anne Oeldorf-Hirsch, Qian Xu,"The Bandwagon Effect of Collaborative FilteringTechnology," Proceeding CHI EA'08 Extended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3453-3458, 2008.
  29.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0. M.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Vol.13, pp.290-312, 1982. https://doi.org/10.2307/270723
  31. S. Albert, "Movie stars and the Disribution of Financially Successful Films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Journal of Cultyral Economics, Vol.22, pp.249-270, 1998. https://doi.org/10.1023/A:1007511817441
  32. S. Basuroy, S. Chatterjee, and S. A. Ravid, "How Critical are Critical Reviews? The Box Office Effects of Film Critics, Star Power, and Budgets," Journal of Marketing, Vol.67, No.4, pp.103-117, 2003. https://doi.org/10.1509/jmkg.67.4.103.18692
  33. J. Eliashberg and S. M. Shugan, "Film Critics: Influencers or Predictors?," Journal of Marketing, Vol.61(April), pp.68-78, 1997.
  34. A. Elber and J. Eliashberg, "Demand and Supply Dynamics for Sequentially Released Products in International Markets: The Case of Motion Pictures," Marketing Science, Vol.22, No.3, pp.329-354, 2002. https://doi.org/10.1287/mksc.22.3.329.17740
  35. B. R. Litman, "Predicting Success of Theatrical Movie: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16, No.4, pp.159-175, 1983. https://doi.org/10.1111/j.0022-3840.1983.1604_15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