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국장의 역사

The History of Chongkukjang

  • 투고 : 2018.05.16
  • 심사 : 2018.07.23
  • 발행 : 2018.07.28

초록

혹자는 청국장(淸麴醬)은 전시(戰時)에 단기숙성으로 단시일 내에 제조하여 먹을 수 있게 만든 장이라하여 전국장(戰國醬), 또는 청나라에서 배워온 것이라 하여 청국장(淸國醬)이라고도 하며 전시장(煎?醬)이라고도 하였다 하고, 청국장이 우리나라 문헌에 처음 보인 것은 1760년(영조 36) 유중임(柳重臨)의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서부터라고들 한다. 또한 어떤 이들은 청국장과 메주를 뜻하는 '시(?)'가 삼국사기에 나오므로, 청국장은 삼국시대부터라고도 한다. 이처럼 청국장의 역사는 청나라(1600년대)부터인지 고구려, 신라시대부터인지 분명하게 전해지지 않아, 혼란스럽고 그 틈을 타서 과학적이지 않은 이야기들이 많이 나돌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고문헌 기록을 통해 청국장의 역사를 과학적으로 재조명하였다. 문헌기록을 통해 본 결과 고구려, 신라시대에 이미 청국장(?)이 있었다. 청국장은 젼국, 쳔국, ?국으로 불리었으며, 한자로 '시(?)'로 썼고, 어느 시기부터 청국장도 된장, 간장, 고추장과 같이 장(醬)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전시장(煎?醬), 전국장(戰國醬), 청국장(靑局醬), 청국장(靑麴醬) 등으로 쓰다가 지금은 청국장(淸麴醬)으로 통일되었다. 시(?)의 의미도 1500년대까지 청국장을 의미했고, 1600년대 이후에는 청국장이 한자로 장(醬)이 붙은 전시장(煎?醬), 전국장(戰國醬), 청국장(靑局醬), 청국장(靑麴醬) 등으로 굳어지니까 시(?)의 의미도 메주, 된장을 국한지어 의미하게 되어 가는 경향이 있었다. 청국장은 전쟁과 관련이 있거나 청나라와 관련이 있는 음식이 전혀 아니며, 청국장은 문헌 기록상으로 보아 2200여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으나, 기록 이전에 사물이 먼저 있었을 것이므로, 이보다 훨씬 이전인 수 천 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고 할 것이다.

Someone said Chongkukjang(淸麴醬) might be a Jang(醬) that made it possible to eat quickly at the time of war, and it is called Jonkukjang(戰國醬), or it might have been learned from the Qing Dynasty, and it was also called Chongkukjang(淸國醬) or Jonsijang(煎?醬). It is not true. Even more they say the first appearance of Chongkukjang in the Korean ancient documents is in "Jeungbosallimgyeongje(增補山林經濟)" of the 1700s. Other argument is that Chongkukjang is also known as the Three Kingdoms since it was in the records of 'Shi(?)' which means Meju and chongkukjang written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三國史記)". It is not clear whether Chongkukjang was introduced from the Qing Dynasty (1600s) or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 In this article, the history of Chongkukjang was studied through the records of ancient documents. There was a Chongkukjang(?) in Goguryeo and Silla era. Chongkukjang was called as Jyonkuk(젼국), Chyonkuk(쳔국), Chyongkuk(?국), and it was written as '?' as the Chinese character. Chongkukjang began to be perceived as Jang such as Doenjang and Gochujang at some time, and it was used as Jonsijang, Jonkukjang, but now it was unified as Chongkukjang(淸國醬). The meaning of '?' also means Chongkukjang until the 1500s, and after 1600, it happened to be it's meaning is changed to Meju and Doenjang. There is no evidence that Chongkukjang has history of war or food related to the Qing Dynasty. Chongkukjang has more than 2200 years of history, but since it was there before it recorded, it had a history of thousands of years earlier than thi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헌창, 장보: 동아시아 장의 역사와 계보, 도서출판따비, pp.134-135, 2016.
  2. 윤덕인, "청국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3. 박정배, "된장보다 빨리 익어 전쟁용 음식이었다," 프리미엄조선, 2015.03.04.
  4. 한국전통지식포털, http://www.koreantk.com/ktkp2014/
  5. 최영진, "고문헌에 기록된 우리나라 시(豉)의 특성에 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제27권, 제6호, 2017.
  6. 권대영, 정경란, 양혜정, 장대자, 고추이야기, 효일, 2011.
  7. 권대영, 정경란, 양혜정, 고추전래의 진실, 자유아카데미, 2017.
  8. 권대영, 이영은, 김명선, 김순희, 강순아, 박용순, 박희숙, 이경은, 이명숙, 이해정, 이현숙, 정경란, 한식(K-diet)를 말하다, 한국식품연구원, 2017.
  9. 洪允杓, 訓蒙字會, 홍문각, 1985.
  10.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11. 한의학고전DB, https://mediclassics.kr/
  12. 한식아카이브, http://archive.hansik.org/
  13. 정경란, "1900년대 초 외국인이 본 한국인의 식생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2016.
  14. 곽윤석, 양해술, "지식경영성공요인이 농산업클러스터 기업의 경엉성과에 미치는 영향: 순창장류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