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북 성인 여성장애인 생활실태와 서비스 욕구 분석

Analysis on Life Condition and Needs for Welfare Servi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Adult in Gyeongbuk

  • 투고 : 2018.05.02
  • 심사 : 2018.06.21
  • 발행 : 2018.07.28

초록

본 연구는 경북 성인 여성장애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서비스 욕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성인 여성장애인 4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년기 여성장애인은 2대 가족, 자녀수 1명, 고졸이하, 무배우, 정신적 장애로 경제활동 고용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년기 여성장애인은 2대 가족, 자녀수 2명, 고졸이하, 유배우, 지체/뇌병변장애로 일상생활지원, 경제활동 고용, 임신 출산 양육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년기 여성장애인은 1인 가구, 자녀수 3명, 초졸이하, 무배우, 지체/뇌병변장애로 건강 의료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년기 여성장애인은 경제활동 고용 지원으로 직업훈련, 취업지원, 경력개발 지원으로 최근 경북 핵심사업인 신소재 산업, 스마트 프로젝트, 농산업, 관광산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또한, 직업재활시설의 확대도 요구된다. 장년기 여성장애인은 일상생활 지원, 임신 출산 양육 지원이 요구되므로 산간지역으로 대중교통 접근이 어려운 곳은 교통인프라 마련과 여성장애인 전용 산부인과 지정제 도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여성장애인은 건강 의료 서비스 지원으로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보건소 등과 연계하여 정기 방문, 신체 및 심리 지원, 가정활동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 life condition and needs for welfare servi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adult in Gyeongbuk. And to suggest ways to support effective. Method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65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women with disabilities in young adults was two generations, one children, high school graduate, spouseless, mental disabilities. Also, The needs for welfare services about economic activities and employment was high. Second, The women with disabilities in middle-age people was two generations, two children, high school graduate, spouse, physical or cerebral palsy disabilities. Also, The needs for welfare services about daily activity support, economic activities, employment and pregnancy, childbirth, childcare was high. Third, The women with disabilities in older adults was single-person household, three children, elementary school graduate, spouseless, physical or cerebral palsy disabilities. Also, The needs for welfare services about health and medical care was high. Finally, They needs support in economic activities, employment and daily activity support and pregnancy, childbirth, childcare, and health, medical care. Based on this, Suggestions for effective support we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미옥, "여성장애인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청소년기와 장년기의 체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10권, pp.9-36, 2002.
  2. 최복천, 곽지영, 노혜진, 여성장애인 임신.출산.양육에 관한 지원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09.
  3. 변용찬, 김성희, 윤상용, 최미영, 계훈방, 권선진, 이선우, 200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4. 보건복지부,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3-2017), 2013.
  5. http://www.moleg.go.kr/main.html
  6. 경상북도, 경상북도 아동.여성 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지원에 관한 조례, 2015.
  7. 김동화, 박주영, 황주희, 경상북도 여성장애인 복지욕구 실태조사, 경북행복재단, 2016.
  8. 보건복지부, 시.도 장애인 유형별 현황(2016년 말기준), 2017.
  9. 임경희, 경북 여성장애인 실태와 정책과제, 경상북도여성정책개발원, 2004.
  10. 김성희, 이연희, 황주희, 오미애, 이민경, 이난희, 강동욱, 권선진, 오혜경, 윤상용, 이선우,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11. 김미옥, 강민희, 김고은, 여성장애인 지원 정책개발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부, 2012.
  12. 홍성대, 이만우, 김성훈, 여성장애인 의료관리체계 구축 연구: 여성장애인 지정산부인과 제도 도입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13. 김정희, 정은주, 최선희, 여성장애인 가족지원 방안 연구: 시각, 청각, 지적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 및 보육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14. 홍승아, 이상원, 이영미, 김윤지,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