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의 운전재활에 관한 연구동향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를 대상으로 '운전재활'과 '장애인 운전'을 검색어로 사용하였다. 선정된 문헌은 총 58편이며, 문헌을 포함하는 학술지는 총 16종이었다. 검색된 문헌은 연구형태와 동향, 질적수준, 연구주제, 연구대상, 발간 학술지 및 학회 등으로 분류하여 기술적 통계를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을 4년 간격으로 분석하였을 때 2012년 이후 출판문헌이 29편(50.0%)으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시간의 경과할수록 연구의 수가 증가하였다. 연구형태는 집단비교 및 상관관계연구가 22편(37.9%)으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설문조사와 고찰연구가 그 뒤를 이었다. 연구의 질적수준은 level I이 전체에서 7편(12.1%)이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level III과 IV가 각각 22편(37.9%), 26편(44.8%)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뇌병변장애 연구가 49편 중 19편(38.8%), 연구주제로는 임상평가에 대한 연구가 15편(25.9%)으로 가장 많았다. 발간 학술지 및 학회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가 15편(25.9%)으로 가장 많았고. 학술지에 따른 연구주제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와 대한재활의학회지에서 임상평가 연구가 각각 5편(8.6%), 6편(10.3%), 한국재활복지공학회와 한국장애인재활협회에서는 차량개조를 위한 제언이 각 5편(8.6%), 3편(5.2%)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운전재활의 연구형태, 연구의 질적수준, 연구주제, 대상자 진단명, 주로 발간한 학술지의 연구시기, 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실험 및 결과 연구, 운전중단하기 및 비주행평가에 관한 연구 등 현실적, 제도적 지원 미비로 인해 연구가 어려웠던 부분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각 유관학회 및 학회지가 관심을 가지는 주제 및 방향을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현재보다 심도 깊고, 타 분야와의 연계성이 높은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review research trends in driving rehabilitation for the disabled in South Korea since 2000 suggesting research directions for clinicians and researchers. Methods : Fifty eight articles in 16 journals listed in accredited or candidate journal lists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6 were reviewed. 'Driving rehabilitation' and 'driving for disabled' were used as search term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classify articles according to study methodology, levels of evidence, study participants, research topics, and academic associations or official journals. Results : Fifty percent of analyzed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2. Twenty-two studies (37.9%) were published as group comparison and correlational research. Only seven studies (12.1%) were included in evidence level I. There were 19 studies (38.8%) conducted with brain-injured patients among 49 studies including participants.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having published 15 studies (25.9%) about driving rehabilitation, ranked first among the analyzed journals. In research topic, 15 (25.9%) studies were performed about clinical evaluation.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quality of driving rehabilitation-related studies has been increasing, but more intervention-based researches need to be carried out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arry out various researches in related fields in order to establish efficient driving rehabilitatio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