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Website Services of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of Districts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 서비스 현황 분석

  • Chung, Hoe Woo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Kyoung Mi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정혜욱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경미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umer centered on-line services of Support Center for Childcare(SCC) of distric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69 on-line services in websites of SCC. The materials used to evaluate the website services in this study were revised from Lee(2009)'s, Moon(2005)'s and Lee(2005)'s study. The evaluation categories are composed of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complaints handling services, online participation services, and usability servic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introduction to SCC, main business of SCC, and related website ranked high. Second, in the aspect of complaints handling services, complaint service board and complaint process notice ranked high. Third, in the aspect of online participation services, on-line application and reservation ranked high. Fourth, in the aspect of usability services, integrated searching, site map,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anked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websites of SCC of districts tried to various services to communicate the consumer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contents and problem of websites of SCC, and implied the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services of SCC.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에서 수요자 중심의 온라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69개소의 웹사이트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웹사이트 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문인규(2005), 이명희(2004), 이충수(2009)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였으며, 평가항목은 정보제공 서비스, 민원처리 서비스, 온라인 참여 서비스, 이용 편의성 서비스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정보제공 서비스의 측면에서 웹사이트는 기관 소개 및 주요사업 안내 항목과 관련 사이트 안내 항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민원처리 서비스의 측면에서 웹사이트는 민원게시판 운영 항목과 민원처리 결과 고지 항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참여 서비스의 측면에서 웹사이트는 온라인 신청 및 예약 기능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이용 편의성 서비스의 측면에서 웹사이트는 자료의 통합검색 기능 항목과 사이트 맵 기능 항목,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관련 기능 항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는 수요자와 소통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의 서비스 구성내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웹사이트 서비스 구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석(2004). 민원시스템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 및 개선방향: 통합민원서비스 시스템의 구축과 관련하여. 현대사회와 행정, 14(3), 1-23.
  2. 권진하(2003). 전자정부구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 활용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1, 239-273.
  3. 김두열, 이태근(2016). 전자정부 웹 사이트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23-157.
  4. 김무곤, 장하용(2001).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평가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7, 38-71.
  5. 김범수, 이정, 김경규(2006). 인지된 신뢰, 위험, 유용성 및 편의성이 전자정부 민원서비스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정책, 13(4), 186-202.
  6. 김보영(2006). 보육정보센터 웹사이트의 고객지향성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성태, 서은진(2006). 지방정부 전자거버넌스 수준의 국제비교 분석. 지방정부연구, 10(4), 131-151.
  8. 김영미(2001). 중앙행정기관의 홈페이지 운영실태와 정책방향.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4(2), 129-144.
  9. 김영훈(2004).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의 고객지향성 분석.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0. 김익균(2001). 보육행정과 정책의 정형화를 위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1), 11-33.
  11. 김정무(2004).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 평가지표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김태진, 이재성, 김건위(2002). 공공기관 홈페이지 평가지표 개발 연구: 평가연구 경향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33, 159-173.
  13. 김혜리, 이상준(2017).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7(4), 19-25.
  14. 노은호, 이명희, 안을섭(2005). 어린이집에서의 홈페이지 활용 실태 조사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5(2), 67-87.
  15. 노은호, 최희양(2009). 보육교사의 장학을 위한 보육정보센터의 기능 강화 방안. 한국보육학회지, 9(1), 49-59.
  16. 문인규(2005). 광역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평가를 통해 본 전자지방정부 수준.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박영주, 나종혜(2010). 육아정보 제공 인터넷사이트의 콘텐츠 분석. 사회과학연구, 19(1), 63-85.
  18. 보건복지부(2017).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9. 보건복지부,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2017). 2018 육아종합지원센터 평가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 송영문(2007). 행정정보의 효과적 전달을 위한 로그화일 기반의 홈페이지 분석 연구. 경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송희준, 유효정, 권효진, 김상운, 홍윤진(2010). 정보문화가 민주적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과 정부 역할.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1), 25-48.
  22. 안영혜, 서현아, 허수윤, 한희정(2015). 영유아 부모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참여 실태 및 요구조사. 아동교육학회지, 24(1). 229-246.
  23. 여경하(2014).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이용현황 및 요구.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4. 윤건호(2003). 보육정책 평가연구. 한국보육학회지, 3(2), 33-56.
  25. 이명희(2004). 중앙 행정부처 웹사이트의 정보서비스 평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2), 195-218.
  26. 이미정(2009). 보육재정 지원정책과 보육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9(1), 77-89.
  27. 이미현(2015). 보육교사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 참여와 발전 방안에 대한 인식: 과천시를 중심으로.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3), 89-109.
  28. 이연옥(2003). 보육정보센터의 웹사이트 구축과 활용현황.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이재성(2008). 전자지방정부의 역량 평가.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1(3), 103-121.
  30. 이철호(2008). 전자지방정부의 온라인 행정참여 수준 측정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1. 이충수(2009). 전자정부 웹사이트 평가요인의 중요도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7(4), 1-10.
  32. 임명희(2007). 미래 보육발전을 위한 가정보육 프로그램의 방향. 한국보육학회지, 7(2), 1-24.
  33. 장무경, 권홍규(2016). 지방정부 관광 홈페이지의 사용성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2), 37-45.
  34. 정동훈(2010). 웹 2.0특성에 따른 정부부처 웹페이지 평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7(4), 209-255.
  35. 정재욱(2002). 지방자치단체의 웹사이트 평가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6. 정진우(2006). 국내, 외 사례비교를 통한 온라인 주민참여 활성화 전략 탐색.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9(1), 59-77.
  37. 주왕천(2010). 온라인 관광정보가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전북임실치즈마을의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여가관광연구, 16, 118-137.
  38. 천희영, 서현아(2003). 보육정보센터 인터넷 웹사이트의 정보서비스 실태 분석: 정보 내용 및 기술적 차원. 한국영유아보육학, 32, 143-168.
  39. 최은비, 김효숙(2011). 언론보도 어조와 관여유형이 공중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홍보학연구, 15(1), 135-168.
  40. 최종현(2007). 광역자치단체 웹사이트 평가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1. 최종현, 최병대(2007). 광역자치단체 웹사이트의 평가와 그 함의.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9(3), 113-135.
  42. 추병주, 정상기, 정윤수(2007). 국민참여포털의 운영실태 분석 -참여마당신문고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14(3), 81-99.
  43. 한경자, 김정수, 김숙영(2006). 인터넷 육아정보 제공 사이트에 대한 평가. 아동간호학회지, 12(1), 57-64.
  44. 현정환(2005). 저출산 시대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욕구. 한국보육학회지, 5(2), 157-170.
  45. 황영경(2014). 언론보도의 질적.양적 특성이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6. Abanumy, A., Al-Badi, A., & Mayhew, P. (2005). e-Government website accessibility: in-depth evaluation of saudi arabia and oman. The Electronic Journal of e-Government, 3(3), 99-106.
  47. Curry, J. (1997). Finding Local Government Information on the Web. Government Information in Canada, 4(1), 289-305.
  48. Grossman, L. K. (1995). The Electronic Republic: Reshaping Democracy in Information Age. NY: Viking Penguin.
  49. Loiacono, E.. T., Watson, R. T., & Goodhue, D. L. (2002). Webqual: A measure of website quality. Marketing theory and applications, 13(3), 432-438.
  50. Rashid, M. A. A., & Othman, M. N. A. (2017). User adoption and use of e-government online service. Gading Journal for the Social Sciences, 14(01).
  51. Schaupp, L. C., Fan, W., & Belanger, F. (2006). Determining success for different website goals. In System Sciences(HICSS). 6, Kauai, USA.
  52. Weerakkody et al. (2017). Open data and its usability: an empirical view from the Citizen's perspective. Information Systems Frontiers, 19(2), 285-300. https://doi.org/10.1007/s10796-016-9679-1