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on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 최윤희 (가톨릭대학교 생활문화학과)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투고 : 2018.05.14
  • 심사 : 2018.07.17
  • 발행 : 2018.07.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의 7차 자료(2014) 중 72-79개월 1,408명의 유아와 그들의 부모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의 정도에 따라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에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은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아버지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논의한 후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s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data of 1408 child 72-79 months and their parents were extracted from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2014 by Korean Ins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gender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father's warmth parenting behaviors. Second, mother's warmth and control parenting behaviors and father's warmth parenting behaviors influence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ut, father's control parenting behaviors didn't influenced the social competence of their children. After discussing these and then a conclusion and proposal were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L. O. McCay and D. W. Keyes,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in the Inclusive Primary Classroom," Childhood Education, Vol.78, No.2, pp.70-78, 2002. https://doi.org/10.1080/00094056.2002.10522707
  2. 임현주, "유아 변인, 가족 간 상호작용, 양육변인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83-206, 2018.
  3. G. W. Ladd, "The Fourth R: Relationships as Risks and Resources Following Children's Transition to Schoo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Division Newsletter, Vol.19, No.1, pp.7-11, 2000.
  4. 박지영, 강성단, 권경숙, "유아의 성, 기질, 가정의 월수입,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사회적 유능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5호, pp.359-382, 2010.
  5. 김언경, 엄정애, "유아기 형제간 사회적 놀이와 형제구조, 기질, 또래유능성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제33권, 제5호, pp.161-179, 2013.
  6. 안라리, 김희진,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46권, 제2호, pp.1-12, 2008.
  7. 이찬숙, 현은자, "유아의 기질, 사회적 유능감, 감성지능, 도덕성 및 부모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9권, 제3호, pp.223-238, 2008.
  8. 류관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 아동교육, 제21권, 제3호, pp.231-240, 2012.
  9. 김영선, 이숙,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제36권, 제1호, pp.163-185, 2015. https://doi.org/10.5723/KJCS.2015.36.1.163
  10. 조복희, 이진숙, 이흥숙, 권희경,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제37권, 제10호, pp.123-133, 1999.
  11. 조복희, 양연숙, 김암이, 장미자, 곽혜경, 한유미, "논문편: 유아의 애착행동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35권, 제6호, pp.249-259, 1997.
  12. F. M. Gresham and S. N. Elliott, Social Skills Rating System: Manual, American Guidance Service, 1990.
  13. 서미옥, "한국판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척도(K-SSRS: 교사평정용, 부모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pp.223-242, 2004.
  14. 김현미, 도현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5권, 제6호, pp.279-298, 2004.
  15. K. MacDonald and R. D. Parke, "Bridging the Gap: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Vol.55, No.4, pp.1265-1277, 1984. https://doi.org/10.2307/1129996
  16. 권희경,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참여도 및 양육 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제21권, 제1호, pp.83-104, 2017.
  17. L. A. Barnett and D. A. Kleiber, Concomitants of playfulness in early childhood: Cognitive abilities and gender,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Vol.14, No.1, pp.115-127, 1982.
  18. M. Perlman and H. S. Ross, "If-then Contingencies in Children's Sibling Conflicts," Merrill-Palmer Quarterly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Vol.51, No.1, pp.42-66, 2005. https://doi.org/10.1353/mpq.2005.0007
  19. 임연진,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1호, pp.113-124, 2002.
  20. 김진경, 이정미, 강은영, "아버지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아버지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아동과 권리, 제22권, 제1호, pp.65-89, 2018.
  21.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교육사업 세부사업실적," http://www.familynet.or.kr/index.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